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교수요목

HIS600 역사이론과 역사학 방법론(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Methodology)

역사 연구에 필수적인 근현대 역사학의 이론과 사관, 방법론에 대하여 비판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역사학자로서의 기초를 확립한다.

HIS602 최근동양사연구의동향(Current Trends of Asian Studies)

최근 동양사 연구의 동향을 고대, 중세, 근세, 최근세로 나누어 그 내용과 방법, 관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HIS615 역사철학 (Philosophy of History)

역사를 이끌어가는 원동력과 지배원리는 무엇이며 역사의 법칙이 존재하는가라는 문제를 철학자와 사학자의 관점을 통하여 고찰함으로써 올바른 역사관을 갖도록 한다.

HIS623 동양최근세사의제문제(Issues in Contemporary History of Asia)

동양 최근세로의 전환 과정과 청말,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으로의 역사적 전개에 대하여 기존 연구사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HIS6311 일본근현대사의제문제(Topics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Japan)

일본근현대사의 전개과정을 경제, 사회, 정치, 문화 등으로 나누어 기존 연구사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한국과의 관련성에 유의한다.

HIS641 동양정치사연습(Seminar in Political History of Asia)

동양정치사의 발전 과정을 시대구분과 관련지어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특히 정치제도의 변화와 그 의미, 제도의 기능에 유의한다.

HIS645 동양사회경제사연습(Seminar in Social and Economic History of Asia)

동양의 사회경제사의 전개를 시대구분과 관련지어 전근대와 근현대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HIS6314 일본의 식민지 지배사연구(Study of History of Japanese Colonial Policy)

대만, 만주 등 한국과 더불어 일본의 식민지 통치가 펼쳐진 지역에 대한 일제의 지배 정책과 현지민의 저항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일제의 식민지 정책의 공통점과 차이에 유의한다.

HIS620 동양고대사의제문제(Issues in Ancient History of Asia)

동양 고대의 성립과 그 구조에 대하여 기존 연구사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동양과 서양 사이의 비교에 유의한다.

HIS621 동양중세사의제문제(Issues in Middle History of Asia)

동양 중세의 성립과 그 구조에 대하여 기존 연구사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고대와 중세의 분기, 동서양 중세사회의 구조적 차이와 동일성에 유의한다.

HIS622 동양근세사의제문제(Issues in Modern History of Asia)

동양 근세의 성립과 그 구조에 대하여 기존 연구사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동양근세설을 둘러싼 논의와 근세의 개념에 유의한다.

HIS6410 서양최근세사의제문제(Problems in Modern European History)

서양 최근세의 성립과 그 구조에 대하여 기존 연구사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서양최근세의 특성에 유의한다.

HIS6411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사 연습(Seminar in History of Renaissance and the Reformation)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의 전개과정에 대하여 연구한다. 특히 종교개혁의 의미와 르네상스의 시대정신에 유의한다.

HIS6412 절대주의와 시민혁명사 연습(Seminar of Absolutism and Revolutions)

절대주의와 시민혁명의 전개과정에 대하여 연구한다. 특히 절대주의의 성격을 둘러싼 논의와 각 국의 시민혁명의 특성에 유의한다.

HIS6413 제국주의시대사연습(Seminar of Age of Imperialism)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 정책은 무엇이며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분할은 어떻게 이루어졌고 또 피지배민족의 반응은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살펴본다.

HIS642 서양정치사연습(Advanced Seminar on Western Political Thought)

서양정치사의 발전 과정을 시대구분과 관련지어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특히 정치제도의 변화와 그 의미, 제도의 기능에 유의한다.

HIS643 서양사회경제사연습(Seminar of Social and Economic History of Europe)

서양사회경제사의 발전을 시대구분과 관련지어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특히 근대의 산업혁명과 경제와 제국주의적 침략의 관계에 유의한다.

