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안내

2025학년도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목 안내

전공 과목 (모든 과목은 전공선택 과목임)
교과과정
영역 교과목코드 교과목명 개요
전선 CUL104 문화콘텐츠의 이해
Introduction to Cultural Contents
본 수업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 탐색 과목이다. 우선, 문화콘텐츠 핵심 용어 및 산업 통계 자료를 통해서 문화콘텐츠 이론 지식을 학습하고 산업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교내외 전시, 축제, 공연 등 콘텐츠 현장 답사를 통해 관심 분야 및 진로 방향을 찾아보고자 한다. 또한, 전공 소학회와 유학생 커뮤니티와 연계하여 콘텐츠 제작 및 실습 기회를 제공한다.
CUL103 문화콘텐츠기획실습
Practicing Cultural Contents Planning
문화콘텐츠 영역에서의 기획의 방법을 학습한다. 문화콘텐츠 기획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고, OSMU(One Source Multi Use)를 활성화하면서 문화콘텐츠가 가진 문화 고유의 가치를 극대화하여 기획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예를 들어 e-북, 오디오북, 모바일콘텐츠, 비디오저널 등을 기획해본다
CUL132 스토리텔링의 이해
Understanding of Storytelling
스토리텔링은 구비 서사물, 기록 서사물 그리고 영상 서사물, 게임 서사물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자리 잡고 있다. 스토리텔링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통해 이야기 꾸며내기에 대한 기초적인 소양을 키우고 응용력을 키운다.
CUL102 영상예술입문
Screen art
문화콘텐츠 전공 학생들의 기초/핵심역량 강화
CUL215 문화이론의 이해
Understanding Culture Theory
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문화 및 문화적 현상을 해석, 분석, 연구하는 기본적인 이론과 내용에 대해 학습한다.
CUL214 중국 대중문화콘텐츠
Popular Culture in China
중국 및 중국어권에서의 대중문화콘텐츠의 현황과 내용 / 중국 대중문화콘텐츠의 특성과 이용자들의 이용태도와 속성 / 중국 대중문화콘텐츠산업과 시장에 대해 학습
CUL228 만화콘텐츠기획
Comic Contents Planning
만화콘텐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출판만화 뿐만 아니라 웹툰, 앱툰 등 새로운 매체와 만화콘텐츠의 결합과 비즈니스에 대한 다양한 사례를 체험함으로써 만화콘텐츠와 산업의 이해를 높이고, 만화콘텐츠의 기획과 만화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에 대한 기획에 대해 연습함.
CUL233 시각예술과 스토리텔링
Visual Arts and Storytelling
본 과목은 미술사, 시각 이미지, 시각 예술 비평과 관련하여 콘텐츠로서의 시각 예술을 연구하고 바람직한 스토리텔링, 이미지텔링에 대한 방향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 수업에서 다루는 분야는 다음과 같다.
1)미술사와 스토리텔링
2)아티스트 스토리텔링
3)디자인 이미지텔링
4) 시각예술 기반 콘텐츠 기획
학생들은 각 분야 별 이론 및 사례 분석 강의를 듣고 한 학기 동안 한 명의 시각 예술 아티스트를 선택하여 스토리텔링 팀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이 강의를 통해 학생들은 미술사, 시각 예술 비평, 이미지텔링, 전시 기획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관련 사례를 분석하여 시각예술 기반 콘텐츠를 기획하는 역량을 기를 수 있다.
CUL233 콘텐츠 기획의 인문학
Humanities for Contents Planning
콘텐츠, 기획, 인문학 키워드를 가지고 콘텐츠 기획의 방법론을 정리하며 기획력을 키우는 강좌. 기획은 내 앞의 현실을 바꾸고, 상상을 현실로 바꾸며, 내 자신을 이 세계에 더욱 천착하게 하는 삶의 태도에서 시작된다. 기획을 하려는 사람은 현실을 외면하기보다는 현실을 정면으로 직시하고 그것을 바꾸려는 자일 것이다. 하지만 도구적 방법이나 감각에 의존하여 기획하는 것은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더 깊이있고 획기적인 기획을 위해서는 사람이 살아온 무늬를 연구하는 인문학을 통하지 않으면 안된다. 결국 사람의 욕구와 필요와 결핍을 더 잘 이해할 때 새로운 기획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콘텐츠 기획에 새로운 영감을 줄 수 있는 인문학적 개념들을 통해서 기획의 기초를 단단하게 하고, 창의적인 기획자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CUL253 숏폼 콘텐츠 제작(캡스톤디자인)
Short-form Contents Development -Capstone Design
본 수업은 다양한 숏폼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플랫폼별 숏폼 콘텐츠의 유형 및 제작 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3가지 실습 과제(15초 숏츠 2개, 40초 1개)를 통해 단계 별 숏폼 콘텐츠 제작 프로세스를 익힌다. 또한, 교과목 숏폼 계정을 개설하여 제작된 콘텐츠를 업로드 함으로써 실제 운영 데이터를 가지고 결과물을 검토·분석하고자 한다.
