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과 교과목 안내
CHEM221 물리화학 1 (Physical Chemistry 1)
기체분자운동론과 상태 방정식, 열역학, 상변화, 용액, 화학평형 등을 다룬다.
CHEM222 물리화학 2 (Physical Chemistry 2)
반응속도론, 전해질 용액과 전극반응, 계면과 흡착 등을 다룬다.
CHEM223 물리화학실험 (Physical Chemistry Laboratory)
물리화학 1, 2의 내용과 관계되는 실험을 한다.
CHEM230 분석화학 (Analytical Chemistry)
화학분석의 기본원리와 여러 가지 분석법을 다룬다. 분석화학에서 중요한 통계법과 데이터 분석, 중량법 및 적정분석법과 수용액에서의 화학평형, 즉 산-염기화학, 산화-환원, 착화합물화학을 다룬다.
CHEM233 분석화학실험 (Analytical Chemistry Laboratory)
수용액에서의 화학평형 중에서 산-염기화학, 산화-환원 화학, 착화합물화학 등을 적정분석법, 분광분석법 및 전기화학 분석법 등의 실험방법을 통해 다룬다.
CHEM234 전기분석화학 (Electroanalytical Chemistry)
기기를 사용하는 분석방법 중에서 화학물질을 분리, 검출하는데 사용하는 전기화학분석법의 기본원리와 응용을 다룬다. 산화 환원 평형 및 열역학, 전극반응, 반응속도론, 물질전달을 배우며, 전기분석화학의 여러 가지 방법들 중에서 Potentiometry, Menbrane eclectrode, Sensors, Voltammetry(CV,CC,CA) 및 Coulometry 등을 다룬다.
CHEM251 유기화학 1 (Organic Chemistry 1)
유기화학 전반에 걸쳐 기본이 되는 유기화합물의 구조, 성질 및 기초 이론을 다룬다.
CHEM252 유기화학 2 (Organic Chemistry 2)
유기화학 구조론, 지방족 및 방향족 화합물의 화합반응, 반응의 이론, 화학적 및 분광학적 방법에 의한 유기화합물의 구조 결정들을 다룬다.
CHEM282 화학프로그래밍 (Programming in Chemistry)
컴퓨터를 활용하여 화학 실험 데이터를 얻거나 이를 분석하고 그래프로 도식화, 이론적 모델을 모사하거나 fitting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래밍 기법을 익히고, 양자 화학 계산 프로그램인 Gaussian을 이용하여 분자의 화학적 결합구조를 예측하고 화학적 성질 및 반응성을 설명하는 방법을 배운다.
CHEM321 양자화학 (Quantum Chemistry)
양자론의 기본적 원리와 그것에 기초한 원자와 분자의 전자 상태와 구조 등을 다룬다.
CHEM323 화학반응속도론 (Chemical Kinetics)
화학반응 속도와 메커니즘에 대한 기초이론들인 분자충돌이론, transition state이론, RRKM이론 등에 기초를 익히고, 이들을 기체, 액체계의 반응에 응용하여 화학반응의 설계를 위한 기반을 다져 화학반응로 설계 같은 응용분야는 물론 제반 실험화학에 응용할 수 있는 실력을 키운다.
CHEM331 기기분석화학 (Instrumental Analytical Chemistry)
기기를 사용하는 현대 분석 방법들에 관한 기본원리 및 그의 응용을 배운다. 주로 분광 분석법을 다룬다. Electronics, UV-Vis 흡수분광분석법, IR 흡수분광법, 형광/인광 분광법, 원자분광법, Raman 분광법 등을 다룬다. 분광기기들을 이루는 각 Component들의 기본적 내용 및 작동원리를 이해시킨다. 각 분광학의 기기들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화학정보에 대한 특성과 한계성 등을 다루며, 화학의 응용 및 기기분석의 역할과 필요성을 공부한다.
CHEM341 무기화학 (Inorganic Chemistry)
원자구조, 화학결합, 산과 염기, 금속, 배위화합물 등을 다룬다.
CHEM342 고체화학 (Solid State Chemistry)
신소재 물질의 근간을 이루는 고체 화합물의 합성, 결정구조, 전기 및 자기적 성질, 광학적 성질 등을 다루고, 그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다.
CHEM343 무기화학실험 (Inorganic Chemistry Laboratory)
무기화합물의 합성 및 무기화학에서 이용되는 물리적 방법에 대한 실험을 한다.
