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기주도적 전공선택을 위한 학사체계 마련
광역화 모집&전공 진입장벽 최소화
교육체계
1학년
기초역량 및 전공 탐색
첨단학문기초
첨단전공선택
2학년
기초역량 강화 및 전공 진입
첨단학문기초
첨단공학기초
3학년
전공 심화 및 진로 탐색
첨단전공심화
첨단진로탐색
4학년
진로결정 및 전문가 도약
첨단전공심화
첨단실무탐색
교육과정
광역화 모집 → 대학필수 23학점 → 단대필수 49학점 → 첨단공학 핵심 12학점 → 첨단공학선택 32학점, 첨단공학선택 16학점 → 졸업연구 or 캡스톤 → 심화전공, 일반전공 → 복수(부)전공
[첨단바이오융합대학 교육체계 및 교육과정]
교과과정
구분 | 대학필수 (소계: 23) | 계열필수 (소계: 3) | BSM (소계: 18) | 전공기초 (소계: 3) | 전공 | |||||||
---|---|---|---|---|---|---|---|---|---|---|---|---|
아주희망 전공 진로탐색 | 아주인- 신입생을 위한 마중물 | 아주상상 프로젝트 | 영어 | 대학 글쓰기 | 영역별 교양 | SW | 수학 | 기초과학 | 전공필수 | 전공선택 | ||
혁신신약 공학전공 | 1 | 1 | 3 | 3 | 3 | 12 | 3 | 6 | 12 | 3 | 25 | 32 |
바이오첨단소재공학전공 | 25 | 16 | ||||||||||
복수전공 | 학생의 소속 제1전공을 기준으로 이수 | 25 | 16 | |||||||||
부전공 | 9* | 12* |

- 제1전공 전공필수과목 : 첨단바이오 개론, 유기화학, 분자생물학, 단위조작, 생물정보학 및 실습, 생화학, 분자생물학실험, 생화학실험, 분석화학실험, 세포공학실험, 유기합성실험, 생물공정실험
- 심화과정과 일반과정 및 복수전공의 경우, 각 전공에서 제공하는 졸업연구 또는 캡스톤 디자인 과목 중 1개 교과목을 반드시 수강하여야 한다.
- 혁신신약공학을 제1전공으로 하는 학생이 생물학1을 이수한 경우 생명과학 교과를 이수한 것으로 한다.
- 혁신신약공학을 제1전공으로 하는 학생이 생물학 실험1을 이수한 경우 생명과학 실험을 이수한 것으로 한다.
- 혁신신약공학을 제1전공으로 하는 학생이 바이오첨단소재공학을 복수/부전공 할 경우, 전선과목은 공통과목(빅데이터 분석및응용, 분자생명공학, 첨단바이오융합 산업동향, 창업과 지식재산권)을 제외하고 이수해야 한다.
- *(1) 부전공의 경우, 유기화학, 분자생물학, 단위조작, 생물정보학 및 실습, 생화학 중 3과목을 전필로서 이수하여야 한다.
- *(2) 부전공의 경우, '첨단바이오개론, 유기화학, 분자생물학, 단위조작, 생물정보학 및 실습, 생화학, 분자생물학실험, 생 화학실험, 분석화학실험, 세포공학실험, 유기합성실험, 생물공정실험(모두 전필과목임)'을 제외한 전공과목(전선)을 12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
전공핵심과목
제1전공 | 혁신신약공학 | 고급유기화학, 바이오분석화학, 세포학, 소분자합성 및 분자도안, 면역학, 의약화학, 혁신신약전공실험1 |
---|---|---|
바이오첨단소재공학 | 생화학, 미생물학, 생물반응공학, 효소공학, 바이오소재화학, 산업미생물공학, 분리정제, 식품공학, 바이오첨단소재전공실험1 | |
복수전공 | 제1전공 전공핵심과목과 상동 | |
부전공 | 제1전공 전공핵심과목과 상동 |

대학필수, 단대필수 및 전공 이외의 학점은 교양선택 등으로 이수하여 총 졸업 이수학점을 충족하여야함
자연과학영역을 제외한 교양 4개의 영역에서 영역별 1과목씩 총 4과목(12학점) 이수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