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학프로젝트 운영 방안
산업체 맞춤형 산학프로젝트 운영

1. 기업모집 및 산학프로젝트 발굴
- 산업디지털전환 연대 및 컨소시엄 참여 기업, 회원사 등
- 수요 발굴 및 현장수요(애로)기반 실제문제 도출
협회 인포메일 및 공문 발송
2. 기업설명회 개최
- 산학프로젝트 참여 희망기업 설명
- 회사 비전 및 인턴 업무 설명
참여희망 기업-교수·학생 간 사전 상담 진행
3. 기업-학생 매칭
- 기업-교수·학생간 희망여부
- 기업별 면접 후 선발 확정
4. 산학프로젝트 팀 구성
- 수요조사를 통해 발굴된 산학프로젝트별 학생 매칭
교수·학생과 기업 실무자로 구성된 산학프로젝트 팀 구성
5. 산학프로젝트 선정
- 대학별 구성된 프로젝트팀을 심사하여 프로젝트 선정 및 지원
6. 산학프로젝트 운영
- 기업-학생간 산학프로젝트 협약 체결
- 기업 방문 및 모니터링
7. 산학프로젝트 수행평가
- 팀별 프로젝트 수행 및 성과평가 실시(성과지표 개발·활용)
8. 성과 확산
- 성과교류회 등을 통한 프로젝트 성과 발표
- 성과결과를 석·박사 논문에 연계 유도
- 기업과의 스킨십을 통한 고용연계 유도
상호 네트워킹 및 운영 활성화를 통한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

주관기관
↓
참여대학(산학프로젝트 ↔ 채용지원)컨소시엄기업
- 산업계 인력수요 전달
- 교육개발/운영 지원
- 산학협력 지원
- 기업 홍보 프로그램 지원
- 채용 연계 프로그램 지원
- 단기교육과정 제공
비즈니스 닥터 파견 프로그램

기업/기관의 연구 사업화
이슈제공
실증분석
Wave1
→ 눈문
→ 해답
→ 데이터
추가자료 제공
연구 사업화
응용 연구
R&D
Wave2
→ 눈문
→ 지적 자산
→ 서비스
→ 상품
연구 인프라+인적자원 지원
- 기업이나 기관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조를 받고 문제에 대한 이론적 검증, 데이터 확보, 실증분석 수행
- 대학원생 + 교수 → 이들을 교육하고 연구를 진행할 책임 : 논물, 창업 동아리, 창업 성과를 결과물로 제시 - Wave 1의 분석 결과에 대해 기업의 추가적 분석 요청 시, 산학협력 연구과제화를 통해 지적 자산, 상품의 사업화를 위한 Wave2 응용 연구 진행
스마트 투게더 캠페인 프로젝트

튜토리얼, 문제해결 과정학습, 데이터 다루는 힘, 토론 → 실제 비즈니스 애널리틱스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실전적 프로그램 필요
- 01 데이터를 읽고 발견하는 힘 : Data Literacy
- 02 데이터를 보다 더 쉽게 이해하도록 변화시키는 힘 : Data Readability
- 03 머신러닝의 가능성과 한계를 바탕으로 지능형 서비스 실현 : AI Capability
- 04 "나"의 비즈니스에 도움이 되는 비즈니스 애널리틱스 : Business Analytics Initi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