HIS647 서양고대사의 제문제(Topics in in Ancient History of Europe)

서양 고대의 성립과 그 구조에 대하여 기존 연구사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고전 고대의 성격과 특성에 유의한다.

HIS648 서양중세사의 제문제(Issues in Medieval History of Europe)

서양 중세의 성립과 그 구조에 대하여 기존 연구사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서양 중세의 구조적 특성과 기독교의 역할에 유의한다.

HIS649 서양근세사의 제문제(Topics in Modern History of Europe)

서양 근세의 성립과 그 구조에 대하여 기존 연구사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서양 근세의 특성에 유의한다.

HIS662 중국사상사연습(Seminar in Intellectual History of China)

춘추전국 이래 현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사상사의 전개과정을 연구한다. 특히 내재적 발전과 외래 사조의 주체적 수용에 유의한다.

HIS663 서양사상사연습(Seminar of Intellectual History of Europe)

그리스 고전철학자 이래 현대의 사상가들에 이르기까지 서양사상사의 거장들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특히 사상의 사회적 맥락과 기능과 영향에 유의한다.

HIS666 중국고문헌연구(Study of Paleography of China)

중국사 연구와 관련된 고문헌을 중심으로 연구하여 독해 능력을 높이도록 한다.

HIS667 서양고문헌연구(Study of Paleography of Europe)

서양사 연구에 필수적인 원사료 해독 능력을 배양하고 고문헌에 대한 기본 지식을 갖추도록 하며 서양 고전어와 중세어 문헌에 대한 강의가 중심을 이룬다.

HIS674 미국사의제문제(Topics in History of America)

미국사를 현대와 그 이전으로 나누어 연구한다. 특히 현대 세계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에 유의한다.

HIS675 영국사의제문제(Topics in History of British Empire)

영국사를 현대와 그 이전으로 나누어 연구한다. 특히 제국주의 정책과 그 영향을 고찰한다.

HIS677 중국대외관계사연습(Seminar in History of Foreign Relations in China)

중국의 대외관계사를 전근대와 근현대로 나누어 연구한다. 특히 전근대에는 중화적 질서에 유의하고 근현대에는 제국주의적 침략에 유의한다.

HIS6812 인도사의제문제(Topics in History of India)

인도사의 전개를 전근대와 근현대로 나누어 연구한다. 근현대의 경우 반제국주 투쟁과 비동맹 운동에 유의한다.

HIS672 동남아시아사의제문제(Topics in History of South-east Asia)

필리핀, 월남, 라오스, 캄보디아, 타이, 미얀마,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각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하여 연구한다. 특히 현대 한국과의 관련에 유의한다.

HIS6814 중앙아시아사의제문제(Topics in History of Central Asia)

중앙아시아 지역의 전근대와 근현대의 역사와 문화에 대하여 연구한다. 특히 유목민족의 흥기와 동서문화의 교섭에 유의한다.

HIS601 최근한국사연구의동향(Current Tends of Korean History)

최근 한국사 연구의 동향에 대하여 고대, 중세, 근세, 최근 세로 나누어 그 내용과 방법, 관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HIS6210 한국사회경제사연습(Seminar in Social and Economic History of Korea)

한국사회경제사의 전개를 내재적 발전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HIS610 한국고대사의제문제(Topics in Ancient History of Korea)

한국 고대사회의 성립 과정과 그 구조에 대하여 기존 연구사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한국 고대의 특수성과 보편성, 발전의 계기와 단계에 유의한다.

HIS611 한국중세사의제문제(Topics in Medieval History of Korea)

한국 중세사회의 성립 과정과 그 구조에 대하여 기존 연구 사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한국 고대와 중 세의 분기 문제, 한국 중세의 특수성과 보편성에 유의한다.

HIS628 한국근세사의제문제(Topics in Modern History of Korea)

한국 근세사회의 성립 과정과 그 구조에 대하여 기존 연구사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한국사에 근세 설정 여부를 둘러싼 논의, 근세의 개념 등에 유의한다.

