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의료인문정신분석전공

와해된 언어를 사용하는 정신증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정신분석의 언어적 해석 기법에 대한 비온의 견해 고찰 베이트슨, 비고츠키, 뇌신경학에 기반하여

Consideration of Bion’s Views on the Verbal Interpretation Technique of Psychoanalysis in the Treatment of Psychotic Patients Using Disorganized Language -Based on Bateson, Vygotsky, and Brain Neurology 
송소원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정신증 환자의 와해된 언어에 그 초점을 맞추어 정신분석에서의 언어적 해석 기법이 이들 환자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먼저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이중 구속(Double bind)” 이론을 통해 정신증 환자의 “말 비빔(word salad)”, 즉 언어적 와해의 원인과 그 배경이 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의사소통의 발달과 개념의 발달과정을 비고츠키(Vygotsky)의 이론들 안에서 살펴보고, 정신분석의 발달이론들 안에서도 간략하게 그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뇌신경학적 관점에서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와해된 언어를 사용하며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가진 정신증 환자와의 정신분석적 상담에서 언어로 행해지는 ‘해석’의 기능과 그 의미를 윌프레드 비온(Wilfred R. Bion)의 이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정신분석적 장(場)에서의 만남이 이들 환자에게 있어 그동안 수용할 수 없었던 삶의 경험 및 그들 자신의 정서를 어떻게 언어적으로 새롭게 창조하게 하고, 자신과 타자 사이의 공유되는 감각, 즉 쌍방향 의사소통으로 나아가게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다시 말해, 환자와 분석가 간의 소통 안에서 이루어지는 해석의 과정이 새로운 의미로 창조되는, 즉 병리가 새로운 창조성으로 교체(shift)되는 바로 그 과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정신증의 증상은 다양하고 아직 우리는 정신증에 대해 많은 것을 알지 못한다. 하지만 다양한 증상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각 분야에서 이루어진다면, 언젠가는 엉킨 병리의 출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앞으로 뇌와 신체, 정신(마음), 그리고 사회적 관계망 등을 모두 아우르는, 통합적이고 다학제적인 연계 안에서 정신증에 관한 연구가 보다 활기차게 진행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erbal interpretation techniques in psychoanalysis on the psychology of psychotic patients. Accordingly, the researcher first tried to examine the causes and background factors of “word salad,” that is, disorganized language in psychotic patients, through Gregory Bateson’s “double bind” theory.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oncepts were examined in Vygotsky’s theory and the developmental theories of psychoanalysis, and this was also briefly examined from a neurological point of view. And finally, the meaning and function of ‘interpretation’ performed in language in psychoanalytic counseling with a psychotic patient using disorganized language was examined through Wilfred R. Bion’s theory.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se small studies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psychotic patients, and hope that therapeutic progress will be made along with multidisciplinary studies on psychotic patients in the future.

해당링크 : https://korcp.kr/homepage/custom/p3

※ 현대정신분석(The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analysis) Vol.25 No.1 [2023]

정신분석 임상에서 도착증자의 전이 양상과 분석가의 역할

Transference Patterns of Pervert Subject and the Role of Psychoanalyst in Psychoanalytic Clinical Practice

전서연, 정경훈 

국문 초록 (Abstract) 

