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가기
  • 주메뉴 바로가기
  • 서브메뉴 바로가기
아주대학교
  • HOME
  • 사이트맵
  • LOGIN

모바일 메뉴 열기
  • 연구소소개
    • 연구소장 인사말
    • 연구소 소개
    • 연혁
    • 조직도
    • 오시는길
  • 연구진
    • 연구진 소개
  • 연구성과
    • 학술연구성과
    • 약과학자 후세대 양성 프로그램
    • 특허 및 기술이전
    • 산학협력 실적
  • 주요활동
    • PharmaVision 세미나
    • 약과학연구소 MOU
    • 학술대회 개최
  • 정보마당
    • 공지사항
    • 자료실
  • HOME
  • LOGIN
  • PORTAL
  • 발전기금
  • 연구소소개
    • 연구소장 인사말
    • 연구소 소개
    • 연혁
    • 조직도
    • 오시는길
  • 연구진
    • 연구진 소개
  • 연구성과
    • 학술연구성과
    • 약과학자 후세대 양성 프로그램
    • 특허 및 기술이전
    • 산학협력 실적
  • 주요활동
    • PharmaVision 세미나
    • 약과학연구소 MOU
    • 학술대회 개최
  • 정보마당
    • 공지사항
    • 자료실
모바일 메뉴 닫기
 
약과학연구소 약과학연구소

Research Institute of Pharmaceutical Sciences and Technology(RIPST)

약과학연구소

더보기

약과학연구소

아주대학교 약과학연구소의 새로운 소식입니다.
  • 공지사항
    • 2025.0715

      제11회 아주대학교 의·약학 공동 심포지엄 개최

      제 11회 아주대학교 의·약학 공동 심포지엄 개최 - 학술주제: 아주 바이오헬스 사이언스 리서치페어 - 일시: 2024.9.11(수) 09:00 ~ 11:50 - 장소: 아주대학교의료원 별관 B1 대강당/ ONLINE LIVE

    • 2023.1222

      제 10회 아주대학교 의·약학 공동 심포지엄 개최

      제 10회 아주대학교 의·약학 공동 심포지엄 개최 - 학술주제: 아주 바이오헬스 사이언스 리서치페어 - 일시: 2023.11.10(금) 13시 30분 - 장소: 아주대학교의료원 별관 B1 대강당/ ONLINE LIVE

    • 2021.1029

      제 8회 아주대학교 의약학 공동 심포지엄 개최

      제 8회 아주대학교 의·약학 공동 심포지엄 학술 주제 : 바이오헬스산업과 미래 신약개발 전략 일 시 : 2021.11.05(금) 13:30 장 소 : 아주대학교의료원 별관 B1 대강당 / ONLINE LIVE - 코로나 19의 장기화와 방역 관련 지침에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 개최 - 자세한 사항은 아래 포스터와 첨부파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제8회 의·약학공동심포지엄이 위와 같이 개최되오니,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바랍니다.-

    더보기
  • 자료실
    •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더보기
최중원·김원진·서병덕 기부자 기	부금 전달식

아주뉴스

총동문회·신명이엔씨(주)·서병덕 기부자 기부금 전달식 열려

총동문회와 신명이엔씨(주), 서병덕 기부자의 기부금 전달식이 마련됐다. 지난 15일 율곡관 총장실에서 열린 이 날 행사에는 최중원 아주대 총동문회 회장과 김원진 신명이엔씨㈜ 대표, 서병덕 아주대 보안요원 겸 기부자가 참석했다. 학교에서는 최기주 총장과, 조경숙 대학발전본부장이 자리했다. 최기주 총장이 아주 가족을 대표해 기부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고 기부자들의 뜻을 담아 기부금을 소중히 사용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주대학교 총동문회(회장 최중원, 경제학과 84)는 '아주대 동문장학', ‘개교 50주년 중앙도서관 리모델링 기금’ 등으로 누적 4억원을 기부했다. 최중원 총동문회장은 “동문들의 후배 사랑이 있었기에, 오늘 이처럼 뜻 깊은 기부의 자리가 마련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신명이엔씨㈜(대표 김원진)는 올 4월 환경 보호와 사회적 책임 실천을 위해 ‘아주 ESG기금’으로 5000만원을 기부했다. 이는 아주ESG기금이 조성된 이후 최초의 기부이다. 해당 기금은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을 위한 환경(E)·사회(S)·거버넌스(G) 분야의 실천적 가치를 바탕으로, 환경·기후 관련 연구 또는 교육 지원을 위해 운영되고 있다. 서병덕 기부자는 우리 학교 보안업무를 맡은 직원으로 재직 중이며, 연기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서병덕 기부자는 ‘아주동행장학기금’으로 1000만원을 쾌척했다. 해당 기금은 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학생들이 학업에 매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조성된 장학기금이다. 서병덕 기부자는 지난 2020년부터 우리 학교 보안 직원으로 근무하고 있으며 프리랜서 연기자 생활도 병행 중이며 12편여의 영화에 주조연으로 출연한 바 있다. 최기주 총장과 최중원 총동문회장최기주 총장과 김원진 신명이앤씨㈜ 대표최기주 총장과 서병덕 기부자
강영화 과장, '수원 ITS 아태총회' 성공 개최 기여..수원특례시 표창

