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연구내용
- 차세대에너지과학연구소의 참여교수진은 수학,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재료공학(신소재), 화학공학 등 다양한 전공의 연구자로 구성됨.
- 본 연구소에서 추구하는 공동연구 체계는 “대규모 총괄과제(1.에너지 물질 기초연구)”와 “중규모 총괄과제(2.차세대 에너지 기술 연구)”로 구성함
|총괄과제 1| 에너지 물질 기초연구
- (공동연구 1-1) 에너지 양자물질 연구
- (공동연구 1-2) 바이오 에너지물질 연구
- (공동연구 1-3) 분자활성 화학반응 연구
|총괄과제 2| 차세대 에너지 기술 연구
- (공동연구 2-1) 에너지 저감형 광반도체 기술
- (공동연구 2-2) 2차전지 기술
- 타 전공 간 목적지향적 협동연구
- 차세대 에너지 과학기술 개발
- 이론-실험 연구 결과 상호 피드백
추진전략
차세대 에너지 변환·저장을 위한 기초과학 융복합 연구
에너지 양자물질
- 에너지 양자물질 특성 이론/측정 피드백
- 양자물질 설계 및 전자구조 규명
- 물질 구조 및 결함 최적화
- 양자물성 기반 에너지 변환·저장 매커니즘 연구
- 에너지 물질 발굴 및 검증
바이오 에너지물질
- 미생물 이용 바이오에너지 물질 생산
- 식물 기반 친환경 탄소에너지 전환·저장
- 바이오에너지 물질 반응 경로 최적화
- 인공지능 기반 바이오에너지 전환 모델링 및 응용
- 범용 시스템 구축
분자활성 화학반응
- 실시간 화학반응 모니터링 광기술 개발
- 분자 활성 및 결합 형성 메커니즘 연구
- 분광학적 원자단위 활성점 연구
- 멀티스케일 물질구조 정밀 제어
- 특정 화학반응 맞춤형 나노 반응기 개발
추진방법
이론계산
- 물질구조 설계/최적화
- 전자/밴드구조 계산
- AI계산 및 수학모델링
이론 기반 연구
합성제조
- 유무기물질 합성
- 다차원 나노입자
- 박막소재 합성 등
실험 기반 연구
특성분석
- 결정 및 구조 분석
- 분광 분석
- 전기 분석 등
실험 기반 연구
메커니즘 및 응용
- 반도체, 광전
- 수소에너지, 배터리
- 탄소 전환 및 활용 등
이론 및 실험 기반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