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5
- 작성자김흥규
- 작성일2023-11-09
- 172
- 동영상동영상
-
-
23
- 작성자김흥규
- 작성일2023-09-19
- 161
- 동영상동영상
-
-
21
- 작성자김흥규
- 작성일2023-08-01
- 182
- 동영상동영상
-
2021년 11월 16일(화) 아주대 미중정책연구소는 한-중 양국의 외교안보 전문가들을 모시고"제8회 한-중 정책학술회의"를 Webiar로 개최하였습니다.코로나19로 인하여 일부 한국측 참가자만 아주대 현장에 모여서 진행하였고, 대부분의 한중 참가자와 방청자는 Zoom을 통하여 참석하였습니다. 세미나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제8회 한-중 정책학술회의프로그램 개막식(14:00-14:30) 개막사 문희상, 한중수교30주년기념사업 준비위원회 명예위원장 닝푸쿠이, 전 주한중국대사 축 사 천진환, 김구기금회 부이사장기조연설 쟈칭궈, 북경대학교 중외인문교류연구센터 주임 및 교수, 전 북경대 국제관계학원장 노재헌, 한중수교30주년기념사업 준비위원회 상임위원장 Session 1 (14:30-15:30) 주제: 현재의 미중 전략경쟁 및 동북아 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는? 사회 장샤오밍, 북경대학교 국제관계학원 교수 및 아태연구원 부원장발표 이상현, 세종연구소 소장 장윈링, 산동대학교 석좌교수 및 국제문제연구원 원장토론 부형욱, 국방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 선임행정관 퍄오동쉰, 연변대학교 국제정치연구소 주임 및 국제정치학과 교수 Session 2 (15:30-16:30) 주제: 한중 양국간의 해양분쟁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사회 홍현익, 국립외교원 원장발표 양희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법·정책연구소 소장 주펑, 남경대학교 국제관계연구원 원장, 중국국제관계학회 부회장토론 이왕휘, 아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왕쥔셩, 중국사회과학원 아태글로벌전략연구원 연구원 및 중국주변전략연구실 주임 Session 3 (16:40-17:40) 주제:한중관계 개선을 위해 해야할 일은 무엇인가? 사회 리춘푸, 남개대학교 아태연구센터 부주임 전봉근, 국립외교원 교수 및 전 외교안보연구소 대리소장발표 이창형, 대륙전략연구소 소장, 국방연구원 명예연구위원 장징췐, 산동대학교 동북아학원 부원장 및 국제문제연구원 부원장 및 교수토론 마상윤, 전 외교부 정책기획관, 카톨릭대학교 교수 정지용, 상해복단대학교 조선한국연구센터 주임 Wrap-up (17:40-18:00) 왕동, 북경대학교 중외인문교류연구센터 부주임 및 국제관계학원 교수김흥규, 아주대학교 미중정책연구소 소장, 외교부 외부혁신위원회 위원장, 청와대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 [전체 토론자]김진호, 단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한중수교30주년기념사업 준비위원회 사무처장第八届 中韩政策学术会议议程 开幕式(13:00-13:30) 开幕词 文喜相 中韩建交30周年纪念活动筹备委员会名誉委员长 宁赋魁 前驻韩中国大使祝 词 千辰焕 金九基金会副理事长主旨演讲 贾庆国 北京大学中外人文交流研究基地主任、北京大学国际关系学院原院长、教授 卢载宪 中韩建交30周年纪念活动筹备委员会常任委员长 Session 1 (13:30-14:30) 主题 评估当前中美战略竞争及其对东北亚安全的影响主持 张小明 北京大学国际关系学院教授、北京大学亚太研究院副院长发表者 韩方: 李相贤 世宗研究所长 中方: 张蕴岭 山东大学讲席教授、国际问题研究院长讨论者韩方: 夫炯旭 韩国国防研究院高级研究委员,前前青瓦台国家安全室行政官中方: 朴东勋 延边大学国际政治研究所主任、国际政治系教授 Session 2 (14:30-15:30) 主题 如何应对中韩两国之间的海洋问题主持 洪铉翼 韩国国立外交院长发表者韩方:梁熙喆 韩国海洋科技院海洋法与政策研究所长中方:朱锋 南京大学国际关系研究院院长、中国国际关系学会副会长讨论者韩方:李王徽 亚洲大学政治外交系教授中方:王俊生 中国社科院亚太与全球战略研究院研究员、中国周边战略研究室主任 Session 3 (15:40-16:40) 主题 为了中韩关系的改善,应该做什么?主持 李春福 南开大学亚洲研究中心副主任 田奉根 韩国国立外交院教授,前外交安保研究所执行所长发表者韩方:李昌衡 大陆战略研究所长,韩国国防研究院名誉研究委员中方:张景全 山东大学东北亚学院副院长、国际问题研究院副院长、教授讨论者韩方:马相润 前外交部政策规划局长,天主教大学教授中方:郑继永 上海复旦大学朝鲜韩国研究中心主任 Wrap-up (16:40-17:00) 王栋 北京大学中外人文交流研究基地执行主任、北京大学国际关系学院教授金兴圭 亚洲大学中美政策研究所长,外交部外部改革委员会委员长,青瓦台国家安保室政策顾问 综合讨论者金珍鎬 檀国大学政治外交系教授,中韩建交30周年纪念活动筹备委员会事务总长
