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JO1110 아주희망전공진로탐색 (Ajou Dream)
대학 및 학과의 교육, 활동, 진로에 대하여 이해하고 자기주도적 학습 계획과 대학 생활 계획을 설계한다.
ECON111 경제원론1 (Principlesof Economics 1)
합리적 선택, 수요와 공급, 시장 균형, 소비자와 판매자의 유인, 외부효과와 공공재 등 경제학의 가장 기초적인 개념들에 대해 소개한다.
SOC1112 사회학원론 (The Principles of Sociology)
사회학 입문과목으로, 사회학적 개념과 이론을 바탕으로 복잡한 현대사회의 주요 특성을 분석하며, 나아가 인간 사회의 조직원리와 인간 행동에 대한 사회의 영향을 탐구한다.
POL105 정치학원론 (Principle of Political Science)
정치학 전반에 걸친 기초적인 이론들을 통해 정치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한다. 정치학의 연구목적, 방법, 정치과정 그리고 국제관계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 등을 다룬다.
ECON121 경제원론2 (Principlesof Economics 2)
실업, 물가상승, 성장과 무역수지와 같은 경제 전체에서 발생하는 여러 현상들과 작용에 대한 기초 개념에 대해 소개한다.
ECON131 경제통계와데이터분석(Statistics for Economics with Data)
현대 경제학에서 다루는 자료에 대한 이해와 정확한 분석의 토대가 되는 통계학 이론 및 분석방법의 소개와 이를 바탕으로 통계학이 실제 자료 분석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연구한다.
ECON122 경제수학(Mathematics in Economic Analysis)
경제분석의 기초가 되는 수학적 방법론들과 이를 이용한 경제모형의 분석 등을 다룬다. 그 내용은 행렬대수학, 미분, 적분, 미분방정식 등의 기초적 수학개념들과 이를 응용한 균형분석, 최적화문제, 동학적 모형의 분석 등으로 구성된다.
CCMP105 데이터분석기초(BasicDataAnalysis)
대표적인 오피스용 데이터 처리 도구인 EXCEL과 통계처리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R을 활용하여 기초적인 데이터 처리 및 통계 처리 프로그래밍 역량을 배양한다. 통계 관련 지식보다는 도구 사용 능력을 배양하는 데 초점을 둔다. 프로그래밍 관련 지식이 전무한 비전공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데이터 분석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를 갖는 것도 이 과목의 주요 목표이다. 본 과목을 통해 배양되는 데이터 분석 프로그래밍 역량 및 이해를 바탕으로 추후 전공분야에서의 심도 있고 유의미한 데이터 분석을 보다 수월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ECON211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
시장경제체제에서 자원의 최적배분 원리와 소득이 배분되는 과정을 공부한다. 소비자의 효용극대화와 기업의 이윤극대화에 의한 산출량 및 생산요소의 결합, 완전경쟁 및 불완전경쟁 하에서의 자원배분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실제 경제분석에 응용한다. (권장과목: 경제원론 1)
ECON221 거시경제학 (Macroeconomics)
국민소득수준의 결정원리를 중심 과제로 하여 실물경제와 화폐경제가 상호작용하여 국민소득수준을 결정하게 되는 과정과 정부의 재정 및 금융정책의 역할을 다룬다. (권장과목: 경제원론 2)
SSC201 데이터분석 방법과 적용 (Data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연구기관과 공,사기업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엑셀을 이용한 자료의 분석방법을 습득하고, 사회과학의 주 연구대상인 비실험적 자료의 접근, 획득에 대한 방법 및 지식을 습득한다. 더불어 수강생 본인이 정한 연구주제를 직접 구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표 또는 도표와 같은 시각자료를 활용하여 발표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와 그 활용에 대한 실무적 지식을 체화할 수 있다.
ECON391 경제사상사 (Historyof Economic Thought)
서양 사상가들이 자신의 주위를 둘러싼 자연, 사회와 구분되는 “정치경제” 또는 “경제”라는 개념을 만들어 이용해 온 발자취를 살펴보는 게 이 과목의 일차적 목표이다. 18-19세기 정치경제학과 20세기 경제학의 유사점과 차이점이 논의되며, 제2차 세계대전과 냉전 이후의 경제학의 흐름을 살펴본다. 이런 작업을 통해 지금 우리가 배우고 또 이용하고 있는 경제학이 도대체 어ᄄᅠᆫ 것인지에 대한 관점을 스스로 형성할 수 있게 돕는 걸 궁극적 목표로 한다.