HIS628 한국최근세사의제문제(Topics in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한국 최근세로의 전환 과정과 일제시기, 해방 후의 제문제에 대하여 기존 연구사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근대와 현대의 시점, 한국 근현대사의 특수성, 외세의 침략과 저항, 민족분단과 통일운동 등에 유의한다.

HIS629 한국근대민족운동사연습(Seminar in History of Nationalist Movement in Korea)

조선 후기 이래 민중의 움직임의 연장선상에서 개항 이후 민족운동의 발전을 변혁 주체와 근대민족주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추구한다.

HIS660 한국사상사연습(Seminar in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

고대 이래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사상사의 전개 과정을 연구한다. 특히 내재적 발전과 외래 사조의 주체적 수용, 사상의 사회적 기능과 영향에 유의한다.

HIS664 한국금석문연구(Study of Inscription in Korea)

한국사 특히 고대와 중세에 관련된 금석문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현장 실습도 시행한다.

HIS651 한국고문서연구(Study of Paleography of Korea)

한국사 특히 근세 이후에 관련된 고문서를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HIS670 한국대외관계사연습(Seminar in History of Foreign Relations in Korea)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과 주변과의 관계를 상호 영향이라는 관점에서 탐구한다.

HIS676 한국향촌사회 및 지역사연구(History of Fork Village and Regional Study in Korea)

한국 전근대 향촌사회 구조와 그 발전, 현대 지역사회의 제 문제에 대하여 지방의 자율성과 지방의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연구한다.

HIS680 고고학특강 (Topics in Archaeology)

고고학에서 사용되는 분류체계와 기타 학술용어의 사회과 학적 이론적 기초를 다룬 논문들을 읽으면서 그 문제점들을 살펴본다.

HIS681 고고학연습 (Seminar in Archaeology)

기존 고고학의 연구성과들이 문헌사학과 어떤 관련을 갖는지, 어떻게 활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관련 저서와 논문 들을 중심으로 검토, 토의한다.

HIS6810 한국고고학연구Ⅰ(Archaeology of Korea)

한국고고학의 기본적인 성격과 흐름을 개괄적으로 다룬다. 구석기문화, 신석기문화, 청동기문화, 초기철기문화, 낙랑 문화, 원삼국문화, 고구려문화, 신라문화, 백제문화, 가양 문화, 통일신라문화를 시대 순으로 개관하여 한국 물질문화 의 변화를 고고자료를 검토한다. 각 시기별로 주거지, 묘 제, 토기, 석기 등의 항목을 설정하여 시기별 기본적인 성격을 소개한다. 이와 함께 한국고고학의 발전과정에 대한 정리와 학설사적 검토도 병행한다. 그뿐 아니라 한국의 고대 문화가 주변지역과의 부단한 교류를 통하여 형성된 사실을 감안하여, 한국 고대문화에 끼친 주변문화의 영향에 대하여 교류사적 검토도 수행한다. 최근까지의 한국고고학의 연구 성과를 이해하고자 한다.

HIS6811 한국고고학연구Ⅱ(Archaeology of Korea)

한국고고학의 기본적인 성격과 흐름을 개괄적으로 다룬다. 구석기문화, 신석기문화, 청동기문화, 초기철기문화, 낙랑 문화, 원삼국문화, 고구려문화, 신라문화, 백제문화, 가양 문화, 통일신라문화를 시대 순으로 개관하여 한국 물질문화 의 변화를 고고자료를 검토한다. 각 시기별로 주거지, 묘 제, 토기, 석기 등의 항목을 설정하여 시기별 기본적인 성격을 소개한다. 이와 함께 한국고고학의 발전과정에 대한 정리와 학설사적 검토도 병행한다. 그뿐 아니라 한국의 고대 문화가 주변지역과의 부단한 교류를 통하여 형성된 사실을 감안하여, 한국 고대문화에 끼친 주변문화의 영향에 대하여 교류사적 검토도 수행한다. 최근까지의 한국고고학의 연구성과를 이해하고자 한다.

