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631 한국현대문학이론연구 (Studies in Modern Theories of Korean Literature)
문학작품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학이론 들이 필요하다. 한국문학작품을 감상하고 분석하는 데 필요한 문학이론들을 학습하고, 구체적인 작품에 직접 적용하여 분석한다. 한국문학작품을 평가하는 데 활용되어온 이론들의 특징과 의의를 정리하고 평가하도록 한다. 아울러 현대 문학작품들을 이해하는 이론의 틀을 탐구한다.
KOR632 한국현대문학사연구 (Studies in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한국 현대문학의 기점에 대한 기존 연구를 정리하고 현대문학의 기점을 정립하며, 기점에서부터 현재까지의 한국문학사의 흐름을 검토한다. 문학사의 각 시기마다 중요한 문학 내외적 상황을 파악하고, 문단의 상황, 문학적 이슈, 중요 작가와 시인의 활동 등을 탐구함으로써, 한국 현대문학사를 통시적·공시적으로 검토한다.
KOR634 비교문학연구 (Studies in Comparative Literature)
비교문학은 하나의 문학 작품을 국내외의 작가나 시인, 문 학적인 경향 등의 영향 관계를 밝혀 연구하는 방법이다. 비교문학적인 연구의 특징과 연구 방법을 익히고 그것이 가지는 학문적 의의를 찾아본다. 한국문학은 개화기부터 서구 및 일본의 문학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형성되었다. 외국문학 작품과의 영향 관계를 보여주는 작가나 시인, 작품을 찾고 그것이 비교 대상으로 하고 있는 외국문학 작품과의 친 연성과 차별성을 연구한다.
KOR637 한국현대문학특강 (Topics in Modern Korean Literature)
한국 현대문학의 특성을 개관하여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한국문학 교육의 내용을 마련하는 데 이 강의의 목적이 있다. 이 강의를 통해 한국문학의 전체적인 윤곽과 특질을 파악하고 주요 작품을 분석하여 한국문학 세부 영역을 균형 있게 이해할 수 있다. 한국 현대문학의 특성과 작품을 살펴봄으로써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한국문화 교육의 기초를 마련할 수 있다.
KOR638 한국현대문화비평 (Korean Contemporary Culture Criticism)
오늘날 한국 사회와 한국인의 삶을 문화론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한다. 문학 작품을 비롯해 다양한 시각 자료들을 통해 한국의 현대문화를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한국문화 교육의 기초를 마련한다. 한국의 현대문화의 특징을 설명하거나 이해하는데 중요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실제 자료들을 수집 분석하며 문제의식을 심화시킨다.
KOR647 한국드라마연구 (Studies in Korean Drama)
한국의 대표적인 드라마를 중심으로 드라마콘텐츠의 현황, 드라마 작품의 스토리라인, 서사구조적 특징, 대중성과 통속성, 그리고 향유층의 흥미와 의식 등을 탐구한다. 나아가 현대 드라마의 한계를 파악하고 새로운 지향점을 예견해 본다.
KOR641 현대시론연구 (Studies in Theories of Modern Korean Poetry)
현대시를 창작하고 감상하는 데 필요한 이론들을 검토하고 그것에 의거하여 작품을 감상하고 분석한다. 또한 시인들의 시에 대한 생각을 담은 시론들을 시기별로 정리함으로써 시에 대한 생각이 어떻게 전개되고 반전되어왔는지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현대시를 이끌어온 시론적 입장들을 체계화하여 정리한다.
KOR642 한국현대시작품연구 (Studies in Modern Korean Poetry)
한국의 현대시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작품들을 시기별로 선정하여 학습함으로써 한국현대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높인다. 시 작품만이 아니라 이것을 뒷받침하고 있는 시론적 입장들을 검토하고, 그것이 당시의 문단 상황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를 알아본다. 그럼으로써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한국의 현대시에 대한 감상의 폭을 확대한다.
KOR643 현대시인연구 (Studies in Modern Korean Poets)
개화기부터 현재까지의 한국시의 흐름을 전반적으로 개괄적으로 검토한다. 한국문학사에서 대표적인 근현대 시인들을 선정하여 그들의 시적인 특징과 작품 세계에 대해 연구한다. 각각의 시인들의 작품을 시대 환경과의 연관 하에서 탐구하며, 여타 시인들의 시 경향과의 비교를 통하여 시사적인 위치를 파악한다. 시 창작에 영향을 미친 개인적·사 회적 체험을 탐구하고 그것이 작품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알아본다.