CUL216 문화고전강독
Reading of Classics for Culture
인간 행동의 핵심적 영역인 문화에 대한 고전 학자들의 원전을 통해 문화와 문화현상에 대한 성찰적 이해도를 높인다.
CUL2210 공연예술기획
Performing Contents Planning
전통적인 공연예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와 장르 및 기술과 결합된 performing contents의 구성과 내용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사례를 학습하고, 실제 performing event를 기획하는 것을 연습함
CUL2213 전시콘텐츠 개발과 기획
Exhibition Contents Planning
MICE산업을 비롯한 다양한 전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사례에 대해 학습을 하고 전시회를 기획하는 연습을 함
CUL3210 중국 지역문화콘텐츠개발
Chinese Contents Planning
중국의 지역문화자원을 소재로 한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 사례를 살펴보고, 지역문화자원이 콘텐츠개발에 활용되는 방식과 내용에 대해 학습. 중국 문화자원을 소재로 하는 중국 문화콘텐츠 기획을 연습
CUL232 영상 카피라이팅
Visual Copy Writing
“뭐 좋은 카피 없냐?” 사회에서 여러분이 지겹도록 듣도록 듣게 될 말이 바로 좋은 카피, 좋은 제목, 좋은 타이틀, 좋은 부제, 좋은 사진설명일 것이다. 피디건, 작가건, 광고감독이건, 홍보기획자건 좋은 제목과 카피에 대한 갈증은 점점 더 커질 것이다. 우리는 영상이 힘을 발휘하는 영상의 시대에 살고 있다. 앞으로 영상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이다. 영상은 적절한 언어와 결합될 때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이 주는 효과와 이를 극대화시킬 카피의 의미와 효과를 이해한다면, 탁월한 아이디어 고안자로 거듭날 수 있다. 여러분이 영상과 언어에 대한 감각을 배양한다면, 콘텐츠 시대에 부응하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CUL362 트랜스 미디어 기획
Transmedia planning
디지털 융합사회 내 콘텐츠 플랫폼(미디어)의 특성과 진화를 이해하고, 하나의 콘텐츠가 매체와 매체를 넘나드는 트랜스미디어가 될 수 있는 구체적인 기획을 체험한다.
CUL356 미디어텍스트 분석 워크숍
Media Text Analysis Workshop
탁월한 콘텐츠를 만드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 기존의 콘텐츠를 잘 읽고 분석하는 능력이다. 텍스트 뒤에 숨어있는 수많은 ‘화자’의 의도를 읽고, 텍스트가 구성되는 방식을 드러내는 것만으로도 비판적 해독이 가능해진다. 본 강의는 미디어텍스트를 읽어내는 데 필요한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미디어에 관한 이론을 바탕으로 미디어 읽기를 시도한다. 이 강의를 통해서 학생들은 미디어와 관련된 이론을 체계화하며, 미디어텍스트를 읽어낼 능력을 키우고, 분석하는 글을 쓸 수 있게 될 것이다.
CUL3216 뮤지엄 콘텐츠와 브랜딩
Museum Contents and Branding
본 과목은 뮤지엄 콘텐츠, 뮤지엄 아이덴티티, 뮤지엄 브랜딩과 관련하여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뮤지엄의 상을 연구하고 바람직한 미래의 뮤지엄에 대한 방향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 수업에서 다루는 분야는 다음과 같다.
1)뮤지엄의 역사적 변천과 동시대성
2)뮤지엄 브랜딩 사례 : 미국/유럽
3)뮤지엄 브랜딩 사례 : 아시아
4)뮤지엄 브랜딩 사례 : 한국
학생들은 각 분야 별 이론 및 사례 분석 강의를 듣고 한 학기 동안 하나의 뮤지엄을 선택하여 컨설팅을 통한 브랜딩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이 강의를 통해 학생들은 뮤지엄 아이덴티티, 뮤지엄 브랜딩, 브랜드 아이덴티티, 뮤지엄 운영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관련 사례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미래의 뮤지엄 콘텐츠를 기획하는 역량을 기를 수 있다.
CUL327 방송콘텐츠 기획
Broadcasting Contents Planning
방송콘텐츠의 기획 이론과 실무 프로세스를 학습하고 연구하는데 목표를 둔다. 문화적 역량을 통합적으로 구현한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방송콘텐츠의 사례를 연구 분석한다.
CUL326 콘텐츠이용자분석
Contents User Studies
관중, 소비자, 이용자 등 콘텐츠 이용자의 다양한 특성과 내용에 대해 탐구한다.