-
19
- 작성자김흥규
- 작성일2021-12-22
- 311
- 동영상동영상
-
2019년 10월 31일(목)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는 한-중 양국의 외교안보 전문가들을 모시고 "제6회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한-중 정책학술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제6회 한-중 정책학술회의 일시: 2019년 10월 31일, 10:00-18:00장소: 아주대 율곡관 대강당주제: 본격화된 미중 전략경쟁과 한중의 선택주최: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는 2014년 9월 설립된 이후 그간 한중 양국 관계의 협력과 발전을 목표로 꾸준히 노력해 왔습니다. 그 중 가장 주요한 행사로서 매년 가을에 [한-중 정책 학술회의]를 꾸준히 개최하였습니다. 한중이 사드(THAAD)문제로 인해 교류가 거의 중단되었던 시기에도 이 세미나만큼은 양국 주요 당국자들의 주목을 받으면서 개최되어 한중 양국 간 상호 이해를 증진하는 데 일익을 담당하였습니다. 2019년 한 해는 참으로 극적이었습니다. 우선, 세계적인 차원에서 미중 전략경쟁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그 변화의 폭과 깊이는 우리가 기존에 경험한 수준을 넘어 보다 본질적인 국제질서에 대한 변환을 내포하는 듯합니다. 글로벌 공급체인도 붕괴되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 국제질서에 순응하여 안보와 경제발전을 구가하던 한국에게는 커다란 도전입니다. 주변 강대국들은 각자 도생의 길로 들어서고 있습니다. 한국 역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여 새로운 외교·안보·대북 정책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에 도달하였다고 보여집니다. 두 번째, 한반도 비핵화, 즉 북한 비핵화의 문제 역시 미중 전략경쟁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습니다. 북한 비핵화는 더 이상 미국과 중국의 대외정책 우선순위가 아닐 것입니다. 미중은 이 사안을 어떻게 미중 전략경쟁에 더 적절히 활용할 지를 고민할 개연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북한의 비핵화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합니다. 더구나 북한은 지속적인 대남 군사력 강화를 통해 한국의 안보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 한일관계가 갈등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미중 전략경쟁의 관점에서 해석해야 할지, 그리고 이 갈등에 대한 대응을 어떠해야 하는 지도 초미의 관심사입니다. 미중 전략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복잡한 일본의 정세판단과 전략적 이해를 반영하고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서 새로운 중일관계의 전개도 깊은 관심사입니다. 이 모든 도전 과제들은 모두 우리의 운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단히 중요한 사안들입니다. 대응책을 찾기도 쉽지 않아 보입니다. 기존의 질서관, 제도, 규범, 패턴 등이 훼손되면서 국제정세의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이 강화되고 예측도 쉽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도전은 비단 한국만의 문제는 아닐 것입니다. 중국 역시 그 당사자이자 동시에 영향을 받는 위치에서 외교안보 정책의 갈림길에 놓여 있다고 보여 집니다. 이 시기에 동아시아·서태평양 지역의 주요 행위자인 한국과 중국의 전문가들이 모여 상호의 관심사를 심도 깊게 논하고 공동의 이익을 찾아가는 과정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여겨집니다. 저희 아주대에서 개최하는 한중 정책학술회의는 그간 외교안보 분야에서 양국의 최고의 전문가 및 관계자들이 모여 상호의 관심사들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하는 장이 되어 왔습니다. 금년 개최되는 제6차 한중 정책학술회의 역시 한중 모두가 직면한 난제들을 정면으로 다룰 것입니다. 양국의 정책결정에 도움을 제공하고 동시에 상호 협력의 가능성을 탐색할 것입니다. 이 엄중한 시기에 모두 바쁘시겠지만, 부디 시간을 내어 저희 아주대 한중 정책학술회의에 참석해 주시기를 청합니다. 