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교수요목

CUL501 문화콘텐츠 연구방법론(Methodology on Contents Study)

문화콘텐츠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방법론을 학습한다. 사회 조사방법론, 질적 방법론, 사회통계, 논문작성법 등 콘텐츠 연구와 진단을 위한 기초적인 방법론을 습득한다.

CUL511 문화이론세미나 (Culture Theory)

다양한 문화이론에 대한 학습한다. 구조주의, 내러티브, 문 화연구, 커뮤니케이션 등에 대한 학습을 통해 문화콘텐츠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적 체계를 습득한다.

CUL761 문화콘텐츠시장 분석론 (Contents Market Seminar)

문화콘텐츠산업과 시장의 흐름에 대해 학습한다. 콘텐츠시장을 구성하는 다양한 주체들과 그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문화콘텐츠시장에 대해 심화 학습을 한다.

CUL524 공연 콘텐츠 개발과 기획 (Development and Planning of Performance Content)

뮤지컬, 연극, 콘서트와 같은 전통적인 공연 콘텐츠는 최근 디지털 기술과의 결합, OSMU 경향 등을 통해 복합장르로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만큼, 이 강의는 공연 콘텐츠 개발과 기획 이론과 실무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변화하는 사회문화 환경에 맞게 공연 콘텐츠를 개발, 기획하는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CUL523 전통문화콘텐츠의 이해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본 강의에서는 전통문화콘텐츠의 범위와 특징에 대해 이론적으로 정리하고, 동시대 문화콘텐츠와의 결합, 디지털 문화기술과의 융합 등에 대한 사례를 도출하여 바람직 한 전통문화콘텐츠의 개발과 기획 방향을 가늠해본다.

CUL531 스토리텔링 세미나 (Storytelling Seminar)

콘텐츠 스토리텔링의 구조와 분석에 대해 학습한다. 다양한 콘텐츠를 대상으로 한 스토리텔링 실습을 통해 스토리텔링의 역량을 강화한다.

CUL502 시나리오 작법론 (Scenario Writing)

다양한 영상 매체의 시나리오 창작과 분석을 위해 작법 이론을 학습한다.

CUL541 영상미학 (Film Aesthetics)

빛, 공간, 시간, 동작, 음향 등이 어떻게 영상 콘텐츠에 적용되는지 학습하여 영상 제작의 미학적 원리와 방법을 파악한다.

CUL626 K-콘텐츠 특강 (K-Contents Special Lecture)

현장 실무 전문가를 초빙하여 인지도 있는 K-콘텐츠의 전체 제작과정을 학습한다

CUL627 OTT 콘텐츠 산업 세미나 (OTT contents industry seminar)

방송의 핵심 산업인 OTT 콘텐츠 산업의 현황 분석

CUL721 콘텐츠 트렌드 전략론(Contents Trends Strategy)

문화콘텐츠산업의 국내외적 트렌드에 대해 학습을 한다. 트 렌트 분석을 통해서 국내 콘텐츠산업의 비즈니스 전략을 기획해 본다.

CUL722 영상 콘텐츠 비평 (Visual Contents Criticism)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분석하고 비평하는 역량을 키운다

CUL763 방송콘텐츠 기획 세미나 (Broadcasting contents planning seminar contents planning seminar)

문화콘텐츠산업 중 대표산업인 방송산업과 방송콘텐츠에 대한 이해와 연구역량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함. 특히 방송콘텐츠의 기획, 제작, 유통 과정에 대해 연구하고 실습을 병행함. 직업으로서 방송콘텐츠기획자 및 PD의 업무와 역할과 디지털시대에 따른 방송산업과 방손콘텐츠의 진화 방향에 대해 세미나를 진행한다.

CUL724 방송산업 트렌드 연구 (Broadcasting industries trend study)

현재 방송 산업의 트렌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조사, 분석, 연구

CUL821 시나리오 창작 워크샵 (Scenario Writing Workshop)

시나리오 작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작품을 구상하고 창작한다

CUL891 문화기술 세미나 (CT Seminar)

문화기술(Culture Technology)의 내용과 흐름에 대해 학습한다. 문화기술의 실제 적용 사례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화기술의 속성을 활용한 콘텐츠를 기획해 본다.