ECON213 문화및예술경제학 (EconomicsofCultureandArts)
본 과목은 전통적 경제학 연구에서 주된 관심 대상이 아니었던 문화 및 예술 분야를 미시 및 계량경제학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음악, 미술, 게임, 영화 및 드라마는 물론 관광, 식(食)문화, 체육 및 여가활동 등까지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본 과목에서는 문화 및 예술 소미(Receptive cultural activities)와 생산(Productive cultural activities)의 두 가지 측면을 유기적·병렬적으로 다루고자 하며, 특히 후자의 경우 생산 요소 시장 내 ‘노동자로서의 예술가(Artist as a laborer)’가 어떤 차별적 특성을 보이는지를 분석한다. 유사한 명칭의 여타 교과목들과 달리 본 과목은 철저히 미시경제학·계량경제학적 관점을 경지한다. 따라서, 수강생은 다양한 유형의 문화 및 예술 관련 데이터를 직접 다뤄보고 강의를 통해 학습한 분석 모형을 실제 상황에 적용시킴으로써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과정을 훈련받게 된다 학기 초반에는 수요-공급, 소비자 효용, 탄력성, 암시장(暗市場), 경매, 지적 재산권 및 저작권, 임금 방정식 등에 대한 이론 복습 강의가 제공될 수 있다.
ECON331 계량경제학 (Econometrics)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경제적 관계들에 대한 추정, 경제이론에 대한 검정, 그리고 정부와 기업정책에 대한 집행과 평가에 대한 분석의 틀을 제공한다. (권장과목: 경제수학, 경제통계와 데이터분석)
ECON313 후생경제학 (Welfare Economics)
후생경제학과 사회선택이론의 내용을 다룬다. 후생경제학에서는 경제의 일반균형, 파레토 최적성, 시장균형의 효율성, 시장의 실패 등을 공부하며, 사회선택이론에서는 공평성의 정의, 보상의 원리, 사회후생함수, 애로우의 불가능정리 등을 공부한다. (권장과목: 미시경제학)
ECON361 노동경제학 (Labor Economics)
현대산업사회에서의 노동의 수요와 공급, 임금의 결정, 노동자의 이동, 보수와 생산성, 노동시장에서의 차별, 노동조합, 실업, 노동소득의 불평등 등에 관한 이론과 실증 연구를 소개한다. (권장과목: 경제원론 1,2)
ECON491 경제사 (Economic History)
시대별로 경제학은 모습을 달리했고, 인간사회의 역사를 경제학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경제사도 시대별로 모습을 달리했다. 1960-1970년대 이후의 경제사 연구에서 흔히 발견되는 제도에 대한 비교분석, 거시 현상들의 추이에 대한 논의 등을 학부 학생들이 이해 할 수 있는 수준에서 소개·논의하는 것이 이 수업의 목표이다. 다루어질 수 있는 주제의 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1) 화폐제도, 중앙은행 제도의 기원과 변천, (2) 경제 성장과 분배 추의의 의미, (3)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변천. (권장과목: 경제원론 1,2)
ECON321 화폐금융론 (Monetary Economics)
화폐경제에 관한 이론을 학습하고 다양한 금융현상에 대해 고찰한다. 교과의 전반부에서는 화폐의 의의, 금융시장의 구조와 특성, 화폐경제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 이자율 결정 이론, 화폐시장의 균형에 대해 학습한다. 후반부에서는 금융시장에서 정보의 비대칭성, 금융중개기관 이론 및 은행 위험, 중앙은행의 전통적 비전통적 통화정책 등을 다룬다. (권장과목: 경제원론2, 거시경제학)
ECON311 게임이론 및 응용 (Game Theory and Its Applications)
합리적 개인들의 의사결정이 상호의존적 관계에서 만들어내는 전략적 균형 개념들에 대해 공부하고 이를 현실의 경제적, 사회적 문제들에 적용하여 본다. 게임이론은 경제학의 각 분야 및 사회과학 전반에서 의사결정자들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방법론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권장과목: 미시경제학)
ECON222 거시동태분석 (Macroeconomic Dynamics)
경제성장에 관한 제이론과 거시동태균형조건을 공부하며, 실질경기변동론 등 경기변동요인, 과정, 효과 등에 관해 이론적, 정책적 측면을 살펴본다. (권장과목: 거시경제학)
EOCN371 재정학 (Public Finance)
경제 내에서 정부의 역할에 관련한 문제를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언제 시장에 개입해야 하는가, 정부는 어떻게 개입해야하는가, 정부의 개입은 경제적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정부가 특정한 개입 수단을 선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등의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한다. (권장과목: 경제원론1,2)
ECON328 경기변동과 거시경제정책 (Business Cycle and Macroeconomic Policy)
최근 학계에서 주로 사용되는 거시이론인 동태확률일반균형 모형을 통하여 경기변동 및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에 관한 시사점을 살펴본다.
