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ou Vision 5.0 Global Campus

장애 유형별 에티켓

장애인 의사소통 방법

장애인은 다양한 분야의 장애가 있기 때문에 그 기준을 명확하게 잡기는 어려울 수 있으나, 장애인, 비장애인을 구분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대화를 하고, 먼저 도움을 주기 전에 도움이 필요한지 대화 후 진행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애학생을 위한 에티켓(etiquette)

청각장애

: 청각장애는 소리를 감지해 뇌로 전달하는 과정에 손상이 생겨 소리를 듣지 못하거나 구별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해요.
  • POINT.01


    모든 청각 장애인이 수어를 하는 것은 아니기에 어떤 의사소통 방법이 좋은지 확인해요.
  • POINT.02


    수어통역사를 통해 대화를 하는 경우, 장애학생을 바라보면서 대화를 해요.
  • POINT.03


    글로 의사소통하는 방법은 청각장애인과의 대화법 중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
  • POINT.04


    함부로 대하거나 반말을 해서는 안되며 반드시 예의 바르게 대해야 해요.
  • POINT.05


    필담 시, 글씨는 명확하고 간결하게 작성하며 대화 내용을 잘 읽고 이해하고 있는지 표정을 관찰하여 확인해요.

시각장애

: 시각장애는 빛이 눈에서 뇌로 전달되는 과정에 손상이 생겨 시력을 잃거나 시야가 부분적으로 결손된 상태를 말해요.
  • POINT.01


    시각장애학생의 안내견을 쓰다듬거나 음식을 주지 않는 것이 좋아요.
  • POINT.02


    허락 없이 팔이나 어깨에 손을 대지 않고 말하거나 불러주는 것이 좋아요.
  • POINT.03


    대화 시, 자신의 이름을 말해주고 장애학생의 이름을 불러주고 대화를 요청하는 것이 좋아요.
  • POINT.04


    걸을 때, 손을 잡기보다 팔꿈치를 잡도록 팔을 내주는 것이 좋아요. 지팡이를 사용할 경우, 지팡이 반대편에 서서 팔을 내어주면 돼요.
  • POINT.05


    청각으로 정보를 얻기에 큰 소리로 대화하지 않도록 하며 소음이 있는 장소를 피하는 것이 좋아요.

뇌전증장애

: 뇌전증장애는 신체적 이상 없이 뇌전증 발작이 반복적(24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두 번 이상)으로 발생해 만성화된 질환입니다.
  • POINT.01


    발작증세를 보인다면 당황하지 말고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주어야 해요.
    -> 환자를 안전한 곳에 눕힌 후, 입안의 내용물을 제거하고, 고개는 옆으로 돌려주세요.
  • POINT.02


    호흡곤란 상태를 보인다면 빠르게 산소를 공급해 주어야 해요.
    -> 만약, 벨트를 착용했다면 느슨하게 풀어야 해요. 손과 발을 주무르면 안돼요!
  • POINT.03


    지속적인 발작 증세가 보이면, 보건진료소(031-219-1596) 또는 119에 신고해 주세요.

뇌병변장애

: 뇌병변장애는 뇌성마비나 뇌졸중 등으로 인해 상지와 하지에 마비가 나타나요. -> 주로 보행 장애와 일상생활에서의 동작 제한이 있어요.
  • POINT.01


    함께 걸어갈 때는 보행 속도를 맞추어 걸어요.
  • POINT.02


    신체적 마비 및 기능저하로 인해 외관상 장애가 드러나는 경우가 있어요.
    -> 지적능력과 감각은 비장애학생과 같으므로 편안한 마음과 자세로 대해요.
  • POINT.03


    언어장애를 동반하는 경우, 말을 더듬거나 발음이 부정확한 경우가 있어요.
    -> 알아듣기 어려운 경우 한번 더 이야기 해달라고 요청하거나 기다려주는 것이 좋아요.

지체장애


- 지체장애는 상지와 하지에 장애가 있는 것을 말해요.
- 절단 장애, 지체기능장애, 변형 등으로 구분됩니다.
  • POINT.01


    눈높이를 맞추면서 대화하는 것이 좋아요.
  • POINT.02


    도움이 필요한지 먼저 묻고 도와주는 것이 좋아요.
  • POINT.03


    만남 장소는 턱이나 계단 대신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장소가 좋아요.

자폐성장애


- 자폐성 장애는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는 신경발달장애에요.
- 공격적 행동이나 눈맞춤이 어렵고, 동일함을 유지하려는 특성이 있어요.
  • POINT.01


    일상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기술이 부족한 경우가 있기에 이해해 주는 것이 좋아요.
  • POINT.02


    '나','우리'등의 인칭대명사를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므로 말을 주의 깊게 듣고 이해해 주는 것이 중요해요.

지적장애


- 지적장애는 지적 능력의 발달이 부족하거나 사회생활 능력이 저하된 상태를 말해요.
- 일반적으로 지능지수가 70이하인 경우를 지칭해요.
  • POINT.01


    인지능력이 낮아도 자신의 욕구를 알고 표현할 수 있기에 의사를 존중해주어야 해요.
  • POINT.02


    발음이 부정확한 경우에도 주의 깊게 듣고 의사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기다려 주어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