정신분석 임상에서 도착증자는 증상에서 비롯된 고통을 완화하거나 자신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 분석에 오는 정신증자나 신경증자와 다른 독특한 전이 양상을 보인다. 그들은 정신분석이라는 상징적인 대타자의 역할과 기능을 훼손하고 현실의 모순과 한계를 비난하면서 만족을 얻는 도착적인 전이를 반복한다. 당황한 분석가는 자신의 역할을 놓친 채 도착증자의 주이상스를 구현하는 파트너가 되어 무의식적 공모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정신분석 임상에서 이런 도착적인 전이가 활성화될 때 분석가는 어떻게 기능하고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 질문에 답하기 위해 프로이트-라캉 및 대상관계 정신분석 관점에서 임상 사례연구 문헌에 드러난 도착적인 전이의 다양한 양상과 분석가의 역할을 탐색했다. 도착적인 전이에서 피분석자가 상징적 거세를 수용하고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면서 욕망하는 존재로 나아갈 수 있으려면 분석가는 도착증자가 요구하는 상상적 차원의 만족을 거절하고 상징적 대타자로서 위치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분석가는 도착증자가 분석가에게 무의식적으로 주문한 파트너 역할과 공모관계를 인식하고 지금-여기에서 벌어지는 전이 역동을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자의 임상 경험에 따르면 두 가지 관점을 통합적으로 적용해 도착적인 전이를 작업하는 것이 분석가의 역할을 유지하는데 더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피분석자가 자신의 정서와 더 깊이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연구를 통해 도착적인 전이 상연에서 어려움을 겪는 정신분석 임상 현장의 동료들에게도 통합적인 관점에 입각한 분석 작업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clinical practice of psychoanalysis, pervert subject exhibits unusual transference patterns different from those of psychotic and neurotic subjects, who attend therapy to alleviate the distress associated with the symptoms of their conditions or widen thei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The psychoanalyst is taken aback by the pervert subject’s transference, where he obtains gratification from damaging the role and function of psychoanalysis as the symbolic big Other and condemning the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of reality, losing the analyst role to be his partner in embodying his fantasies, resulting in an unconscious collusive relationship. When such perverse transference is activated during clinical psychoanalysis, how should the analyst function, and what role should be assumed?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investigate from Freud-Lacanian and Kleinian psychoanalytic perspectives various patterns of perverse transference, which have been reported in psychoanalytic case study literature, and the role of the analyst in working with such transference patterns. In order for the pervert subject to be able to accept symbolic castration and move on from perverse transference to be capable of desiring as one questions one’s own identity, the analyst must be capable of rejecting satisfaction in the imaginary domain, which is demanded by the subject, and maintain the position as a symbolic big Other. The analyst must also be capable of recognizing the collusive relationship established by the analyst’s countertransference and the perverse transference, and of escaping from the role of a partner unconsciously demanded by the subject, and of interpreting the dynamics of transference that are occurring in the Here and Now. While exploring these questions, we could better understand the difficulties stemming from the perverse transference condition which we faced in clinical psychoanalytical practice. We hope that the paper present an integrated treatment direction that is practically applicable to colleagues in the Korean psychoanalysis clinical field who may experience similar difficulties with meeting the pervert subject.

해당링크 : https://korcp.kr/homepage/custom/p3

※ 현대정신분석(The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analysis) Vol.25 No.1 [2023]

현대사회 소통방식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 -라캉의 이론을 중심으로

A psychoanalytic examination of modern forms of communication -Focusing on Lacan’s theory 