ECON421 경제성장론 (Theory of Economic Growth)
경제성장의 근거를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여러 다양한 경제의 성장에 대한 종합적이며 분석적인 시각을 갖춘다. 강의내용은 성장이론과 현실분석으로 구분된다. 성장이론 부분은 주요 경제성장 이론들을 소개하며, 현실 분석은 여러 나라들의 경제성장 사례들을 소개하고 토론한다. (권장과목: 경제원론 1,2)
ECON292 경제 현안 세미나Ⅰ(Seminar on Economic AgendasⅠ)
일방적인 강의형태로만 운영되어 온 경제학 교과를 벗어나 기초적인 경제이론을 바탕으로 현실의 경제통계를 수집하고 실증 분석을 통해 경제현안을 이해한다.
ECON341 국제무역론 (International Trade)
국가간의 교역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무엇이며 그것이 국내 경제의 생산, 소비 및 후생에 미치는 효과를 이론적으로 살펴본다. 특히 교역 발생의 원인을 시장형태에 의해 규명하려는 최근의 새로운 시도도 함께 살펴보며, 동시에 관세 등 무역 정책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선진국의 산업정책과 개도국의 무역정책의 허실을 규명한다. (권장과목: 경제원론 1,2)
ECON392 경제학의 철학적 논점들 (Philosophical Issues In Economics)
‘선택이란 문제에 대한 논의’로서의 경제학이, ‘지식에 대한 논의’로서의 인식론 그리고‘도덕·규범에 대한 논의’로서의 윤리학과 상호작용해 만들어진 흥미로운 논의를 소개하는 것이 이 과목의 목표이다. 이과목을 통해 경제학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며, 시민으로서의 개인은 어떤 존재인지를 생각해보게된다. 다루어질 수 있는 주제로는 다음을 예로 들 수 있다: (1) 학계 외부에서 생각하는 경제학과 학계 내부에서 실천되고 있는 경제학은 왜 다른가, (2) 지식 세계에서의 경쟁을 시장에서의 경쟁과 유사한걸로 파악하는 것에 문제는 없는가, (3) 수강권을 거래한 학생들을 징계할 권위를 대학이 유지하고 있는가. (권장과목: 경제학 전공 필수 과목들)
ECON342 국제금융론 (International Finance)
국제금융론은 국제금융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이해하는 과목이다. 전반부에서는 외환시장의 기능과 운용, 그리고 환율의 결정이론과 실제 형태를 배운다. 특히 환율의 급변요인과 위험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외환시장의 효율성을 다룬다. 후반부에서는 국제수지의 기본 개념과 그 조정과정을 배운다. 이를 통하여 개방·국제화 시대에 처해진 우리 경제가 급변하는 세계경제에 어떻게 대처하고 대외 균형달성을 위한 적절한 정책이 무엇인지를 이해·비판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이와 함께 자본시장 개방의 속도와 과정, 그리고 그것이 국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국제자본 이동이론과 국제금융시장을 살펴본다. (권장과목: 경제원론 1,2)
ECON326 금융경제학 (Financial Economics)
금융경제와 투자분석의 원칙에 대한 직관적 이해를 제공하고, 다양한 금융자산의 가격결정 및 투자이론을 고찰한다. 교과의 전반부에서는 이자율과 화폐의 시간가치, 경제주체의 투자 의사결정, 주식과 채권의 가치평가, 투자수익과 위험에 대해 학습한다. 후반부에서는 포트폴리오 이론 및 동태적 자산배분 이론, 옵션 등 파생상품의 가격결정 이론을 다룬다. 그리고 통계연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금융투자와 관련된 실증분석을 실습한다. (권장과목:경제수학, 경제통계와 데이터분석)
ECON351 산업조직론 (Industrial Organization)
기업행동의 특성과 그에 따라 독점/과점 시장에서 나타나는 시장·균현을 이해하기 위해 기초가 되는 경제학 모형에 대해 학습한다. 산업조직론 분야의 이론적, 실증적 연구들의 핵심을 소개하고, 정부의 산업정책 및 경쟁정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경제학적 지식을 제공한다. (권장과목: 미시경제학)
ECON362 인적자본과 지식경제 (Human Capital and Knowledge Economy)
인적자본의 투자 및 활용과 관련된 사회 현상의 원인을 분석하고, 정부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구체적으로 청년실업, 기술혁신과 일자리, 저출산 및 고령화, 사교육 등 사회 현안을 다룬다. (권장과목: 미시경제학, 거시경제학)
ECON381 경제발전론 (Economics Development)
경제발전의 단계와 요인의 역사적 고찰 및 경제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경제발전과 관련된 정책과제를 중심적으로 다룬다.