아주뉴스

강영화 과장, '수원 ITS 아태총회' 성공 개최 기여..수원특례시 표창

우리 학교 혁신융합팀 강영화 과장이 ‘2025 수원 ITS 아태총회’의 성공적 개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원특례시 표창을 받았다. ‘2025 수원 ITS 아태총회(2025 Suwon ITS AP Forum)’는 국토교통부·수원특례시 주최로 지난 5월28일부터 5월30일까지 3일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 'ITS가 제시하는 초연결 도시(Hyper-Connected Cities by ITS)‘를 주제로 한국과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호주 등 아태지역 37개국의 전문가와 기업인 4000여명이 모여 ▲고위급 회의 ▲학술발표 ▲부스 운영 ▲기술 시연 및 시찰 등에 함께 했다. 드론 아트쇼와 버스킹 공연, 플리마켓 등 부대행사도 다양하게 마련되어 시민들도 참여했다. 1996년 일본 도쿄에서 시작된 ITS 아태총회는 ITS 세계총회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열리는 해를 제외하고는 매년 개최되어 왔다. 한국에서 ITS 아태총회가 개최된 것은 지난 ’2002 서울 아태총회‘ 이후 23년 만이다. 우리 학교 미래자동차 혁신융합대학사업단(단장 윤일수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은 글로벌 행사인 ‘2025 수원 ITS 아태총회’의 개최를 앞두고, 이 행사의 성공 개최를 위해 수원시와 적극 협력해왔다. 사업단은 지난해 10월 ‘수원 ITS 아태총회를 위한 관·학·연 공동학술포럼’의 공동주관을 맡아, 2025 수원 ITS 아태총회 조직위원회-경기대학교-수원시정연구원과 함께 행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또한 ‘2025 수원 ITS 아태총회’ 본 행사에서 아주대 포함 7개 대학으로 구성된 미래자동차 혁신융합대학사업단의 이름으로 홍보전시관을 운영했다. 전시관에서 사업단은 VR 체험과 자율주행 개조 차량 등을 선보였다. 더불어 총회 기간 중 열린 <대학생 ITS 아이디어톤 대회>의 주관을 맡아, 11개 대학 35개팀의 학생들이 그동안 쌓아온 기량을 겨룰 기회를 제공했다. 수원특례시는 이번 ITS 아태총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해 수원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ITS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사, 미래자동차 혁신융합대학사업단을 대표해 강영화 과장에게 표창을 수여했다. 아주대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 미래자동차 분야 사업에 지난 2021년부터 참여해왔다. 국민대·계명대·선문대·인하대·충북대·대림대 6개 대학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미래자동차 분야의 첨단분야 교육 인프라를 공동으로 공유·운영하고 신기술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위 사진 - 아주대 혁신융합팀 강영화 과장과 아태총회 조직위원회 TF팀 이태환 팀장 미래자동차 혁신융합대학사업단이 ‘2025 수원 ITS 아태총회’에 마련한 부스에 함께 한 관람객들 미래자동차 혁신융합대학사업단 주관으로, 아태총회 행사 기간 중 개최된 <대학생 ITS 아이디어톤 대회>의 시상식
화학과 이인환 교수팀, 반도체성 고분자 구조 설계 新합성법 개발