KOR644 현대시사연구 (History of Modern Poetry)
개화기부터 현재까지의 한국시의 흐름을 시기 순으로 검토한다. 한국 근현대시가 성립되기까지의 과정을 정신사적인 측면에서 검토한다. 시대별로 사회적인 환경에 대응하여 어떠한 시들이 창작되었고 그 영향 관계는 어떤 것인지 살펴본다. 시사 형성에 영향을 미친 서구 및 동양의 시들과의 상관관계를 살피고, 한국시의 흐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인다.
KOR645 한국전후시연구 (Korean Post War Poetry)
전후는 한국문학사의 전제가 식민지에서 분단이라는 주제로 바뀌는 중요한 시기이다. 또한 한국문학이 일본과의 영향 관계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서구의 문학과 접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전쟁 체험은 이 시기 시를 형성하는 가장 근원적인 체험이다. 이후의 한국시는 분단 현실을 바탕으로 하여 창작된다. 전후시에서 출발하여 1980년대까지 역사의 흐름과 더불어 발전해온 한국 현대시를 연구한다.
KOR646 현대한국시인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f Modern Korean Poets)
한국문학사에서 대표적인 근현대 시인들을 선정하고 그들의 서로간의 영향 관계에 대하여 연구한다. 우선 각각의 시인들의 작품을 시대 환경과의 연관 하에서 탐구하며, 여타 시인들의 시 경향과의 비교를 통하여 시사적인 위치를 파악한다. 시인들을 시대별로 비교, 분석하고 또한 그들의 작품 경향을 비교, 연구한다.
KOR651 현대소설론연구 (Studies in Theories of Modern Novels)
한국의 현대소설작품을 설명하는 이론적인 틀에 대해 연구한다. 현대소설을 감상하는 데 필요한 이론들을 검토하고 그것에 의거하여 작품을 감상하고 분석한다. 또한 작가들의 소설에 대한 견해를 담은 이론들을 시기별로 정리함으로써 소설에 대한 생각이 어떻게 전개되고 반전되어왔는지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현대소설을 이끌어온 이론적 입장들을 체계화하여 정리한다.
KOR652 현대소설사론 (Theories of Modern Novels)
한국현대소설의 역사적 흐름을 올바로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길러주기 위하여 애국계몽기 이후 현재까지의 소설을 진화론적 입장에서 분류하여 그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토론한다. 한국 근현대소설이 성립되기까지의 과정을 정 신사적인 측면에서 검토한다. 시대별로 사회적인 환경에 대응하여 어떠한 소설들이 창작되었고 그 영향 관계는 어떤 것인지 살펴본다.
KOR653 현대문학연습 (Seminar in Modern Literature)
현대문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토대로 시, 소설, 비평, 희곡, 수필 등 각종 문학 장르에서의 창작물과 작가들에 대해 검토한다. 문학 작품을 감상하는 데 필요한 문학 이론들을 학습하고, 장르별로 대표적인 작품들을 선별하여 감상한다. 한 국문학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준거가 되는 작품들을 감상 함으로써 문학작품을 연구하는 기본적인 소양을 배양한다.
KOR654 분단문학연구 (Studies in North Korean Literature)
1945년 남북분단 이후의 북한문학에 대한 실상을 연구한다. 사회주의 문예이론과 창작물의 대응관계를 알고 그것이 정치체제와 어떠한 연관을 맺고 있는지 탐색한다. 식민지 시기의 작가와 시인들에 대한 남북 문학사의 서로 다른 시 각을 비교하고 올바른 문학사적 시각을 정립할 수 있도록 한다. 남북한 문학사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균형 잡힌 통일 문학사 서술의 기반을 마련한다.
KOR655 해방후현대소설연구 (Studies in Modern Korean Novels)
한국의 해방 이후 현대소설을 올바로 이해하고 연구할 수 있는 안목을 길러주기 위하여 쟁점이 되고있는 주제를 발굴하여 집중적으로 토론하는 강좌이다. 해방기 소설에서부터 출발하여 1980년대까지 역사의 흐름과 더불어 발전해온 한국 현대소설을 주제별 혹은 작가별로 연구한다.
