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내용 |
---|---|
IoT 개론 | 본 교과목은 모든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IoT: Internet of Things) 분야의 핵심 기술 요소와 서비스 동향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개론 과목이다. 세부주제로는 IoT 디바이스플랫폼, IoT 통신네트워크, IoT 데이터 관리, AIoT 및 응용서비스사례를 다룬다. |
빅데이터 이론과 분석사례 | 빅데이터 활용에 필요한 기초 및 실무 이론과 국내 주요 분야별 실 분석 및 활용 사례를 배운다. 빅데이터 개념과 사례, 국내외 정책방향, 빅데이터 기술 트랜드, 공공·민간의 빅데이터 업무활용 방법, 대용량 데이터 처리 하둡 에코시스템, 개인정보 처리 방법 등 기초 및 실무 이론을 배우고 농산물, 쇼핑, 교통, 관광, 제조 등 주요 분야 빅데이터 분석사례를 체험한다. |
IoT 응용서비스 사례연구 |
최근 주변의 모든 사물들이 연결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초연결사회(HyperConnectedSociety)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있다. IoT(사물인터넷)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게 되면, 사용자가 직접 개입하지 않아도 필요한 정보가 자동적으로 전달되고 주변사물이 스스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게될것이다. 로봇이나 AI(인공지능)을 통해 실재와 가상이통합돼 사물을 지능적으로 제어 할 수있는 가상 물리시스템의 구축이 기대되는 4차산업혁명이시작된다.이러한 IoT시대를 맞이하여 우리의 삶은 편의성,안전성,생산성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혁신적 변화가 기대된다. IoT 생태계 구축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IoT응용서비스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특히 이과목에서는 IoT응용서비스의 중요성과 다양한 분야별 IoT서비스의 최근사례를 검토하고 논의한다. 또한IoT시대를 대비한 글로벌 기업과 각 국가의 추진 전략을 알아본다. 1장 : IoT 플랫폼 : 여러기기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연결, 콘텐츠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서비스와 기기의 핵심 경쟁력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서비스가 쉽게 개발 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IoT플랫폼들을 연구한다. 또한 IoT플랫폼의 표준화 동향에 대해서 알아본다. 2장 : 응용분야별 IoT서비스: Smaerthealthcare, Smartcar, Smarthome, Grid,Smartfactoty, Smartfarm, Smartbuilding, Smartcity, Smartwearable, FinTech, O2O, 5G, Cloud/Edgecomputing, BigData, VR&AR, Drone, Blockchain, AI, 로봇, Metaverse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공 될 수있는 다양한 서비스에 대해서 연구한다. 3장 : 글로벌기업전략 : IoT시대를 맞이하여 구글, 애플, 아마존, 삼성, IBM, MS, Facebook, Netflix, Tesla, TSMC, Nvdia, Qualcomm, AMD, Intel, Alibaba, 바이두, GE, GM, Volkswagen 등 글로벌 기업들의 대응전략에 대해서 논의한다. 4장 : IoT시대를 맞이하여 미국, 유럽, 중국, 일본, 한국의 추진 전략과 활동에 대해서 논의한다. |
무선임베디드 IoT시스템 | 본 과목에서는 무선 임베디드 IoT 시스템 설계를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계층에 대한 논의를 시작으로 시스템 설계에 필수적인 다양한 요소들을 배운다. 본 수업을 통해서 무선 임베디드 IoT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는 TinyOS 등에 대한 지식을 배우고, IoT 시스템 운영을 위한 다양한 플랫폼에 대한 학습을 진행하여 산업체에서의 IoT 활용 방안 등에 대한 내용을 학습한다. |
IoT 플랫폼 |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은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패러다임이다. IoT 플랫폼은 사물인터넷을 이루는 기반 기술로서 IoT 소프트웨어 개발자, 비지니스 기획자,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들에게 쉽게 사물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기반 환경을 제공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