이건형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인의 소통방식에서 점차 영향력과 점유율이 높아져 가고 있는 온라인 SNS와 단문자 채팅방식을 정신분석적측면에서 고찰해보려는 연구이다. 초기의 인터넷은 소통과 정보습득의 ‘도구’로 출발하였지만, 점차 무의식적 욕망이 분출하는‘장소’로서의 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인에게 관념적인 온라인의 가상세계가 생성되고 있으며, 라캉의 상상계-상징계-실재의 구조적 이론이 여기에 별도 적용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온라인의 소통방식은 메시지의 발화와 의미종결의 측면에서 즉각성의 배제, 방송 효과, 무한 반복성, 과정의 기록, 주체의전능성 등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이로 인해 주체는 현실세계의결여를 온라인에서는 부인하는 형태로 자신의 이미지를 보다완전하게 포장하여 생성해낸다. 여기서 주체는 가상의 이미지와이자관계를 맺으며 거울단계로 퇴행한다. 동시에 주체의 가상이미지는 제 3자에 의해 응시되어져야 하는데, 타자에게 인정받지못한 주체 이미지는 파괴되었다가 부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결국 주체는 자신의 결여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능동적인경험을 하지 못한 채, 존재를 상실하는 수동적인 경험을 반복하거나 그 이전 단계로 퇴행한다. 최초 발화된 기표와 종결자 기표사이의 시간적 간극은 불규칙적이고 예측하기 어려운 특성을가지며, 주로 은유보다는 환유가 되도록 강제한다. 온라인 소통방식에서 ‘즉각성’이 배제됨으로써 ‘말실수를 통한 무의식적 의도’, ‘주체의 불완전함’ 등의 결여 가능성이 전면 통제되면서 이것이 도착증적인 증상과 연관된다. 본 연구는 최근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소통방식의 디지털화’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로서, 대면 접촉에 의한 전통적 소통방식과 새로운 디지털 온라인 소통방식의 융합에 있어 문제의식과 방향성에 대한 논의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online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and short message chatting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as they are increasingly influential and dominant in modern communication. Originally, the Internet served as a mere ‘tool’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acquisition, but it has gradually assumed the role of a ‘place’ where unconscious desires find expression. Consequently, a conceptualized online virtual world has emerged for modern individuals, necessitating the application of Lacan’s structural theory of the imaginary, symbolic, and real in distinct ways. Online communication methods are characterized by the exclusion of immediacy in terms of the utterance of messages and the termination of meaning, broadcasting effects, infinite repetition, recording of the process, and omnipotence of the subject, and as a result, the subject creates a more complete image of himself in a form that denies the lack of the real world online. Here, the subject regresses to the mirror stage by entering into an interest relationship with the virtual image. At the same time, the subject’s virtual image must be gazed at by a third party, and the subject’s image, which is not recognized by the other, is destroyed and resurrected. In the end, the subject repeats the passive experience of losing existence or regresses to the previous stage, without having had the active experience of actively accepting his or her absence. The temporal gap between the initial signifier and the terminating signifier has an irregular and unpredictable character, often forcing metonymy rather than metaphor. The exclusion of ‘immediacy’ in online communication has been associated with arrivalist symptoms, as the possibility of ‘unconscious intentionality through slips of the tongue’ and ‘subject imperfection’ is completely controll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a psychoanalytic examination of the ‘digitalization of communication’ that has been accelerating in recent years and provides a discussion point for problems and directions in the convergence of traditional communication methods through face-to-face contact and new digital online communication methods.

해당링크 : https://korcp.kr/homepage/custom/p3

※ 현대정신분석(The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analysis) Vol.25 No.2 [2023]

비온의 정서적 격랑을 통하여 고찰한 O 개념

Bion’s Concept of O as Emotional Turbulence

이은도, 이준호 

국문 초록 (Abstract) 

비온은 정신병리의 원인을 사고 장애에 있으며 현상들에서 나타난다고 보았고 사고의 발달을 통하여 병리를 치료해 나가고자 하였다. 후에 현상들의 배후에 존재하는 절대적 진실 O에 주목하여 진정한 정신분석적 대상인 정서적 경험이라고 하였다. 비온은 사고 발달을 위한 정신운동 도구로 좌표를 고안하여 현상들의 심리내적 작용과 이론들을 설명하였다. 그에게 좌표는 정서에 의하여 움직이는 기계적 장치였다. 때로 정서는 격랑, 난기류처럼 특정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비온은 정서적 격랑이 정신 건강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들어가야 하는 지점이라고 보았다. 정서적 격랑은 무엇이며 임상적으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 분석 회기의 현상과 정서들을 중심으로 좌표를O와의 만남, O에 대한 앎, O되기라는 세 지점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격랑의 원인, 형태, 장소를 분석하였다. 비온의 이론에서 정서적 격랑의 원인은 베타 요소의 축출(O 와의 만남, O되기에 대한 저항), LHK 연결(O에 대한 앎), 공통된 의사소통에 도달(O되기)이었다. 지점마다 형태는 달랐으며, 격랑이 나타나는 장소는 분석가, 피분석자 각각의 마음이었다. 또한 비온은 기억과 욕망을 자제하는 태도를 격랑을 다루는 분석가의 자세로 제시하였다. 나아가 임상적 활용을 예시하기 위하여 연구자의 임상 사례의 단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회기에서일어나는 사건은 모두 정서적인 것이지만 이 연구가 다루는 좌표의 각 지점들은 분석의 지난한 과정을 정서적 격랑의 측면에서 나눈 것으로 이러한 어려움을 겪어내는 것 자체가 분석적 과정임을 보여주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ion traced the causes of psychopathology to disturbances in thinking that manifested themselves in the phenomena of the analytic session and sought to cure them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ion devised greed as a psychomotor tool for the development of thought. In his later years, he introduced O, the absolute truth that exists behind phenomena, and called it a true psychoanalytic object and emotional experience. He regarded the Grid as a mechanical device and found in the emotions the dynamics that moved the device. Further, he suggests that emotional turbulence is the point at which those working in mental health must work, but does not elaborate this idea. What is emotional turbulence and how is it used clinically? Focusing on the phenomena and emotions within the sessions, the literature on the Grid was reviewed by dividing it into three parts: encountering O, knowing O, and becoming O. Emotional turbulence has a certain recognizable form, like turbulence. The causes of turbulence are the expulsion of the beta elements(encounter with O, resistance to becoming O), LHK connection (knowledge of O), and reaching common communication (becoming O), but the form varies from point to point and the place of appearance is the mind of each analyst and the analysand. In order to provide a example of clinical application, two clinical vignettes were presented and analyzed. Events that occur in an analytic session are all emotional. However, sometimes the emotional turbulence in the analyst’s mind creates difficulties. This study, which divides all the past processes of the analysis session into points of the Grid in terms of emotional turbulence, shows that transforming these difficulties is itself an analytic process.