KOR656 한국현대소설작품연구 (Studies in Modern Korean Novels)
한국 현대소설 작품들을 분석하면서 그 구조적 특성과 예술 성 등에 대해 고찰한다. 시기별로 소설작품을 선정하여 학습함으로써 한국현대소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높인다. 각각의 소설작품을 당시의 문단 상황과 연결시켜 고찰함으로써 소설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한국의 현대소설에 대한 감상의 폭을 확대한다.
KOR657 현대작가연구 (Studies in Modern Korean Writers)
현대의 대표적인 소설가를 선정하여 그들의 작가의식 형성에 영향을 미친 개인적 체험과 시대적 상황 등에 대해 폭넓게 살펴본 뒤, 그것이 작품에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가를 고찰한다. 각각의 작가들의 작품을 시대 환경과의 연관 하에서 탐구하며, 여타 작가의 경향과 비교하여 소설사적인 위치를 파악한다.
KOR661 고전문학배경연구 (Studies in the Background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한국고전문학을 산출시킨 역사적 배경, 사회문화적 배경, 지리적 배경, 사상적 배경, 종교적 배경 등을 구체적 작품 및 경향 그리고 작가와 관련지어 연구한다. 동아시아권에 속하는 중국, 일본, 베트남 등의 고전문학 배경과 한국의 고전문학 배경을 비교 대조하여 심도 있는 고전문학 배경 연구에 임한다.
KOR662 고전문학연구방법론 (Methods in Classical Korean Literature)
고전문학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고전문학의 여러 장르에서 작가와 작품을 선정하여 작가와 작품의 분석을 위한 방법론을 심층 연구한다. 구조주의방법론, 문학사회학적 방법론, 심리학적 방법론, 효용론적 방법론, 유형론적 작품 연구 방법론 등 여러 방법론을 고찰한다.
KOR685 고전문학작가연구 (Studies in Classical Korean Writers)
한국의 대표적인 고전작품의 작가를 선정하여 그들의 작가 의식 형성에 영향을 미친 개인적 체험과 시대적 상황 등에 대해 폭넓게 살펴본 뒤, 그것이 작품에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가를 고찰한다. 각각의 작가들의 작품을 시대 환경과의 연관 하에서 탐구하며, 여타 작가의 경향과 비교하여 소설 사적인 위치를 파악한다.
KOR665 한국고전문학사상연구 (Studies in Classical Korean Literary Thoughts)
한국 고전문학을 이끌어 온 중요한 문학 사상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한다. 문학사상 사이의 연계성과 차이성을 고찰하고 문학사상의 전개 과정을 연구한다. 중국 및 중국 문화에 대한 생각, 우리 문화에 대한 사상, 우리 정서에 대한 인식, 계층에 따른 인식 등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사상과 고전문학작품의 관계를 연구한다. 고전문학사상과 현대문 학사상의 접점과 이행 양상을 연구한다.
KOR664 고전문학원전연구 (Studies in Classical Korean Literary Texts)
한국고전문학 연구의 실증의 바탕을 마련하기 위해 고전문학 원전을 문헌학적 방법으로 연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고 전문학 원전에 상세한 주석 달기, 이본들의 비교 대조하기, 원전을 현대어로 바꾸기 등을 실제로 연습한다.
KOR671 한국고전작가연구 (Studies in Medieval Korean Writers)
한국의 대표적인 고전소설 작가를 선정하여 그들의 작가의 식 형성에 영향을 미친 개인적 체험과 시대적 상황 등에 대해 폭넓게 살펴본 뒤, 그것이 작품에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 가를 고찰한다. 각각의 작가들의 작품을 시대 환경과의 연 관하에서 탐구하며, 여타 작가의 경향과 비교하여 소설사 적인 위치를 파악한다.
KOR674 한국고전시가작품연구 (Studies in Classical Korean Poetry)
고전시가 작품들 중 문학사적 가치가 뛰어난 것들을 엄선하여 심층적 의미와 현대적 의의를 논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상고시가로부터 향가, 고려속요, 시조, 가사, 잡가 등 역사적으로 전개된 다양한 갈래의 작품들 중 한국인의 정신세계와 삶의 양식을 대변하는 대표작들을 현대인의 삶에 유 의미한 주제에 따라 선별하여 비평하며 우수한 감식안을 획득하도록 한다.
