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가기
  • 주메뉴 바로가기
  • 서브메뉴 바로가기
아주대학교
  • HOME
  • 사이트맵
  • LOGIN

모바일 메뉴 열기
  • 연구소소개
    • 연구소장 인사말
    • 연구소 소개
    • 연혁
    • 조직도
    • 오시는길
  • 연구진
    • 연구진 소개
  • 연구성과
    • 학술연구성과
    • 약과학자 후세대 양성 프로그램
    • 특허 및 기술이전
    • 산학협력 실적
  • 주요활동
    • PharmaVision 세미나
    • 약과학연구소 MOU
    • 학술대회 개최
  • 정보마당
    • 공지사항
    • 자료실
  • HOME
  • LOGIN
  • PORTAL
  • 발전기금
  • 연구소소개
    • 연구소장 인사말
    • 연구소 소개
    • 연혁
    • 조직도
    • 오시는길
  • 연구진
    • 연구진 소개
  • 연구성과
    • 학술연구성과
    • 약과학자 후세대 양성 프로그램
    • 특허 및 기술이전
    • 산학협력 실적
  • 주요활동
    • PharmaVision 세미나
    • 약과학연구소 MOU
    • 학술대회 개최
  • 정보마당
    • 공지사항
    • 자료실
모바일 메뉴 닫기
 
약과학연구소 약과학연구소

Research Institute of Pharmaceutical Sciences and Technology(RIPST)

약과학연구소

더보기

약과학연구소

아주대학교 약과학연구소의 새로운 소식입니다.
  • 공지사항
    • 2025.0715

      제11회 아주대학교 의·약학 공동 심포지엄 개최

      제 11회 아주대학교 의·약학 공동 심포지엄 개최 - 학술주제: 아주 바이오헬스 사이언스 리서치페어 - 일시: 2024.9.11(수) 09:00 ~ 11:50 - 장소: 아주대학교의료원 별관 B1 대강당/ ONLINE LIVE

    • 2023.1222

      제 10회 아주대학교 의·약학 공동 심포지엄 개최

      제 10회 아주대학교 의·약학 공동 심포지엄 개최 - 학술주제: 아주 바이오헬스 사이언스 리서치페어 - 일시: 2023.11.10(금) 13시 30분 - 장소: 아주대학교의료원 별관 B1 대강당/ ONLINE LIVE

    • 2021.1029

      제 8회 아주대학교 의약학 공동 심포지엄 개최

      제 8회 아주대학교 의·약학 공동 심포지엄 학술 주제 : 바이오헬스산업과 미래 신약개발 전략 일 시 : 2021.11.05(금) 13:30 장 소 : 아주대학교의료원 별관 B1 대강당 / ONLINE LIVE - 코로나 19의 장기화와 방역 관련 지침에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 개최 - 자세한 사항은 아래 포스터와 첨부파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제8회 의·약학공동심포지엄이 위와 같이 개최되오니,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바랍니다.-

    더보기
  • 자료실
    •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더보기
아주통일연구소, '경기통일포럼 2025' 개최··· 韓 평화와 동북아 공존전략 논의