해당링크 : https://korcp.kr/homepage/custom/p3

※ 현대정신분석(The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analysis) Vol.25 No.2 [2023]

자폐증의 거울 단계와 광학 모델 그리고 동일시에 관한 고찰

A study of the Mirror Stage, the Optical Model, and Identification in Autism

이경숙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폐증의 증상에서 거울 단계 최초의 동일시에 이르지 못한 모습을 발견하며, 라캉의 거울 단계와 광학 모델이 자폐증 임상에 어떠한 함의를 지니는 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라캉의 거울 단계와 광학 모델이 정신의 구조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며, 라캉의 광학 모델을 변형하여 자폐증자가 거울과 맺는 관계를 4가지 광학 모델로 제시한 브랜너의 연구와 자폐증자의 독특한 동일시에 관한 연구를 고찰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자폐증의 증상이 거울 단계에서의 동일시를 획득하지 못하는 것에 한 가지 원인이 있으며, 자폐증자는 자신의 파편화된 신체를 응집시키기 위해 다른 동일시의 경로를 가진다고 보았다. 이에 연구자는 브랜너가 제시한 변형된 4가지 광학 모델과 각 모델마다 자폐증자의 독특한 동일시와 증상들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임상경험과 관련하여 4가지 광학 모델에 해당하는 동일시의 형태를 제시하였다. 이는 자폐증자의 고유성을 기반으로 한 정신분석적 임상에서 더 적절한 개입을 연구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discovery of a lack of the first sort of identification with the mirror stage in the symptoms of autism, and the question of what implications Lacan’s mirror stage and optical models have for autism clinical practice. This article examines the impact of Lacan’s mirror stage and optical model on the structuring of the psyche, and discusses Brenner’s work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of autistic people with four optical models of their relationship with mirrors, a variation on Lacan’s optical model. Through these discussions,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the symptoms of autism may be due to the inability to acquire identification with the mirror, and that autistic people have different pathways of identification in order to cohere their fragmented bodies. Based on Brenner’s four variants of the optical model, I examined the unique identification and symptoms of autism in each model.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presented forms of identification corresponding to the four optical models. I believe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the study of more appropriate interventions in psychoanalytic clinical practice based on the uniqueness of autism.

해당링크 : https://korcp.kr/homepage/custom/p3 

※ 현대정신분석(The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analysis) Vol.26 No.1 [2024]

강박증의 특성 및 치료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 - 프로이트와 라캉 이론을 중심으로

A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aracteristic and Treatment of the Obsessional Neurosis
- Focusing on Freudian and Lacanian Theories