KOR681 한국고전소설연구 (Studies in Classical Korean Novels)
한국의 고전소설작품을 설명하는 이론적인 틀에 대해 연구한다. 또한 소설에 대한 긍정론과 부정론을 시기별로 정리 함으로써 소설에 대한 생각이 어떻게 전개되고 발전되어왔는지 살펴본다. 한국 고전소설의 발생, 전개과정, 작품구조, 주제, 설화 및 현대소설과의 관계 등을 연구한다.
KOR682 한국구비문학연구 (Studies in Korean Oral Literature)
설화(신화, 전설, 민담), 민요, 무가 등 구비문학 전반의 전승양상, 구조적 특징, 미학적 원리 등을 연구한다. 동서양의 구비문학과 한국의 구비문학을 심도 있게 비교, 대조한다. 구비문학과 기록문학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본다. 현대 사회에서의 구비문학 양상을 연구한다.
KOR683 판소리연구 (Studies in Pansori)
판소리의 기원, 역사적 전승과정, 유파, 개별 작품의 구조와 의미, 미학적 원리 등을 연구한다. 판소리 전승 5가, 사설로만 전승하는 판소리, 판소리계 소설 등을 중심으로 그 특징들과 내재적 요소들을 연구한다. 판소리의 대중성과 현 대적 계승 양상을 고찰한다.
KOR684 한국고전수필연구 (Studies in Classical Korean Prose)
고전수필의 범위와 하위 갈래, 개별 작품의 세계, 작가의식, 수필이 출현한 당대의 상황 등을 비롯하여 수필의 문학적 특질을 연구한다. 고전수필 장르와 소설 장르 사이의 관계에 대해 고찰한다. 고전수필의 현대적 글쓰기로의 연계 방안을 마련해 본다.
KOR672 시조, 가사연구 (Studies in Sijo and Gasa)
시조와 가사의 형식, 주제, 사상적 배경, 작가 층, 미학적 가치, 개별 작품이 출현한 사회문화적 배경 등을 연구한다. 시조 장르와 가사 장르의 전개 양상을 심도 있게 고찰한다. 시조의 현대적 계승, 가사의 소설화 양상 등을 살펴본다.
KOR673 향가, 여요연구 (Studies in Hyangga and Ryeyo)
향가와 고려가요의 형태적 특징, 주제, 미학적 가치, 개별 작품이 출현한 사회문화적 배경 등을 연구한다. 향가와 문헌 사료를 연계하는 가운데 나온 새로운 향가 연구 방법을 심도 있게 고찰한다. 향가와 고려가요의 현대적 해석을 심도 있게 살펴본다. 향가와 고려가요의 현대적 계승 양상을 고찰한다.
KOR666 고전비평연구 (Studies in Korean Classical Criticism)
근대 이전까지의 우리 문학의 비평을 역사적으로 이론적으로 다룬다. 고전작품을 감상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당대의 문인들의 고전작품에 대한 품평의 준거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고전비평의 개별적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각각의 이론들의 구체적인 작품 분석의 기준들을 학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작품을 선택하여 비평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검토 해 본다.
KOR601 대조언어학 (Comparative Linguistics)
국어학은 한국어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개별언어학이며, 개별언어학의 연구 방법은 일반언어학의 그것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음운, 문법, 어휘, 의미 등 국어학의 여러 분야에 일반언어학적 방법론이 어떻게 적용되어왔고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 나아가 새로운 방법론을 개척하고자 하는 것이 본 교과목의 목표이다.
KOR602 국어학연습 (Seminar in Korean Linguistics)
본 교과목은 국어학의 여러 하위 분야들에서 논점을 찾아내고 그것들을 직접 해결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국어학에는 미해결의 난제들이 산재하여 있다. 어떠한 문제들이 어 떠한 점에서 미해결로 남아 있는지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이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모색한다.
