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뉴스

130개 공공기관, 올해부터 전면 도입한다는 ‘NCS 기반 채용’이란?

  • 경영대학
  • 2016-02-16
  • 5697

1.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natioanl competency standards) 이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으로, 산업현장의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지식, 기술, 태도)을 국가적 차원에서 표준화한 것을 의미합니다.

NCS 분류의 예시

세분류 별로 각각의 학습모듈을 제공하여 직무에 필요한 학습방향을 제시한다.

 

2. 'NCS 기반 채용'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NCS 지표를 반영한 것이 NCS 기반 직무능력중심 채용이다. 채용대상 직무를 NCS에 기반해 분석한 뒤 이를 활용해 해당 직무에 맞는 스펙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는 방식이다. 전체 채용전형도 NCS 중심으로 바뀐다. 각 기관은 채용공고부터 대상 직무를 NCS 직무기술서 양식으로 공지한다. 서류전형에서도 개인의 신상정보 대신 지원 직무와 관련된 경력이나 경험을 작성토록한다. NCS 기반 입사지원서, 직무능력소개서, 자기소개서 등의 형태다. 마지막 면접전형은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면접도구로 구성된다.

직무역량을 갖추기 위해서는 우선 꿈과 적성에 맞는 직무를 먼저 찾는 것이 중요하다. 직무를 찾은 뒤에는 NCS를 통해 각 직무에 필요한 능력을 자가진단할 수도 있다. NCS 사이트(www.ncs.go.kr) 경력개발지원코너를 방문하면 직무별 필요역량이 상세히 게재돼 있다. 입사를 위해서는 본격적으로 NCS기반 평가를 준비해야 한다. NCS 기반 평가는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희망직무에 요구되는 능력을 파악한 뒤 꼭 필요한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을 쌓아야 한다. 평가문항 예시 역시 NCS 사이트에서 참고할 수 있다

 

3. NCS 기반 능력중심 채용 도입 사례 

한국산업인력공단 (클릭)

국립공원관리공단 (클릭)

(주)롯데그룹 (클릭)

 

잡앤조이, NCS 사이트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