ECON327 경제 전망과 동향 분석(캡스톤디자인) (Economic Forecasting and Analysis )
한국의대내외경제상황을이해하기위한기본적인거시경제데이터를파악하고,이를바탕으로체계적인분석을수행한뒤앞으로의거시경제지표들을전망하고거시정책적함의를도출하고자 한다.
ECON332 계량 분석과 데이터 프로그래밍 (Econocetric Analysis and Data Programminig)
본 과목은 계량경제학의 주요 모형과 Data Programming 기술을 유기적·병렬적으로 다룸으로써, 실증 경제 연구를 위한 실무적 분석 기법 교육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경제 현상 분석 및 정책 효과성 검정(檢定)을 위한 계량경제학적 방법론을 익히게 되며, 이를 실제 사례에 적용하기 위한 Programming 기법을 함께 학습하게 된다. 개인 혹은 팀 단위의 프로젝트를 통해 ‘데이터 수집 → 처리 → 분석 → 해석’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경험해 봄으로써 증거 기반(Evidence-based)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는다. 본 과목을 통해 수강생들은 방대한 데이터로부터 명확하고 유의미한 정보를 도출하는 과정을 훈련하게 된다.
ECON451 공정거래와 정부규제 (Fair Trade and Goverment Regulation)
공정거래 정책은, 독과점 등에 따른 시장의 문제를 보완하여 시장경제의 효율성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규제정책이다. 이 수업에서는 공정거래 정책의 세부적 이슈들을 파악하고 이슈별 경제학 이론/논리를 이해하며, 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내외의 실제 사례들을 분석한다. (권장과목: 미시경제학)
ECON483 에너지환경경제학 (Energy and Environmental Economics)
환경문제는 산업사회가 경제발전과 함께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외부효과 등에 따른 시장실패와 그 해법에 대한 논의를 경제학적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특히 에너지환경경제라고 함은 환경경제학의 주제 증 기후 변화가 주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반면 그 원인이 화석연료의 사용에 근거하였다는 점에서 에너지 분야에 대한 추가적인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ECON493 한국경제론 (Korean Economy)
한국경제의 구조, 경제발전 현황과 원인, 한국경제의 제문제점, 제반 경제정책, 한국경제의 전망 등을 다룬다. (권장과목: 미시경제학)
ECON411 행동경제학 (Behavioral Economics)
소비자선택이론과 게임이론을 포함하는 전통적 경제학을 중심으로 하되, 심리학 내의 일부 분과(특히 판단과 의사결정)에서의 연구 결과와 방법을 수용해 지식을 생산하는 분야가 행동경제학이다. 지난 25~30년간 행동경제학자들의 주목을 받아온 주제들을 학부수준에서 소개하는게 이 과목의 목표이다. 보다 최근에는 정책 대안(예를 들어, 이른바 ‘넛지’에 포함되는 다양한 방식들)의 제시도 행동경제학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대안들에서 발견되는 특징들도 논의된다. (권장과목: 경제학 전공 필수 과목들)
ECON452 법경제학 (Law and Economics)
비교적 최근에 발전된 경제학의 한 분야로, 법의 경제적분석(Economic Analysis of Law)이라고도 불리는 응용미시경제학의 한 분야이다. 법과 경제학 사이의 학제적 연구의 성격을 지닌 이 과목을 통해 경제학이 다양한 법 제도 및 법리를 이해하는데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가를 학습한다. (권장과목: 경제원론 1,2)
SSS411,414,415 사회과학인턴십 1,2,3 (Social Science Internship 1,2,3)
인턴십 과목은 사회과학대학 학생들로 하여금 전공 관련 현장수업을 통해 실무를 익히고 교육내용의 사회적 적실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잇다. 본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협약이 체결된 공공기관, 산업체등에 파견되어 학기 또는 방학기간 중 일정 기간 동안 현장업무에 참여˙수행함으로써 학점을 이수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