KOR603 한국어사연구 (Studies in History of Korean Language)
언어는 끊임없이 변하고 있다. 새로운 단어가 생기기도 하고, 과거에는 활발히 쓰이던 단어가 쓰이지 않기도 한다. 때로는 단어는 그대로이되 의미만 변하기도 하고, 과거에 발음되던 자음이나 모음들이 현재는 사라지기도 하고 과거에는 없는 자음과 모음이 생겨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국어의 지나온 길을 돌아보고 그 과정을 체계화하는 국어학의 한 분과가 국어사이다.
KOR604 현대한국어연구 (Studies in Modern Korean)
통시론적 관점에서 중세국어 혹은 근대국어와 구별되는 현 대국어의 특징이 음운, 문법, 어휘, 의미 등 제 분야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현재에도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언어 변화에 관심을 기울여 살아있는 언어 현상을 관찰, 기술,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KOR605 중세국어연구 (Studies on the Middle Korean)
훈민정음 창제를 전후로 하여 16세기까지에 이르는 중세국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이론적으로 접근함과 함께 당시에 간행된 문헌을 직접 강독함으로써 언어 이해의 깊이를 더한다.
KOR606 근대국어연구 (Studies in Pre-Modern Korean)
17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는 근대국어에 대한 전반적인 이 해를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이론적으로 접근함과 함께 당시에 간행된 문헌을 직접 강독함으로써 언어 이해의 깊이를 더한다. 이 시기의 언어는 중세에서 현대로 이어지는 가교로서의 성격이 두드러지기 때문에 현대국어를 이해함에도 도움이 된다.
KOR607 고대국어연구 (Studies in Old Korean)
선사 시대 이래 통일 신라 시기에 이르는 고대국어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이론적으로 접근함과 함께 당시에 간행된 문헌을 직접 강독함으로써 언어 이해의 깊이를 더한다. 고대국어뿐 아니라 인접 언어군들과의 비교 작업을 통하여 국어의 계통을 밝히는 데에도 관심을 기울인다.
KOR611 한국어어휘교육론 (Studies in Korean Vocabulary Education)
국어어휘론의 개념과 국어학에서 국어어휘론이 차지하는 위치를 확인하고, 국어 어휘의 체계적인 분류 방법, 어휘소 사이의 관계, 어휘의 통시적 변화 양상을 탐구하며 사전학 의 기초 지식을 익힌다.
KOR612 한국어문법교육론 (Studies in Korean Grammar Education)
국어통사론의 하위 내용 중 특히 문장 구성과 관련한 문제를 다룬다. 문장 구성의 기본요건, 기본 문형의 설정, 문장 성분의 설정, 어순의 특성, 접속 방식 등에 관한 최신 쟁점을 검토한다.
KOR618 한국어의미론연구 (Studies in Korean Semantics)
국어의미론의 하위 분야인 어휘의미론, 문장의미론, 담화의 미론(화용론)의 성격을 이해하고 성분 분석, 의미장, 의미 관계, 전제, 함의, 함축 등 의미론 이론의 주요 개념을 익힌다. 의미론과 관련한 국내외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자신의 연구에 적용하도록 한다.
KOR617 한국어형태론연구 (Studies in Korean Morphology)
형태소론, 품사론, 파생법, 합성법, 활용법 등 국어 형태론의 주요 주제 중 일부를 선택하여 각 주제에 대한 최신 논문을 읽고 쟁점을 파악한다. 여기에서 얻어진 지식을 자신의 연구 주제에 적용하도록 한다.
KOR615 한국어통사론연구 (Studies in Korean Syntax)
문장의 성분, 어순, 격, 피동 사동, 시제, 양태, 상, 양태, 경어법 등 국어 통사론의 주요 주제 중 일부를 선택하여 각 주제에 대한 최신 논문을 읽고 쟁점을 파악한다.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연구 주제에 대해 창의적인 주장을 펼치도록 한다.