아주뉴스

통일연구소, '경기통일포럼 2025' 개최··· 韓 평화와 동북아 공존전략 논의

아주대 산하 아주통일연구소가 <경기통일포럼 2025>를 개최했다.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공존 전략에 대해 논의하고 토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경기통일포럼 2025>는 25일 수원 라마다프라자호텔에서 경기도 후원, 아주통일연구소·경인통일교육센터·북한연구학회·경기연구원·아주경제 공동 주최 및 주관으로 개최됐다. 광복 80주년·아주통일연구소 설립 10주년을 맞아 열린 이번 행사는 ‘불확실성의 시대, 한반도 평화와 동북아 공존 전략: 남북관계, 국제질서, 기후위기’를 대주제로 열렸다. 아주대 최기주 총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정동영 통일부 장관(대독)·이왕휘 아주통일연구소장의 환영사 ▲이인영 국회의원(제41대 통일부장관)의 ‘한반도 평화의 길’ 기조연설이 이어졌다. 이후 ▲남북관계 ▲국제질서 ▲기후위기 세 가지를 핵심 주제로 3개 분과에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첫 번째 세션은 ‘남북관계 전망과 접경 지역의 과제’를 주제(사회 김남국 고려대 정외과 교수)로 진행됐다. 최용한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부원장, 이주성 남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사무총장, 한모니까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교수가 참여해 남북관계의 현황과 미래 전망, 접경 지역의 평화적 활용 방안 등 현실적 과제에 대한 정책적 해법을 논의했다. 특히 한모니까 교수는 ‘DMZ의 역사: 비무장 지대화의 형성과 현재의 의미’를 주제로 접경 지역의 새로운 의미를 조명했다. 안호영 경남대 석좌교수(전 주미한국대사)의 사회로 진행된 두 번째 세션 ‘국제질서와 한반도 평화’에는 러시아, 일본, 중국 전문가인 안드레이 코브시 KDI국제정책대학원 겸임교수(전 상트페테르부르크국립대 교수), 이즈미 사쿠라이 동서대 객원교수(전 아사히신문 국제보도부 기자), 김상규 미래전략연구실 경기연구원이 참여했다. 이 세션에서는 ▲트럼프 2.0시대의 한-러 관계 ▲일본 정권의 동북아시아 정책 전망 ▲중국의 전략과 한반도 평화를 제목으로 급변하는 국제질서 속에서 한반도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외교적, 전략적 접근 방안이 발표됐다. 세 번째 세션은 ‘기후위기 시대 개발협력과 한반도’를 주제로 강택구 한국환경연구원 연구위원이 사회를 맡아 진행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교수, 문경연 전북대 국제개발협력원 원장, 이경희 한국수출입은행 북한개발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이 북한의 지진, 화산, 재해, 국제사회의 개발협력, 신기후체제 하 남북 협력 방안 등 새로운 안보 위협인 기후 위기에 대한 실질적인 대응책을 모색했다. 아주대 최기주 총장은 개회사에서 “증대되는 국제사회의 불확실성과 남북관계의 경색 국면 하에서도 지난 경주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는 한국의 국제적 위상을 확인하는 시간이었다”라며 “그러나 한반도 평화와 통일은 우리 혼자 힘으로 달성하기 어렵고, 동북아지역 국가들의 공존적 인식이 전제될 때 가까워질 것”이라고 전했다. 이왕휘 아주통일연구소장(아주대 정외과 교수)의 환영사 ‘한반도 평화의 길’ 기조연설에 나선 이인영 국회의원(제41대 통일부장관)
‘이종철 장학’ 1억원 쾌척

아주뉴스

‘이종철 장학’ 1억원 쾌척

- 장학누적기금 7억5천만원 돌파 - 15년부터 11년 간 198명 학생에 장학금 지원 이종철 대산재단 이사장의 기부금 전달식이 열렸다. 우리 대학에 기부를 이어온 이종철 기부자의 뜻은 ‘이종철 장학’의 이름으로 이어지고 있다. 25일 율곡관 총장실에서 열린 기부금 전달식에는 대산재단 이종철 이사장(위 사진 왼쪽)과 김기권 아경장학재단 이사장이 참석했다. 학교에서는 최기주 총장과 조경숙 대학발전본부장을 비롯한 대학 관계자들이 참석해 감사를 전했다. 이 날 이종철 이사장은 ‘이종철 장학기금’으로 1억원을 기부했다. ‘이종철 장학기금’은 아주대 학생들이 큰 꿈을 꿀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이종철 기부자의 뜻을 바탕으로 누적 기금 7억5000만원을 돌파했다. 해당 기금으로 학교는 학업 의지가 강하고 바른 생활 자세로 타의 모범이 된 학생들을 매 학기 선발해 지원하고 있다. 지난 2015년 1학기부터 11년 동안 총 198명의 학생이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장학금을 받았다. 아주대학교 경영대학원 동문(최고경영자과정 43기)인 이종철 대산재단 이사장은 아경장학재단의 제4대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아경장학재단 고문을 맡고 있다. 아경장학재단은 아주대 경영대학원 총동문회가 2007년 4월 설립한 장학재단이다. 이종철 이사장은 “학생들이 큰 꿈을 꾸고, 날개를 활짝 펼칠 수 있도록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싶다”라는 바람을 전했다. 대산재단은 이종철 기부자가 고향과 지역의 발전에 기여할 훌륭한 인재를 육성하고 어려운 이웃을 돕고자 2010년에 설립했다. 재단은 미래 인재를 위한 장학 사업과 장애인 복지재단·노인 복지재단 후원 등에 앞장서고 있다. 왼쪽부터 최기주 총장, 이종철 기부자, 김기권 아경장학재단 이사장
AI시대 보안 동향 공유, '2025 데이터COSS의 날' 개최