CHEM351 중급유기화학 (Intermediate Organic Chemistry)
유기화합물의 합성, 반응 특성 및 각 작용기의 반응을 다룬다.
CHEM352 유기합성화학 (Organic Synthesis)
본 강좌는 물리유기화학을 기초로 하여 유기 반응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고급유기화학 과정이다. 기본적인 메커니즘의 복습으로 시작하여 결합 및 전자 구조 이론을 배운다. 또한 분자들의 상대적인 에너지 레벨로부터 예측 가능한 친전자성, 친핵성, 이탈기 능력, 산성도, 산화환원도 등을 고려하여 구조적 제어를 포함한 구조 반응성 경향을 유기 반응의 결과 및 메커니즘을 통해 살펴본다. 이 수업의 목적은 학생들이 스스로 유기 화학 반응에 대한 합리적인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어떠한 시약 구성으로부터도 이론적인 생성물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HEM353 유기화학실험 (Organic Chemistry Laboratory)
여러 유기화합물의 반응과 유도체의 합성을 다루며, 화학적 및 분광학적 방법에 의한 구조 결정 실험을 한다.
CHEM371 나노소재화학 (Nanomaterials Chemistry)
새로운 학문으로서 주목받고 있는 나노화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존 물리, 유기, 무기, 분석화학 등과 같은 세부 전공 분류체계를 초월한 학제간 협력을 통해 여러가지 화학원리와 현상들을 나노기술에 접목시키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나노 구조체 형성, 자기조립 현상 등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분자간 힘을 이해하고 유기분자 또는 무기단위체들을 초분자 형태로 만들거나 또는 하이브리드화 하는 과정에 대해 공부한다. 이러한 나노 구조체 들의 특성을 여러가지 물리화학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화학결합변화가 물질 형태나 물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한다.
CHEM392 화학특수연구(캡스톤디자인)1 (Directed Research in Chemistry(Capstone Design)1)
수강학생들은 교수를 선택, 교수실험실에서 연구에 참여한다. 수강학생들은 또한 전공세미나에 참석하여 화학의 다양한 분야연구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CHEM411 나노물리화학 (Nanophysical Chemistry)
나노 튜브, 양자점, 나노결정, 나노pore, 나노복합체의 생성, 합성에 관련된 물리화학 이론과 실험장비들의 원리와 해석을 배운다. 표면, 계면, 콜로이드에서의 반데르 바알스 힘, 전자기력 등에 의한 마찰력, 동력학에 대한 기초지식, nucleation 과 결정성장에 대한 이론, 전자현미경, 분광학 장비를 이용한 나노구조의 해석 등의 내용을 다룬다.
CHEM4210 분자모델링 (Molecular modeling)
분자와 나노 재료의 전자 구조를 컴퓨터를 활용한 양자역학적 계산 기법을 활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을 공부한다. 컴퓨터를 활용하여 분자의 구조를 예측하는 프로그램의 최신 개발 동향에 대해 이해하고, DFT 기반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자의 안정한 구조와, 안정한 구조들 간의 전이 상태의 구조를 예측한다. 또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자의 진동 방식, 적외선 스펙트럼과 열역학적 성질을 구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TD-DFT 방법을 이용하여 분자의 전자적으로 들뜬 상태의 구조와 에너지를 예측할 수 있으며,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파장을 모사하여 얻을 수 있음을 이해한다. 더 나아가 고체 형태의 나노 소재의 전자 구조 계산에 특화된 프로그램의 특성을 이해하고, 나노 물질 및 고체의 안정한 기하학적 구조와 전자 구조를 예측하고, 원자가 띠와 전도 띠 간의 띠 간격을 프로그램으로 예측가능함을 이해한다.
CHEM423 분자분광학(Molecular Spectroscopy)
분광학의 기본이론을 다룸으로써 분광기기를 도구로서 좀 더 확실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본 이론을 습득한다.
CHEM425 생물물리화학 (Biophysical Chemistry)
생물학에 관련된 물리화학으로 용액에 대한 통계열역학, 단백질-리간드간의 여러자리 상호작용, 협동현상, 효소에 대한 반응동력학, 반응간의 네트워크를 다루는 시스템 바이올러지, helix-coil 상전이, UV/VIS, IR 분광학의 이론과 응용, 형광, 단분자 검출, NMR, 광산란, 채널과 수용체 동력학, 세포막의 구조와 상호작용 등의 내용을 다룬다. 장래에 생화학자, 생물물리화학자, 수리생물학자(mathematical biologists), 분자약리학자(molecular pharmacologists)가 되고 싶은 학생들에게 필요한 기초지식을 가르친다.