서로에게 모두 소중한 소통과 이해의 장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소장 김 흥 규 배상 제6회 한-중 정책학술회의 프로그램 축사(10:00~10:20)박형주, 아주대 총장 정세현, 민주평화통일위원회 수석부의장, 전 통일부 장관 제1세션(10:20~12:10) 주제: 미중 전략 경쟁의 전망과 함의: 동아시아 국제관계에 미치는 영향은?사회: 김흥규,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소장발표:현오석, 전 경제부총리신정승, 전 주중대사장퉈셩, 중국 국제전략연구기금회 학술위원회 주임청샤오허, 중국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부교수, 판구연구소 선임연구원 점심(12:10~13:40) 제2세션(14:00~15:50) 주제: 미중 전략경쟁과 새로운 국제질서의 형성사회: 라종일,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전 주영대사발표:이상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전 외교부 정책기획관배기찬,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평화번영 분과위원, 전 대통령 동북아비서관왕동, 중국 북경대 사회과학부 부부장, 판구연구소 사무총장리난, 중국 사회과학원 미국연구소 연구원, 판구연구소 선임연구원 제3세션(16:00~17:50) 주제: 미중 전략경쟁과 한반도 안정, 한중 관계에 대한 함의는? 사회: 고유환,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평화번영분과 위원장, 동국대 교수발표:전봉근, 국립외교원 교수, 외교안보연구소 소장(대행)양희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책연구소 소장왕쥔셩, 중국 사회과학원 아태 및 전구전략문제연구원 연구원, 중국주변전략연구실 주임정지용, 중국 상해 복단대 조선한국연구소 주임 겸 교수 폐회식(17:50~18:00)만찬(18:30~20:30) 토론자:리춘푸, 중국 남개대 한국/아시아 연구센터 부주임퍄오둥쉰, 중국 연변대 조선한국연구소 주임, 국제정치학과 교수뤼핑, 중국 대련외국어대 국제관계학과 조교수 정상기, 전 외교부 동북아협력대사차두현, 아산정책연구소 객원연구위원윤석준,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이창형, 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양평섭,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지역연구센터 소장박병광,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설인효, 한국국방연구원 현안팀장 및 부연구위원정환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중국조사담당관김진호, 단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17
- 작성자김흥규
- 작성일2020-10-11
- 380
- 동영상동영상
-
2018년 11월 22일(목)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는 아주대학교 율곡관 강당에서 제5회 한-중 정책학술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미중 전략 경쟁 시기의 한중관계 [초청의 글]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는 2014년 9월 설립된 이후 그간 한중 양국 관계의 협력과 발전을 목표로 꾸준히 노력해 왔습니다. 그 중 가장 주요한 행사로서 매년 가을에 [한중 정책 학술세미나]를 꾸준히 개최하였습니다. 한중이 사드(THAAD)문제로 극도로 갈등하면서 교류가 거의 중단되었던 시기에도 이 세미나만큼은 양국의 주요 당국자들의 주목을 받으면서 개최되어 한중 양국 간 상호 이해를 증진하는 데 일익을 담당하였습니다. 2018년 한 해는 참으로 극적이었습니다.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로 인해 2017년 말 전쟁 직전까지 치달렸던 위기를 넘어 공존과 평화를 위한 노력이 한반도에서 지난하게 펼쳐졌습니다. 6월 12일에는 북미 간에 역사적인 첫 정상회담이 있었습니다. 지난 9월 18~20일 평양에서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위원장 간에 개최된 정상회담을 포함하여, 총 세 차례에 걸친 남북 정상 회담이 있었습니다. 북중 간에도 세 차례 정상회담이 개최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에서의 안정과 평화는 여전히 풀기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비핵화 과정은 아직도 어려운 장애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낙관만을 할 상황은 아닙니다. 