CUL513 미술사와 문화콘텐츠 (Art History and Culture Content)

미술사, 시각이미지 분석, 시각 예술 비평과 관련하여 문화콘텐츠로서의 미술사의 가능성을 연구하고 바람직한 스토리텔링과 이미지텔링에 대한 방향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UL514 문화 매개 이론과 실제 (Cultural Mediation Theory and Practice)

본 과목은 문화정책, 문화매개, 문화산업 콘텐츠와 관련하여 문화매개 개념이 처음 등장한 프랑스의 문화정책의 역사적 특징과 문화매개 사례를 구체적으로 연구하고 우리 현장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UL622 로컬페스티벌사례연구 (Local Culture Contents)

국내외 우수 지역 축제의 사례를 통해, 성공적인 지역 축제의 특성을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도출해냄으로써 지역의 특성에 맞는 축제 개발을 위한 전략을 수립한다.

CUL623 시각예술비평 연습 (Visual Arts Criticism)

시각 예술의 역사과 비평은 당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다양한 면모를 반영 하고 있는 만큼 좋은 스토리텔링의 소재이자 콘텐츠인 만큼,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시각 이미지를 비평해봄으로써 시각 예술에 대한 감수성과 성찰을 함양하고 미적 판 단의 기초에 대해 고찰한다.

CUL624 전시 콘텐츠 개발과 기획 (Development and Planning of Exhibition Contents)

21세기 새로운 문화담론인 전시콘텐츠는 문화 매개, 문화 자원 보존, 연구, 교육과 같은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 강의는 전시 콘텐츠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변화하는 사회문화 환경 에 맞게 전시 콘텐츠를 개발, 기획하는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시의 개념과 유형, 전시 기획의 역사와 운영 방법, 전시 연계 프로그램 개발 및 운 영 방법 등 전시학 전반에 대해 배운다.

CUL632 로컬문화유산과 스토리텔링 (Locoal Heritage Storytelling)

지역의 유무형의 문화유산에 이야기를 입힘으로써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스토리텔링 전략에 대해 연구하고,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을 직접 기획해본다.

CUL655 로컬문화콘텐츠연구 (Local Culture Contents)

지역의 특성을 잘 살린 콘텐츠 사례 분석을 통해 바람직한 지역 문화 콘텐츠의 모델을 수립한다. 이어서 지역의 문화적 역사적 특성에 맞는 콘텐츠 개발을 위해 필요한 전략을 수립하고 지역의 자원을 활용해 콘텐츠를 기획해본다.

CUL652 문화관광과 콘텐츠 개발 전략 (Culture Tourism & Development Strategy)

문화관광의 활성화를 위해 고려해야할 다양한 요소와 문화 관광에 활용된 콘텐츠 사례들을 검토하고, 현장에 직접 활용될 수 있는 콘텐츠를 기획해본다.

CUL653 문화도시 사례 연구 (Case Study on Culture City)

문화도시를 표방하는 국내외 다양한 도시의 사례를 통해 문화도시가 갖추어야할 다양한 요소들을 파악하고, 창의적인 문화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필요한 정책방안, 콘텐츠 개발 전략 등을 연구한다.

CUL656 뮤지엄 콘텐츠와 브랜딩 (Museum Contents Branding)

뮤지엄 아이덴티티(MI), 뮤지엄 브랜딩과 관련하여 지역문화콘텐츠로서의 뮤지엄의 가능성을 연구하고 바람직한 뮤지엄과 지역문화콘텐츠의 관계에 대한 방향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UL625 로컬재생 세미나 (local revitalization seminar)

로컬재생의 이론, 정책, 트렌드 등을 포괄적으로 학습한다.

CUL672 로컬문화정책연구 (Local Culture Policy)

지역의 문화정책은 중앙정부의 문화정책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을 수립하고 보존하고 확대시키기 위해 필요한 정책적 방향성을 살펴본다.

CUL723 아트 마켓 분석 (Analyse of Art Market)

본 과목은 아트 마켓의 구조와 기능을 분석, 국내외 온오프라인 아트 마켓 플랫폼의 특징을 도출하여 앞으로의 아트 마켓 경향을 다각도로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UL771 문화정책 및 제도 디자인 연습(Culture Policy & Institution Design)

국내외 문화콘텐츠 정책과 관련 제도에 대해 학습한다. 콘텐츠산업의 이슈를 발굴하여 이에 대한 정책과 제도를 설계해본다.

CUL781 문화예술경영 세미나 (Culture Management Seminar)

문화경영 및 문화마케팅에 대한 학습을 한다. 이를 통해 기업의 비즈니스 내용과 전략에 대해 습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