CHEM426 에너지 화학 개론 (Introduction to energy chemistry)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구현을 위해 친환경적 에너지 변환, 저장 방법에 대한 연구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새로운 에너지 변환 및 저장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여러 전공이 융합된 학제적 이해가 필요하다. 이 과목의 목적은 물리화학, 고체화학, 전기화학, 유기화학 등 여러 전공의 관점에서 에너지 변환 및 저장 방법에 대한 기초 원리를 이해하고 이에 관한 응용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다. 광-전기, 열-전기, 화학-전기 에너지 변환에 관련된 현상에 대해 체계적으로 고찰하며 태양광 전지, 열기전력 발전, 연료전지, 이차전지, 수퍼커패시터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이를 통해 미래 에너지 관련 소재/소자 개발을 담당할 인재 양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HEM428 에너지 촉매화학 (Catalytic Chemistry of Energy)
우리가 얻는 대부분의 에너지 원천은 화학결합에서 나오며, 대부분의 에너지 변환 과정에 화학의 법칙이 관여한다. 이때 촉매는 화학결합이 생성되거나 끊어지는 과정에서 반응 속도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매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따라서 촉매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이해하는 일은 미래 인류번영을 위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본 과정에서는 촉매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는 촉매반응을 염두에 두고 불균일 촉매에서의 꼭 알아야 할 핵심 개념들과 촉매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꼭 알아야하는 필수 분광학적 방법의 원리에 대해서 다룬다.
CHEM433 응용화학특론(Special Topics in Applied Chemistry)
화학 및 관련 심화과목을 통한 이론에 대한 습득과 함께, 이론을 응용 및 적용하기 위한 응용화학에 대한 공부는 빠르게 변화하는 과학 기술 발전에 발맞춰 화학자들의 사회적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큰 의미를 갖는다. 특히 응용화학 분야 중 하나인 이차전지는 전자, 정보 및 교통 등의 산업에서 핵심역할을 하며 이미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우리 삶에 밀접한 연관이 있는 만큼, 연구의 중요성 또함 나날이 부각되고 있다. 해당 교과목을 통해 연구 역사, 기본 구성 및 원리, 주요 용어, 활용 소재, 분석법, 설계 방법을 배우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차세대 응용 시스템들의 원리, 장단점, 향후 연구 방향을 공부한다.
CHEM442 유기금속화학(OrganometallicChemistry)
유기금속화학은 다양한 전이금속화학물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반응성을 강의하고, 이들 금속물질을 이용한 다양한 화학반응의 메카니즘을 이해하는 것을 강의 목표로 한다. 본 강의 수강을 위해서 선수과목으로 무기화학, 유기화학 1, 2를 권장한다.
CHEM451 유기화학특론 (Special Topics in Organic Chemistry)
유기화학 반응과정의 다양한 조작과 이에 관여되는 물리 유기화학적 거동을 통해 유기화합물의 합성과 성질에 대해 학습한다.
CHEM494 화학특수연구(캡스톤디자인)2 (Directed Research in Chemistry(Capstone Design)2)
학부연구과목으로 교수 실험실에서 연구에 참여한다. 첨단 화학분야 및 광범위한 화학관련 연구분야들에 대한 세미나도 함께 진행된다.
CHEM495 화학특수연구(캡스톤디자인)3 (Directed Research in Chemistry(Capstone Design)3)
학부연구과목으로 교수 실험실에서 연구에 참여하며, 세미나 참석을 통하여 화학 연구분야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현장인턴십1~6 (Field Internship 1~6)
본 강좌는 학생들로 하여금 전공관련 현장수업(이하,인턴십교육과정 이라고 한다)을 통해 실무를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대학과 협약을 맺은 기관 및 산업체(이하 인턴십기관이라 한다)에 파견되어 일정 기간 동안 현장업무에 참여하여 실무를 익히며 학점을 이수하는 과정이다. ※ 자연인턴십 1~6, 창업현장실습1,2 창업실습1,2 교과목(총 30학점) 중 최대 6학점까지만 전공선택으로 인정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