또한 새로이 전개되고 있는 미중 간의 전략적 경쟁의 심화는 비핵화 과정뿐만 아니라 동북아 전체 외교안보 및 경제 정세에 큰 불안감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이는 남북 관계뿐만 아니라 한중 관계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저희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는 금년 11월 22일 [미중 전략경쟁 시기의 한중관계]를 주제로 제5회 [한중 정책 학술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한중의 전문가들이 모여 현 정세를 분석하고 전망하면서, 아무리 어려운 도전이 닥친다 하더라도 한중이 협력하고, 한반도 안정과 비핵화를 실현하면서, 모든 당사자들이 공동 발전할 수 있는 길을 찾아나가려 합니다. 이 세미나는 여러분들의 지혜를 모아 한중 양국 정부와 각계에 2018년 이후 양국의 외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조언과 자문을 하는 데 활용하였으면 합니다. 보다 많은 분들이 오셔서 이 세미나를 빛내 주시기를 앙청합니다. 바쁘신 가운데에서도 저희 세미나에 관심을 가져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인사 전합니다.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소장 김흥규 배상 프로그램 일시: 2018년 11월 22일(목) 10:00-18:00장소: 아주대 율곡관 대강당 축사 박형주 아주대 총장 축사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 제1세션(10:20~12:00) 미중 전략 경쟁은 새로운 냉전의 시작인가: 전망과 함의사회: 김흥규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소장발표자:장퉈셩 중국 국제전략연구기금회 학술위원회 주임현오석 전 경제 부총리왕판 중국 외교학원 부원장최강 아산정책연구원 부원장왕동 중국 북경대 교수, 판구연구소 비서장이상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전 외교부 정책기획관 오찬(12:00~13:30) 제2세션(13:30~15:00) 북한 비핵화 가능한가? 중국의 역할은?사회: 고유환 동국대 교수,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 평화번영분과 위원장 발표자:정지용 중국 상해 복단대 조선한국연구소 소장전봉근 국립외교원 안보통일부 부장리춘푸 중국 천진 남개대 한국/아시아연구센터 주임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 센터장, 전 외교부 정책기획관왕쥔셩 중국 사회과학원 주변전략연구실 주임 제3세션(15:10~16:30)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가능한가? 중국의 입장은? 사회: 신각수 전 외교부 차관 및 주일대사발표자:공커위 중국 상해 국제문제연구원 아태연구센터 부주임차두현 전 국방연구원 북한연구실장, 전 청와대 국가위기관리 센터장한셴동 중국 정법대학 한반도연구센터 주임조한범 통일연구원 통일정책연구실 선임연구위원 제4세션(16:40~18:00) 한중 협력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사회: 신정승 전 주중대사발표자:삐잉다 중국 산동대학 동북아학원 부원장이상만 경남대 교수퍄오동쉰 중국 연변대학 국제정치연구소 소장정환우 대한무역진흥공사 중국조사담당관리난 중국 사회과학원 미국연구소 교수 전일 토론 특별초청자:김진호 단국대 교수, 홍콩 아주주간 특약기자김용현 동국대 교수,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 위촉위원배기찬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 위촉위원, 전 청와대 전략비서관신상진 광운대학 교수, 전 청와대 안보실 행정관이수형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대외전략연구실장이왕휘 아주대 교수이창형 국방연구원 선임연구위원정성장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정재흥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 부본부장
-
15
- 작성자김흥규
- 작성일2019-03-06
- 699
- 동영상동영상
-
-
13
- 작성자김흥규
- 작성일2018-05-18
- 788
- 동영상동영상
-
-
11
- 작성자김흥규
- 작성일2018-05-17
- 819
- 동영상동영상
-