이시은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정신의학이나 심리학 분야와 달리 정신분석학에서는 강박증을 어떻게 이해하고 치료하는가?’라는 물음 하에 프로이트와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을 바탕으로 강박증의 고유한 기제와 원인, 구조, 치료적 접근을 고찰한다. 강박증은 본질적으로 과도한 쾌락 경험에 대한 중층적인 방어 메커니즘으로 억압 외에도 격리, 사후적 취소, 반동 형성, 전치 등의 다양하고 복잡한 방어기제를 발달시킨다. 강박증이 형성되는 주요 원인은 충동의 분열이 일어나는 항문기에의 고착과 퇴행으로, 강박증자가 유독 격렬한 양가감정과 죄책감, 초자아에 시달리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강박증의 구조는 라캉의 신경증 구조의 하위 범주로, 대타자에게 제기하는 죽음과 존재에 대한 질문, 스스로 완전한 주체가 되려는 환상,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에서 드러나는 대타자에 대한 역설적 태도, 부모와의 역기능적 삼각관계에서 비롯된 대타자의 주이상스에 대한 방어와 불가능한 욕망 등이 논의된다. 강박증 치료의 접근 방법은 원초적 경험과 정동의 재결합, 주체와 실재의 관계 조정-전이-해석 과정, 강박증자의 히스테리화, 분석가의 위치 이동을 통한 타자의 욕망과의 대면 등이 있다. 이상에서 도출된 임상적 함의는 강박증자 부모와 차별화되는 분석가의 위치 선정, 항문기에 고착된 기표의 재구성, 부정적 전이를 활용한 공격성 다루기 등이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unique mechanisms, causes, structure, and treatment of obsessional neurosis based on the psychoanalytic theories of Freud and Lacan to answer the question, ‘How is obsessional neurosis understood and treated in psychoanalysis as opposed to psychiatry and psychology?’. Obsessional neurosis is essentially a layered defense mechanism against excessive experiences of pleasure, and in addition to repression, it develops a variety of other complex defenses, including isolation, undoing, reaction formation, displacement. The etiological cause of the formation of obsessional neurosis is the fixation and regression in the anal stage, where the splitting of impulses occurs, which explains why obsessional neurosis patients are plagued by intense ambivalence, guilt, and superego. The structure of obsessional neurosis is a subcategory of Lacan’s neurotic structure, which discusses the questions of death and existence posed by the Other, the fantasy of becoming a complete subject, the slave’s paradoxical keeping alive of the Other as revealed in the dialectic of master and slave, and the defense against the Other’s jouissance and impossible desire stemming from the dysfunctional triangle with parents. The treatment of obsessional neurosis involves a combination of primordial experience and affect, a process of adjustment, transference, and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hystericalization of the obsessive, and confrontation with the desires of the Other through a change in the analyst’s position. Clinical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bove include the positioning of the analyst as differentiated from the obsessional’ parents, the reconstruction of symbols stuck in the anal stage and dealing with aggression using negative transference.

해당링크 : https://korcp.kr/homepage/custom/p3

※ 현대정신분석(The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analysis) Vol.26 No.1 [2024]

알코올 중독 분석 사례의 ‘음주 갈망’ 경험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 비온의 ‘사물-없음’과 ‘현존재-없음’ 개념을 중심으로

A psychoanalytic study of the experience of ‘drinking craving’ in an Alcoholism Analysis Case.
 - Focusing on Bion’s Concepts of ‘No-thing’ and ‘No-present’