CUL329 콘텐츠 마케팅
Contents Marketing
문화콘텐츠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다양한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조사 방법과 다양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마케팅 전략 수립의 실무를 익힌다.
CUL354 스토리텔링심화실습(캡스톤디자인)
Practicing Advanced storytelling-Capstone Design
이 강의는 문화콘텐츠 기획의 근간을 이루는 스토리텔링 작업을 실습하기 위한 것이다. 콘텐츠적 특성과 디지털 문화환경을 적극 반영한 스토리텔링의 특성을 전제로 영화, 게임, 만화, 애니메이션, 드라마 등 전통적인 분야의 스토리텔링은 물론 테마파크 등의 공간에 대한 스토리텔링과 상품기획을 위한 스토리텔링까지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CUL312 디지털 아트와 미학
Digital Art and Aesthetics
미디어아트를 비롯한 디지털에 기반한 다양한 형태의 예술을 이해하고, 디지털 미학의 주요 개념과 의제들을 학습. 더불어 다양한 디지털 기반 예술 작품들을 감상/체험함.
CUL3211 콘텐츠와 브랜드
Contents and Brands
콘텐츠가 브랜드화가 되는 과정, 방식과 브랜드화가 되기 위한 조건과 브랜드 기획에 대해 학습을 함
CUL3212 축제 기획과 연출
Festival planning and management
축제는 특정한 주제와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대중의 참여와 지역문화와 경제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이에 본 교과목에서는 축제의 성립과 특성, 그리고 국내외의 다양한 축제에 대한 사례를 학습하고, 축제를 기획하는 연습을 함
CUL3217 문화도시와 문화콘텐츠
Cultural Cities and Cultural Contents
본 과목에서는 문화도시의 기본 개념을 학습하고, 국내외 문화도시의 다양한 유형과 사례를 분석함과 동시에 문화도시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문화콘텐츠를 발굴하고 제안할 수 있는 기획역량을 함양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 과정에서 도시의 이미지, 도시 정체성과 도시브랜드를 구축해 나가는데 있어 문화와 예술 및 문화콘텐츠의 역할을 조망해보고자 한다. 본 과목은 구체적으로 (1) 문화도시의 개념 및 관련 이론 학습, (2) 국내외 문화도시의 유형 및 사례 분석, (3) 문화도시의 발전 방향에 대한 고찰, (4) 문화도시를 위한 문화콘텐츠 기획 및 제안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하나의 유기체로서 끊임없이 변모하는 문화도시의 변화를 조망하고, 문화콘텐츠 기획자로서 지역과 공간속에서 인간과 문화의 공존에 대해 고찰할 수 있는 시각을 배양할 수 있다.
CUL454 콘텐츠 제작 워크샵
Content Creation Workshop
인문학에 기반을 둔 총괄 기획 능력과 스토리텔링 능력을 바탕으로 완성도 있는 문화콘텐츠 창작 작품을 제작한다.
CUL456 포트폴리오 제작 세미나
Portfolio Development Seminar
문화콘텐츠학 전공자들에게는 다양한 교과 및 비교과에서 스스로 기획하고 창작한 작품들을 종합하여 이를 새롭게 재정리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교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자기표현의 방법을 들을 익히고, 문화콘텐츠 기획, 제작 및 창작결과물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문화콘텐츠 기획 전문가로서의 사명과 비전을 정립하고, 향후 문화콘텐츠 산업계로 진출함에 있어, 차별화되는 자신만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수 있는 전문적인 포트폴리오를 기획 및 제작한다.
CUL426 문화매개와 콘텐츠
Cultural Mediation and Content
본 과목은 문화정책, 문화매개, 문화산업 콘텐츠와 관련하여 프랑스의 사례를 연구하고 우리 현장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 수업에서 다루는 분야는 다음과 같다.
1)프랑스 문화 정책의 역사적 특징과 문화 매개의 개념
2)프랑스 역사 문화 자원 활용 콘텐츠 사례
3)프랑스 지역 문화 시설 기반 콘텐츠 사례
4)프랑스 문화 산업 콘텐츠 사례
학생들은 각 분야 별 이론 및 사례 분석 강의를 듣고 한 학기 동안 관심 있는 사례를 선택하여 비판적으로 분석, 우리 현장에의 시사점을 이끌어내는 팀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이 강의를 통해 학생들은 프랑스 문화 정책의 역사와 특징, 문화 매개, 역사문화 자원의 활용, 문화 시설 기반 콘텐츠 개발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관련 사례를 분석하여 그 비판적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다.