아주뉴스

AI시대 보안 동향 공유, '2025 데이터COSS의 날' 개최

아주대학교 혁신융합원 데이터보안·활용융합 혁신융합대학사업단이 <2025 데이터COSS의 날>행사를 개최했다. ‘AI 시대 사이버보안의 미래를 디자인하다’를 주제로 국내외 보안 전문가들이 참여해 보안 기술의 오늘과 내일에 대해 학생들과 이야기를 나눴다. 데이터보안·활용융합 혁신융합대학사업단(단장 곽진 사이버보안학과 교수)은 7일 성호관 COSS대단위강의실에서 <2025 데이터COSS의 날> 행사를 열었다. 우리 학교 학생들과 해당 사업에 함께 참여하는 컨소시엄 내 4개 대학 학생들이 함께 자리했다. 데이터 보안과 AI 활용 전략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과 생생한 사례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행사에는 ▲구글(Google) ▲아마존웹서비스(AWS)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 국내외 주요 기업·기관 관계자들이 연사로 나섰다. 박서연 한양대ERICA 융합보안학과 교수의 ‘LLM Agent기반 사이버공격 위험 분석’ 발표를 시작으로 ▲최근 사이버 위협 동향(박태환 안랩 본부장) ▲산업현장의 새로운 실험실 디지털트윈 기술 이야기(진병각 나모웹비즈 대표) ▲데프콘, 그리고 AI가 바꾸는 해킹의 미래(김승환 엔키화이트햇 팀장) 발표가 이어졌다. ▲글로벌 규제 대응 자동차 사이버 보안 동향(정원선 한국자동차연구원 부장) ▲사이버보안 정책 트랜드 변화와 우리의 준비(오동환 한국인터넷진흥원 단장) ▲중국은 더이상 한국을 추격하지 않는다(이준호 한국화웨이 부사장) ▲생성형AI를 활용한 보안 취약점 점검 및 대응 전략(서진원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스페셜리스트) ▲Google의 신뢰(Trust)와 방어: 핀테크 CISO가 바라본 보안(이대근 구글 페이먼트 코리아 보안최고책임자) ▲혁신을 위한 Amazon의 문화(이호석 AWS 코리아 보안최고책임자) 발표도 진행됐다. 그 밖에도 이번 행사의 일환으로 팔달관 1층 로비에서 사이버보안학과 학생들의 활동 내용 전시와 포토부스가 운영되어, 참여 학생들을 위한 교류의 장이 됐다. 아주대 데이터보안·활용융합 혁신융합대학사업단은 교육부의 ‘첨단분야 혁신융합사업’에 참여, 데이터보안활용융합 연계전공을 운영하고 있다. 이 사업은 대학 간의 수업, 시설, 교육 콘텐츠 공유를 통해 첨단분야 전문 인재를 키워내기 위해 18개 분야(지자체 참여형-데이터보안활용융합, 항공·드론, 반도체 소·부·장, 이차전지, 차세대통신, 에코업, 그린바이오, 첨단소재·나노융합, 차세대 디스플레이, 사물인터넷 / 대학주도형-인공지능, 빅데이터, 차세대반도체, 미래자동차, 바이오헬스, 실감미디어, 지능형로봇, 에너지신산업)에서 진행되고 있다. 아주대는 지자체 참여형 데이터보안활용융합 부문에 강원대학교(주관), 한양대학교(에리카), 충남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와 함께 참여하고 있다. 우리 학교 사이버보안학과와 소프트웨어학과의 주도로 운영되는 데이터보안활용융합 연계전공은 학과 불문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사이버보안·클라우드·블록체인 분야 교육을 타 대학과의 협동과정으로 제공한다. 곽진 아주대 데이터보안·활용융합 혁신융합대학사업단장의 인사말 성호관 COSS대단위강의실에서 진행된 행사 모습 ☞아주대 데이터보안·활용융합 혁신융합대학사업단 홈페이지
  • 중앙도서관
  • E-클래스
  • 학사정보
  • 장학정보
  • 증명서발급
  • 취업정보
대학/대학원 선택
  • 공과대학
  • 첨단ICT융합대학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자연과학대학
  • 경영대학
  • 인문대학
  • 사회과학대학
  • 법과대학
  • 의과대학
  • 간호대학
  • 약학대학
  • 첨단바이오융합대학
  • 다산학부대학
  • 국제학부
  • 전문대학원
  • 특수대학원
GO
중요기관 링크 선택
  • 의료원
  • 중앙도서관
  • 입학처
  • 산학협력단
  • 국제교육센터
  • 글로벌미래교육원
  • 아주심리상담센터
  • 공동기기센터
  • 총동문회
  • 과학영재교육원
GO
아주대학교약과학연구소
  • [16499]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206 아주대학교 약과학연구소
  • TEL : 031-219-3508

COPTRIGHT(C)2023 Research Institute of Pharmaceutical Sciences and Technology(RIPST).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