아주대학교

검색 열기
통합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아주인칼럼

[칼럼] 에너지 대한민국

NEW [칼럼] 에너지 대한민국

  • 이지윤
  • 2013-09-17
  • 28361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2011년도 3월에 발생했으니 벌써 2년 이상 지났다. 일본의 대응이 어떠했던 간에 여러 괴담이 나오는 현실이고, 일본 근해를 거치지 않았다 하더라도 외식메뉴로 생선을 꺼리게 되는 것도 사실이다.

올림픽 개최를 위한 일본 총리의 신뢰성 없는 발언 등으로 그에 대한 공포심만 더 커지게 되는 것도 사실이다. 방사능 방호복으로 대표선수단 유니폼을 해야하는 건 아니냐는 농담까지 나올 정도니, 정확한 사실의 공표와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할 듯 하다.

게다가 이러한 사건 후에 일본은 에너지기본계획에 원자력 발전을 주력 에너지원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을 공표할 예정이라고 하니 에너지가 향후 전 세계적인 화두가 될 것이라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지난 정권에서 그린에너지를 상징적인 에너지 정책의 방향성으로 잡았으나,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투자는 이뤄지지 않았다. 정부의 방향성에 맞춰 수많은 중소업체들이 풍력, 태양광발전, 전기자동차 등과 관련한 테마로 창업과 폐업을 반복했다.

그린에너지는 사실 바로 투자에 대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분야가 아니라, 향후 정확한 전망을 바탕으로 한 20~30년의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한 정권에서, 그러니까 5년 내에 그 결과를 보기에는 너무도 단기적인 투자가 될 수 밖에는 없다. 단기적인 성과가 요구되는 사기업에는 사실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해서 적극적인 투자가 어려운 것도 그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자연 조건은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주된 발전원이 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한여름에 뜨거운 태양광이 내리 쬐기도 하지만, 장마가 있어 한동안은 햇님의 얼굴 조차 보기 힘든 기간이 있다.

원없이 바람이 불어주는 가을이 있지만, 전혀 바람이 없는 8월의 한여름도 있다. 풍력으로 전체 발전량의 20~30%까지 담당하는 덴마크는 바람의 품질이 좋아 하루내내, 한달내내, 일년내내 꾸준한 바람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주변국들, 노르웨이, 스웨덴 등과 전력계통을 공유해 만에 하나 발생할 수 있는 전력 공급의 부족사태를 해결한 방안을 가진다.

‘전력난을 슬기롭게 극복합시다’라는 표어가 올해 여름에도 어김없이 등장했다. 정부에서는 전력예비율을 들먹이고, 대정전 발생 가능 등으로 약간은 겁을 주기도 하며, 국민들에게 에너지 절약을 홍보하느라 유난히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우리나라 전력 소비의 많은 부분이 산업용이라는 것은 많은 국민들이 알고 있을 것이다. 2010년도 자료로 보면, OECD 국가중 산업용 전력소비는 4위, 가정용 전력소비는 26위를 차지하고 있다. 더 중요한 사실은 산업용 전력이 전체 전력소비의 절반이 넘는 55%정도 되고 가정용 전력 소비는 17% 남짓하다는 것이다.

물론 산업체에서도 절전과 관련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겠지만, 가정용 전력의 절전이 전력예비율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성은 산업용 전력의 절전에 비해 크게 낮다. 때만 되면 정치인들이 에어컨을 끄고 회의하는 모습을 보이며, 절약을 호소하는 무정책이 아니라 전기요금 조정, 산업용 전력 요금 합리화 등의 제도의 개선으로 해결해야만 할 것이다.

에너지 관련한 기술개발은 향후 나라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을 정도의 중대 기로가 된다. 우리나라가 향후 20~30년 먹거리를 준비하고 세계시장의 선점을 위해서는 그 기술의 선진에 서야 할 것이다.

정치적 영향에 따라 흔들리지 않는 에너지 정책이 필요하고,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한 실현 가능한 에너지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해외 수출 가능한 에너지 기술 개발 및 이를 적극 활용한 우주항공, 자동차, 가전제품 등에 응용을 통해 기술발전을 주도해야 할 것이다.

이교범 아주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

[경기일보 2013.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