HUM4112/HUM4113 산학협력전공실습1(캡스톤디자인)
Industry-Academia Project1-capston design
산업계의 수요를 반영한 산학협력 실습과목으로 학교와 기업의 공동지도 아래 주어진 과제를 수행한다. 현장실습을 통해 과제수행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고 진로선택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기업과의 산학협력을 통해 프로젝트에 참여함으로써 관련 산업에 대한 이해와 실무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able scroll image
대학필수, 계열별 필수, 전공기초, 일반선택 과목
교과과정
교과목코드 교과목명 개요
대학필수 CAJ01110 아주희망 전공진로탐색
Major and Career Exploration with Ajou Dream
단과대학과 각 전공별로 자율적으로 운영하되, 대학과 전공(학과)에 대한 소개와 함께 자기성찰을 통한 인생설계(꿈찾기) 및 진로설정을 위한 로드맵 작성을 그 내용으로 포함한다.
CAJ0119 아주인-신입생을 위한 마중물
AjouIn
본 교과는 신입생의 대학생활 정착에 필요한 제반 요소를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아주대인으로서의 소속감과 자긍심을 높이면서 대학생으로서의 새로운 경험과 활동 영역을 넓히는 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교과에서는 아주대의 역사, 교육이념, 인재상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대학에서 꼭 해야 하는 것과 이를 위해 대학이 도와줄 수 있는 것을 제시할 것이다. 더해서 다양한 강연을 통해 학생들이 미래사회에서의 삶의 비전을 스스로 설정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독립된 성인으로서의 삶을 시작하는 신입생들이 갖추어야 하는 윤리성과 책임감 및 자기관리와 관련된 강의 또한 제시할 것이다.
아주상상프로젝트
Ajou Sangsang Project
현대사회의 제 문제 관련 학생주도형 창의융합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신입생 핵심역량 함양 및 대학 정착 지원을 목표로 한다.
KOR104 대학글쓰기
College Writing
이 과목은 학생들이 대학 과정을 원활 하게 이수하고 지성인으로서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글쓰기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작문의 기초부터 논문 작성법에 이르는 이론 학습과 실습을 통해 학술적 논증적 글쓰기를 익히며,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통해 문해력과 소통 능력을 향상시킨다.
CENG105 영어
English
이 과목은 대학에서 학업 성취에 필수적인 영어 능력을 통합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상호작용 활동과 토론을 통해 말하기, 듣기, 대화 능력을 발전시키며, 다양한 주제의 학술 텍스트 분석을 통해 읽기와 쓰기 능력을 강화하게 된다. 학기 말에는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완성하고 이를 발표하게 된다.
계열별필수(SW) CCMP105 데이터분석기초
Basic Data Analysis
대표적인 오피스용 데이터 처리 도구인 EXCEL과 통계처리 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R을 활용하여 기초적인 데이터 처리 및 통계 처리 프로그래밍 역량을 배양한다. 통계 관련 지식보다는 도구 사용 능력을 배양하는 데 초점을 둔다. 프로그래밍 관련 지식이 전무한 비전공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데이터 분석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를 갖추게 해 주는 것도 이 과목의 주요 목표이다. 본 과목을 통해 배양되는 데이터 분석 프로그래밍 역량 및 이해를 바탕으로 추후 전공 분야에서의 심도 있고 유의미한 데이터 분석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CCMP202 영어 데이터 분석기초
Analysis of English Data
실증적인 영어자료 분석의 기본 원리와 방법론 이해를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주요 영어 코퍼스의 활용 방법과 코퍼스 분석 도구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학습한다. 영어 코퍼스의 분석과 학술적 혹은 실용적 목적의 활용을 경험하여 결과물을 도출하고자 한다.
전공기초 HUM106 문: 삶과 꿈
Life and Dream
본 수업에서는 인간과 사회를 잘 표현한 동서양의 고전작 품, 즉 우리나라의 고전 1편, 동양의 고전 1편, 서양의 고전 2편을 이들이 생산된 사회 배경을 참고하며 통독함으로써 인간, 사회, 언어, 예술이 무엇인지 탐구할 것이다.
HUM107 사: 시대와 정신
Age and Spirit
본 과목은 동서양의 역사(학) 고전을 탐독하고 질문하며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훈련을 통해 역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검토하고 역사 또는 역사학의 의미와 시대인식의 중요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수강생들은 특정 시대와 그 정신을 성찰하는 기회를 가지면서 세계 역사의 다양한 색채를 맛보고 과거, 현재, 미래를 관통하는 시대적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게 될 것이다.
HUM108 융: 융합과 사유
Convergence and Thought
철학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고전 읽기를 통해 사유 연습과 응용 및 융합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훈련을 통하여 전공 공부와 학제 간 연구의 기반을 형성하고, 나아가 우리 삶 속에서 배우고 익힌 것을 창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일반선택 HUM311 인문인턴십 1/2/3/4
Humanities Internship 1/2/3/4
회사, 박물관, 전시, 축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언어, 문학, 문화 등 전공에서 배운 지식을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전공 관련 실무 능력과 경험을 높인다.
table scroll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