2017년 11월 23일(목)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는 아주대학교 다산관 지하대강당에서 제 4회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한-중 정책학술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전환기의 한중 관계아주대학교 중국정책연구소 제 4회 한-중 정책학술회의 일시: 2017년 11월 23일(목) 9:30~18:30장소: 아주대 다산관 대강당후원: 외교부,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KIOST) 초청의 글 지난 5월 한국에 새로운 문재인 정부가 들어섰습니다. 문재인 정부는 과거 어느 정부보다도 한중 관계 개선에 깊은 관심을 지니고 있습니다. 다행히도 양국은 지난 10월 30일 한중 관계 개선에 대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었습니다. 지난 정부의 성급한 사드(THAAD) 배치 결정으로 굴절된 한중 관계와 양국 간의 갈등이 조속히 해소되고 아울러 한중 정상회담도 금년 내에 개최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한중 간의 소통과 협력의 필요성은 그 어떠한 시기보다도 절실합니다. 현재 한중간 소통의 수준은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와는 거리가 멀어 보입니다. 한중은 더 높은 비젼과 전략적 신중함을 바탕으로 상호 소통과 협력의 수준을 높여야 합니다. 국제정치 분야에서 세력전이와 변혁의 흐름이 세계적인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 여파로 동북아와 한반도의 외교안보 환경은 더 큰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 들고 있습니다. 북한은 국제사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2017년 9월 3일 수소탄 실험이라 주장한 제6차 핵실험을 단행하였고, 탄도 미사일 개발을 위한 실험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금년 내내 한반도에서 불안정한 상태가 지속되고, 일각에서는 군사적 충돌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미국과 북한은 일촉즉발의 상태에 놓여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중 모두에게 도전의 파고가 대단히 높은 상황입니다. 한국을 포함한 미국, 중국, 북한 등 동북아 각국은 모두 전략적 선택의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그간 한중 관계를 지탱해오던 경제협력의 구조도 새로운 조정기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한중 협력의 경제적 기반이 약화되고 있는 상황은 분명히 우려할 만한 일입니다. 이는 외교안보 분야에서 협력의 기반이 동시에 약화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도전의 시기에 한중은 경제협력을 더욱 강화하여 상호 이익을 나누고, 평화와 번영의 토대를 구축해야 합니다. 본 연구소에서 매년 정례적으로 개최하는 한중 정책학술회의는 그간 한중 간 중요한 소통의 장으로 그 역할을 다해왔습니다. 한국의 정책결정자들은 물론이고 중국 등 국제사회가 주목하는 회의가 되었습니다. 금년에도 한중 간의 소통을 강화하고 향후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제4회 한중 정책학술회의에서는 [전환기의 한중관계]란 주제로 한중의 저명한 정책 담당자, 학자, 전문가분들을 모시고 지혜를 함께 나눌까 합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북핵 위기에 직면한 한반도 상황과 한중의 정책,’ ‘트럼프-시진핑 시기 미중 관계 평가,’ ‘환황해 지역 한중 협력 방안 모색과 그 의의,’ 그리고 ‘한중 관계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고자 합니다. 특히 환황해 지역 협력의 모색은 국가간 갈등과 분쟁으로 점철된 이 지역에 국가를 넘어 새로운 지역 협력을 바탕으로 이익공동체를 형성해 나가고, 이를 통해 역내 외교안보 분야에서의 협력을 역으로 촉진하려는 주요한 논의입니다. 회의 당일에는 회의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 사전에 초청된 분들이나 신청한 분들에 한해 참여를 허용할 예정입니다. 이 회의에 관심을 가지신 분들은 미리 저희 연구소에 연락바랍니다. 길은 멀고, 공사다망하시겠지만 부디 참석해 주시기를 청합니다. 