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 전공자의 취업상황을 보면, 사회과학대학의 다른 전공이나 경영학부의 졸업생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사회조사 및 분석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각종 조사기관, 정계, 언론·방송계, 광고 및 출판업계 등 기획, 조사, 자료 분석 능력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다. 또한 여성, 노인, 청소년, 노동, 복지 등의 분야에서 정책을 수렴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 일에도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사회학전공자는 자료수집 및 분석의 전문능력을 활용하거나, 사회정책이나 사회변동추세에 따른 해결책이나 정책대안을 수립하는 분야에서 탁월성을 발휘할 수 있다. 사회학전공자의 유망진출 분야를 유형별로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 조사기관이나 각급 언론사, 광고 및 홍보, 출판문화업계
- 기업체나 공공기관의 기획, 조사, 연구 담당 부서
- 노동, 여성, 청소년, 복지, 시민사회 등 사회복지 및 NGO 활동 영역

진출분야
- 사회조사/여론조사 및 각종 사회현상 연구 분야
- 미디어 분야
- 민간기업 홍보/라이프 스타일 기획/마케팅 분야
- 공공 분야
취득 가능 자격증
- 사회조사 분석사
- 외국어(TOEIC, TOFEL)
- 한국사능력시험
- 컴퓨터활용능력
선배 주요 취업처
- 신문,방송 등 미디어 산업 : 머니투데이, 한국일보사, 매일경제
- 각종 공공기관 : 국방시설본부, 국세청, 국방부, 한국전력
- 광고 및 홍보회사 : 엑스포트, 아이피알포럼
- 여론조사 및 사회조사 기관 : 통계청, 태평양감정평가법인, LGCNS

사회진출을 위한 분야별 권장 과목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 진출분야 | ||||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1학기 | 2학기 | |
인구분석 | 현대문화분석 입문 | 질적연구 실습 | 젠더 사회학 | 일본사회와 문화 | 중국사회와 문화 |
|
||
매스 커뮤니케이션 입문 | 정보사회와 미디어 | 사회계층과 불평등 | 여가사회학 | 예술사회학 | 문화산업론 | |||
사회변동과 발전 | 고령사회연구 | 미래사회와 트랜드 | 변화의 기획과 관리 | 영상사회학 | ||||
사회문제 분석 | 가족과 생애 | |||||||
소비사회학 |

워크넷 | 진로정보
- 사회현상을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통찰력과 과학적인 조사와 분석을 위한 사회통계학적 지식 요구
- 다양한 사회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폭넓은 독서와 인접 학문에 대한 이해가 필요
적성 및 흥미
- 사회학과
- 공공사회학과
- 정부사회학과
- NGo학과
관련학과
- 사회조사분석사
취득자격
- 다큐작가, 소셜미디어전문가, 카피라이터, 방송연출가, 출판물기획자, 방송기자, 사회교사
- 문리학원강사(사회), 지역사회교육코디네이터, 사회과학연구원, 사회학연구원, 시장 및 여론조사전문가, 소비자트렌드분석가, 빅데이터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