HIS6815 고고학강독Ⅱ(Readings on ArchaeologyⅡ)

고고학 관련 전공 원서를 통하여 고고학의 일반이론과 실체를 배우게 하는 분야로 원서 해독 능력과 고고학 지식의 배양을 도모한다.

HIS682 발굴조사방법(Field Methods in Archaeology)

지표조사나 유적의 종류에 따른 발굴 방법, 실측, 사진 촬영, 현장에서의 보존처리, 복원 등에 이르기까지 발굴조사와 관련된 여러 문제들을 실습과 강의를 통하여 익힌다.

HIS684 한국역사고고학연구(Historical Archaeology of Korea)

한국고고학은 미국의 문화인류적인 고고학과는 거리가 멀고, 물질문화의 변화과정을 통한 문화사적 고고학의 성격이 강하다. 특히 한국고고학의 주요유적과 유물은 역사시대의 것이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런 까닭에 유적과 유물의 편년설정과 해석을 위해서는 문헌기록과 고고자료를 연결하여 검토하는 역사고고학적 방법이 매우 요구된다. 이에 한국고고학의 대표적인 유적의 해석에 문헌사학의 연구성 과를 원용한 연구성과를 소개하고 연구방법론적 문제를 검토해 나가는 한편, 최근 들어 대단위발굴의 일상화로 한국 고고학에서 소외되었던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유적들이 다량으로 확인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이런 중세와 근세 유적의 해석을 위하여 문헌기록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접근방법을 소개한다.

HIS685 한국역사고고학연구Ⅱ(Historical Archaeology of KoreaⅡ)

한국 고고학의 대표적인 유적의 해석에 문헌사학의 연구성과를 원용한 연구성과를 소개하고 연구방법론적 문제를 검토한다. 한국 고고학에서 한국 중세와 근세유적의 해석을 위하여 문헌 기록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연구 접근방법을 소개한다.

HIS686 고고학강독Ⅰ(Readings on ArchaeologyⅠ)

고고학 관련 전공 원서를 통하여 고고학의 일반이론과 실제를 배우게 하는 분야로 원서 해독 능력과 고고학 지식의 배양을 도모한다.

HIS687 한국역사고고학연구Ⅰ(Historical Archaeology of KoreaⅠ)

한국 고고학의 대표적인 유적의 해석에 문헌 사학의 연구성과를 원용한 연구성과를 소개하고 연구방법론적 문제를 검토한다. 고구려, 신라, 백제, 가야 고고학을 중심으로 관방유적, 고분유적, 주거유적, 장식유물 등을 중심으로 다룬다.

HIS688 한국선사고고학연구(Prehistoric Archaeology of Korea)

한국선사시대의 대표적인 유적과 유물을 대상으로 고고학적 분석과 해석을 소개한다. 한국선사고고학의 범위는 구석 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초기철기 시대에 한정되며, 그 하한은 대체적으로 기원전후로 한다.

HIS689 고고유물의 이해(Understanding Archaeological Artifacts)

고고학은 유적과 유물에 대한 기초적인 분석에 바탕을 둔다. 이에 발굴을 통하여 확보한 유물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는 고고학자의 가장 기본적인 소양이라 할 수 있다. 고고유물은 재질에 따라 석기, 목기, 철기, 토기, 기와 등으로 크 게 나눌 수 있으며, 그 기능에 따라 무기, 생산도구, 위세품, 의기용품, 용기 등등으로 구분된다. 이런 고고유물들의 제작방법, 제작시기, 분포와 교류, 학술적 의미 등에 대하 여 실물을 중심으로 강의한다. 이와 함께 고고유물의 응급 조치방법과 보존처리방법에 대해서도 기본적인 소양을 쌓 게 하며, 발굴유물의 세척·실측·촬영·보관·관리 등에 대해서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