한중 관계는 물론이고 이 지역의 미래를 위해 좋은 생각들과 제언들을 함께 나누었으면 합니다. 2017년 11월 7일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장 김 흥 규 배상프로그램 목차 학술회의 축하와 소개 동영상(9:30~10:00) 개회사(10:00~10:10)김흥규,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소장 축사(10:10~10:20)아주대 총장 제1세션(10:40~12:10): 북핵 위기에 직면한 한반도 상황과 한중의 정책사회: 정상기, 국립외교원 중국센터 소장량야빈, 중국 중앙당교 국제전략연구원 부교수장퉈셩, 중국 국제전략연구기금회 학술위원회 주임김용현, 동국대 교수, 전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위원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객원연구위원 오찬(12:30~13:30) 아주대 종합관 식당(12F) 제2세션(14:00~15:20): 트럼프-시진핑 시기 미중 관계의 향배사회: 윤영관, 전 외교부 장관, 서울대 교수션딩리, 중국 복단대 교수, 복단대 국제문제연구원 부원장왕동, 중국 북경대 중미인문교류연구소 부주임, 판구연구소 학술위원회 사무총장김흥규,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소장신범철, 국립외교원 교수, 전 외교부 정책기획관 커피 브레이크(15:20~15:40) 제3세션(15:40~17:00): 환황해 지역 한중 협력방안 모색과 그 의의사회: 신정승, 전 주중대사공커위, 중국 상해국제문제연구원 아태연구센터 부주임팡중잉, 중국 청도 해양대학 해양발전고등연구원 원장양희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책연구소 소장정환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중국조사담당관 Wrap Up 세션(17:00~18:20): 한중 관계의 미래 제언사회: 문흥호, 한양대 중국문제연구소 소장쉐천, 중국 상해국제문제연구원 국제전략연구소 연구원탕후이, 중국 후베이대 역사문화학원 조교수우펑, 중국 시난대 정치 및 공공관리학원 부교수까오펑, 중국 상담대 역사학과 조교수김진호, 단국대 교수 만찬(18:40~21:00) [토론자 명단]윤석준,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연구위원김동엽,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교수우수근, 평화와 먹고사는 문제 연구소 소장이왕휘, 아주대 교수최용환, 경기연구원 연구기획부장유현정,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양갑용, 성균관대 중국연구소 연구실장이창주, 중국 복단대 박사수료뤼핑, 중국 대련외국어대 동북아연구센터 연구원 2017년 11월 23일에 아주대학교 다산관 대강당에서 제 4회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한-중 정책학술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아주대 총장님 축사 Session 1 북핵 위기의 직면한 한반도 상황과 한중의 정책[좌] 량야빈, 중국 중앙당교 국제전략연구원 부교수[우] 장퉈셩, 중국 국제전략연구기금회 학술위원회 주임 [좌] 김용현, 동국대 교수, 전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위원[우] 차두현, 아산정책연구원 객원연구위원 Session 2 트럼프-시진핑 시기 미중 관계의 향배[좌] 션딩리, 중국 복단대 교수, 복단대 국제문제연구원 부원장[우] 왕동, 중국 북경대 교수, 북경대 중미인문교류연구소 부주임, 판구연구소 학술위원회 사무총장 [좌] 김흥규, 아주대 교수,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소장 [우] 신범철, 국립외교원 교수, 전 외교부 정책기획관 Session 3 환황해지역 한중 협력방안 모색과 그 의의[좌] 중국 상해국제문제연구원 아태연구센터 부주임[우] 팡중잉, 중국 청도해양대학 해양발전고등연구원 원장 [좌] 양희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책연구소 소장[우] 정환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중국조사담당관 Wrap up: 평가와 제언[좌] 탕후이, 중국 후베이대 역사문화학원 조교수[우] 우펑, 중국 시난대 정치 및 공공관리학원 부교수 [좌] 까오펑, 중국 상담대 역사학과 조교수[우] 쉐천, 중국 상해국제문제연구원 국제전략연구소 연구원김진호, 단국대 교수
-
9
- 작성자김흥규
- 작성일2018-05-17
- 1159
- 동영상동영상
-
-
7
- 작성자김흥규
- 작성일2017-06-07
- 965
- 동영상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