이은상, 이준호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알코올 중독자들의 ‘음주 갈망(craving)’ 상태와 그 회복에 대해 비온의 ‘사물-없음(no thing)’과 ‘현존재-없음(no present)’ 개념으로 고찰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4년여간의 회복 과정에서 3번의 재발을 반복한 사례에서 나타난 음주 갈망현상을 ‘사물-없음’과 ‘현존재-없음’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자료는 재발 당시 분석기록에 바탕을 두었다. 알코올 중독자들은 자신의 음주 문제를 인정하고 단주를 결심한 이후로도 강렬한 음주 갈망으로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스스로 의지로써 피하기 어려울 정도의 음주에 대한 강렬한 갈망이 있기 때문이다. 음주 갈망은 주로 알코올 중독자의 정서적 상처나 약점과 관련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술에 의존하게 된 원인 즉, 술을 통해 마비시키려고 했던 자신의 정신적 고통을 의미하기도 한다. 분석 결과에서 ‘음주 갈망’ 이 비온의 ‘사물-없음’과 ‘현존재-없음’ 개념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두 개념에 대한 개인의 태도 즉, ‘고통을 겪어내는 자와 고통을 당하는 자’에 대한 설명이 알코올 중독자들의 재발과 회복과정을 이해하는 것에 매우 적합하다고 보았다. 이 고찰을 통해 알코올 중독자들의 음주 갈망에 대한 이해와 회복 과정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해가 심화되고, 이들의 회복 과정을 도울 수 있는 유익한 방법을 찾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drinking craving’ state of alcoholics and their recovery through the lens of Bion’s concepts of ‘no-thing’ and ‘no-present’.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the ‘no-thing‘ and ‘no-present‘ that appeared in the relapse experience of a patient who repeatedly relapsed three times in the course of of recovery for four years. The data were based on report of the relapses. Alcoholics often relapse due to drinking cravings, even after they have recognized their drinking problem and decided to stay sober. This is because they have intense cravings for alcohol that they cannot willingly avoid. Drinking cravings are often related to the alcoholic’s emotional wounds or weaknesses. It can also refer to the emotional pain that caused them to become dependent on alcohol, a pain that they were trying to numb through drinking. The researcher found that drinking cravings in alcoholism cases are consistent with Bion’s concepts of‘no-thing and no-present’. Furthermore, the individual’s attitudes towards the concept, ‘those who experience pain and those who suffered pain’ is very relevant to understanding the relapse and recovery process of alcoholic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a deeper psychoanalytic understanding of alcoholics’ craving for alcohol and the recovery process, and to the search for fruitful ways to help them in their recovery.

해당링크 : https://korcp.kr/homepage/custom/p3

※ 현대정신분석(The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analysis) Vol.26 No.1 [2024]

전이의 신경학 - 전이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위한 신경과학적 고찰

Neurology of Transference - A neuroscientific contemplation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ransference

최성욱 

국문 초록 (Abstract)

전이는 정신분석의 핵심 개념이지만, 그 개념을 도입한 프로이트도 잘못된 연결, 전위 등으로 개념을 발전시켰으며, 현대에 와서는 전체 전이와 지금 여기에서의 전이처럼 확장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임상에 임하는 초보 분석가나 치료자가 그 개념을 오인하거나 숙련된 치료자들 사이의 소통에서도 오용되거나 오해를 발생시키는 위험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이트 시대 이후 발달된 신경과학의 연구를 살펴보며 전이현상의 생물학적 근거를 확인하고 전이개념의 초점 범위를 좁혀 치료적 전이 해석을 위한 좀 더 견고한 토대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프로이트 이래 발전된 전이 개념을 훑어보고, 신경과학적으로 전이를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며, 이를 통해 언어를 통해 전이를 해석하는 기제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지 고민해본다. 결과적으로 신경과학적 의미에서 전이란 사회적 소통을 위한 거울뉴런과 같이 인지 이전에 체화된 지각과 예측시스템에 의해 발생된다고 볼 수 있으며, 해석은 이러한 신경계의 신호들의 연합을 언어기표의 연합과 연결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눈부시게 발전하는 인공지능과 기계학습에는 신경과학의 발전이 뒷받침 되고 있다. AI가 가상과 실재를 위협하기 시작한 새로운 시대의 인간 정신의 건강을 위해 최근의 신경과학적 연구를 통해 정신분석 개념의 토대를 공고히 하는 작업은 나름의 의미를 가진다고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ansference is a central concept in psychoanalysis. But Freud, who introduced the concept, also developed the concept to include false connections, dislocations and so on. Recently, the concept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total transference and here-and-now transference. As a result, it is not uncommon for the concept to be misunderstood by novice analysts and therapists in clinical situation. Even experienced therapists could misuse and misunderstand the concept in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biological basis of transference phenomena and narrow the focus of the concept of transference by examining neuroscience research developed since Freud, and to provide more solid foundation for the interpretation of transference. To this end, we will first review the concept of transference developed since Freud, and then examine the neuroscientific research on how transference can be understood, and think about how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for interpreting transference through language. As a result, transference in the neuroscientific sense can be seen as being caused by perceptions and prediction systems embodied prior to cognition, such as mirror neurons for social communication, and interpretation can be viewed as linking the association of these neural signals to the association of linguistic symbols.