KOR616 변형생성연구 (Studies in 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언어학자인 노암촘스키의 변형생성 이론을 다룬다. 언어 수행/언어 능력, 보편 문법/개별 문법, 표면 구조/심층 구조 등 촘스키 문법의 중요 개념과, 변형 생성문법의 핵심적 설명 방법인 변형, 지배, 결속 등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한국어 연구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과 타 당성을 검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KOR621 한국어음운론연구 (Studies in Korean Phonology)
본 과목은 우리말 소리의 구조와 변동을 주로 공시적으로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음운론은 연구의 대상이 되는 최소 단위인 음운의 수가 매우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정밀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국어에서 의미를 변별하는 속성이 어떤 것이 있으며, 음운은 어떠한 체계를 이루고 있는지, 그들이 통합체를 이룰 때에 어떠한 양상을 띠는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KOR622 사회언어학연구 (Studies in Sociolinguistics)
한 나라에서 쓰이고 있는 언어는 균질적이지 않다. 언어는 지역이나 사회계층에 따라서 때로는 제법 큰 차이를 보이기도 하고 때로는 약간의 차이만을 보이기도 하는 것이다. 언어의 이와 같은 변종을 방언이라고 하며, 국어의 이러한 방언을 연구하는 것이 본 과목의 목적이다.
KOR691 한국어교육론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어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어 교육의 각 영역(한국어발음교육론, 한국어문법교육론, 한국어어휘교육론 등)에 대하여 연구한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익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이바지할 수 있는 교수자 육성의 기초를 닦는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어학의 이론적 기반을 토대로 하여, 이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실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KOR697 한국어규범론연구 (Studies in Korean Language Norm)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에게 꼭 필요한 한국어 규범을 연구한다. 4대 어문 규범인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화법 표준안의 세부 내용을 학습한다.
KOR693 언어습득론 (Studies in Language Acquisition for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한국어 교수 학습에 필요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과목으로서 제2언어 습득을 포함한 일반적인 언어 습득 이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한국어교육에서의 의의를 탐색한다.
KOR694 한국어발음교육론 (Teaching Pronunciation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한국어 발음의 특성을 이해하고, 정확한 발음 구사를 위한 기본 지식을 숙지한다. 아울러 효과적인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실제로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 목표별 수업 모형을 개발한다.
KOR695 한국어표현교육론 (Teaching Speaking and Writing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한국어 말하기 및 쓰기의 표현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이론적 배경 및 교수 방법을 연구한다.
KOR696 한국어이해교육론 (Teaching Listening and Reading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한국어 듣기 및 읽기의 이해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이론적 배경 및 교수 방법을 연구한다.
KOR698 한국어문화교육론 (Teaching Culture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한국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는 한국문화 전반을 바르게 이해하고, 이것을 한국어 학습 현장과 연결시켜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본다. 특히 최근의 문화연구 동향을 참고하여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를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해본다.
KOR699 한국어문학교육론 (Teaching Literature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한국문학의 특질을 이해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이론적 배경 및 교수 방법을 연구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한국의 문학 작품들을 감상하며 한국어의 특성과 한국인의 정서를 이해한다.
KOR6910 한국어교육과정및평가론 (Curriculum and Assessment i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교과과정 구성의 기본 원리를 연구하고 기존 교육과정을 분석, 검토하여 한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해 본다. 또한 언어평가의 기본 원리와 방법을 연구하고 한국어 평가 문제를 분석, 개발해 본다.
KOR6911 한국어교수학습론 (Methodology for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제 2언어 교수 및 학습 이론의 발달에 따른 한국어 교수법의 변천을 개관하고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는 한국어 교수법을 연구한다. 이와 함께 교육목적에 따라 구체적으로 수업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KOR6912 한국어교재론 (Materials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각종 교재를 분석, 검토하고 학습목적과 교재 구성의 원리에 맞추어 교재를 재구성하거나 개발해 본다.
KOR891 한국의현대문화 (Study on Korean Modern Culture)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내용 구안을 위해 한국의 현대문화를 탐구한다. 한국의 현대문화가 변화의 과정에 있는 것을 전제로 현대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힘과 동시에 비판적 안목 을 지니게 하며, 이를 한국어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국어교원으로서의 전문성을 갖추도록 한다.
KOR892 한국문학의이해 (Understanding of Korean Literature)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문학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목표로 한다. 이 강의를 통해 한국문학의 역사적 전개와 한국문학 고유의 특질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의 역할을 능동적으로 탐구한다.
KOR6913 한국어교육실습 (Practicum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한국어교육 현장의 참관, 실습을 통하여 이론과 실제를 경험하고 실천 가능한 한국어 교육방법과 현장의 문제점을 검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