아주뉴스

화학과 이인환 교수팀, 반도체성 고분자 구조 설계 新합성법 개발

우리 학교 이인환 교수 연구팀이 반도체성 고분자 소재의 구조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새로운 합성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에 전자소자에 활용되는 고분자를 보다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차세대 유기 반도체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인환 교수는 세 종류의 단량체를 한 번에 반응시키는 ‘다성분 중합법(Multicomponent Polymerization, MCP)’을 통해 반도체성 고분자 내부의 서열을 정밀하게 제어하고, 다양한 구조를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할라이드 쌍 기반 다중 성분 중합법을 통한 서열 제어 반도체성 덴드론 고분자의 라이브러리 합성(Versatile Halide-Pair-Driven Multicomponent Polymerization for Library Synthesis of Sequence-Controlled Semiconducting Dendronized Polymers)'이라는 논문으로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7월호에 게재됐다. 이번 논문은 우수한 리뷰 평가를 받아, 'Very Important Paper(VIP)'로 선정됐다. 해당 연구에는 아주대 대학원 에너지시스템학과 박사과정의 최해남 학생(위 사진 오른쪽)이 제1저자로 참여했고, 공동저자로 고수민(아주대 에너지시스템학과 석사 졸업)·손세민(아주대 에너지시스템학과 석박사통합과정)·우지수(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석사과정)·박현우(ETH 취리히 재료과 박사과정)·이동준(아주대 에너지시스템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졸업) 학생이 함께 했다. 최태림 ETH 취리히 재료과 교수, 곽원진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김환명 아주대 에너지시스템학과 교수는 공동저자로, 이인환 아주대 화학과 교수(위 사진 왼쪽)는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폴리(트라이아릴아민) 고분자(PTAA)는 ▲유기 발광 소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전기변색 소자 ▲신축성 전자소자 ▲배터리 전극 등 다양한 유기전자소자에 활용되며, 특히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서 전공 수송층 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고분자 폴리(트리아릴아민) 합성은 반응 중간체를 여러 단계에 걸쳐 합성하고 정제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했으며, 이는 상업성과 경제성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었다. 이번 연구의 핵심은 쉽게 구할 수 있는 세 가지 단량체를 한 번에 혼합한 상태에서, 각 단량체의 반응 순서를 정교하게 설계함으로써 반도체성 고분자의 서열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중합 전략을 제시한 데 있다. 연구팀은 아릴아민(arylamine)과 두 종류의 아릴 다이할라이드(aryl dihalide) 단량체를 조합해, 세 단량체가 정해진 순서로 연결된 반도체성 고분자 폴리(트라이아릴아민)의 라이브러리 합성에 성공했으며, 이 전략을 확장해 복잡한 구조의 덴드론화 고분자까지 구현함으로써 고분자 구조의 다양성을 크게 넓혔다. 그 결과 전자소자에 활용되는 폴리(트라이아릴아민) 고분자 및 그 파생 구조들을 라이브러리 형태로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차세대 유기 반도체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인환 아주대 화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 개발을 통해 고가의 폴리 고분자를 단일 반응으로 저렴하고 다양하게 합성할 수 있게 되었다”라며 “유기전자소자의 성능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 G-LAMP 프로그램, 유용물질 생산을 위한 Carbon to X 기술개발사업, 선도연구센터(MRC)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순차적 C-N 커플링 반응을 통한 서열 조절 반도체성 고분자의 합성 과정을 보여주는 이미지
  • 중앙도서관
  • E-클래스
  • 학사정보
  • 장학정보
  • 증명서발급
  • 취업정보
대학/대학원 선택
  • 공과대학
  • 첨단ICT융합대학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자연과학대학
  • 경영대학
  • 인문대학
  • 사회과학대학
  • 법과대학
  • 의과대학
  • 간호대학
  • 약학대학
  • 첨단바이오융합대학
  • 다산학부대학
  • 국제학부
  • 전문대학원
  • 특수대학원
GO
중요기관 링크 선택
  • 의료원
  • 중앙도서관
  • 입학처
  • 산학협력단
  • 국제교육센터
  • 글로벌미래교육원
  • 아주심리상담센터
  • 공동기기센터
  • 총동문회
  • 과학영재교육원
GO
아주대학교약과학연구소
  • [16499]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206 아주대학교 약과학연구소
  • TEL : 031-219-3508

COPTRIGHT(C)2023 Research Institute of Pharmaceutical Sciences and Technology(RIPST).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