해당링크 : https://korcp.kr/homepage/custom/p3

※ 현대정신분석(The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analysis) Vol.26 No.1 [2024]

동화를 통한 상징화의 발달과 치료적 변형에 대한 사례 연구: 클라인, 시걸, 위니컷의 이론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Symbolization and Therapeutic Transformation through a Fairy Tale: Focusing on the Theories of Klein, Segal, and Winnicott

한미향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 급성정신증 치료사례에서 상징화의 발달과정과 그 과정에서 동화의 기여를 구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상징화는 무의식적 환상 및 내부 대상관계와 연관되어 있는 과정으로 불안을 변형하여 다룰 수 있게 해주며 경험을 통합하게 한다. 잠재적 공간은 내적세계이면서 동시에 외부세계인 과도기적 경험이 발생하는 중간영역이며, 그 속에서 중간대상이 출현되며 진정한 상징은 아니지만 모성대상과의 분리의 갈등과 불안을 처리하는 상징적 수단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고찰과 임상사례 분석을 통해서 상징화의 발달을 밝힌다. 첫째, 상징은 치료장면에서 형성된 잠재적 공간에서 발달하며, 구체적이고 사물로 등가되는 상징적 동등시에서 추상화되고 정교화된 상징화로 발달한다. 최종적으로 상징화는 그 의미를 의식화하고 언어화하는 것으로 발달한다. 둘째, 잠재적 공간에서 치료자와 내담자의 협력하에 공동-변형되는 동화라는 확장된 중간대상의 출현은 상징화의 발달에 기여한다. 이후 상징화는 점차 다른 상징물, 꿈, 전이 등을 통해서 더욱 활발히 나타나게 된다. 셋째, 상징화의 발달은 내담자의 치료적 변형에 기여한다. 즉, 편집-분열적 경험에서 우울적 경험으로 이동하거나 우울적 자리를 훈습을 하도록 도움으로써 주체가 확립되고 개인내적 및 대인관계에서의 변화로 이어진다. 본 고찰을 통해 클라인과 시걸, 위니컷의 정신분석 이론에서 상징화의 발달과정을 검토하고 확장된 중간대상인 동화와 그 이야기적 변형이 상징화에 기여하는 점을 논증하고, 이러한 상징화의 발달이 치료적 변형을 가져오는 것을 임상사례를 통해 입증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process of symbolization and contribution of fairy tale, in the treatment of an acute psychosis case. Symbolization is a process deeply connected to unconscious phantasies and internal object- relations. This process helps individuals transform and manage anxiety, integrate the experience, and form subject. The potential space is an intermediate area where intermediate experiences, which are both the internal world and the external world, occur. Within this space, an intermediate object emerges. Although it is not a true symbol, it is used as a symbolic means to process the conflict and anxiety of separation from the maternal object. Through these considerations and the analysis of a clinical case, the development of symbolization and contribution of fairy tale, an extended intermediate object is elucidated. First, the symbol develops in the potential space that is formed in the treatment scene and evolves from symbolic equation, which is concrete and equated to things, into abstracted and elaborated symbolization. Eventually, symbolization develops into consciousness and verbalization of its meaning. Second, in the potential space, the emergence of an expanded transitional object, such as a fairy tale, which co-transformed under the collaboration of the therapist and the clien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symbolization. Afterwards, symbolization gradually appears more actively through other symbols, dreams, and transference, etc. Third, the development of symbolization contributes to the client’s therapeutic transformation. In other words, by helping to move from paranoid-schizoid experiences to depressive experiences or to work through depressive position, the subject is established and leads to changes in the internal world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tudy finds its significance in review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symbolization in the psychoanalytic theories of Klein, Segal, and Winnicott; in demonstrating how the expanded transitional object of a fairy tale and its narrative transformation contribute to symbolization; and in establishing through a clinical case that the development of symbolization leads to therapeutic transformation.

해당링크 : https://korcp.kr/homepage/custom/p3

※ 현대정신분석(The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analysis) Vol.26 No.2 [2024]

토마스 머튼의 관상적 삶의 태도와 윌프레드 비온의 ‘기억도 욕망도 없는 상태’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omas Merton's Contemplative Attitude and Wilfred Bion's
‘state of being without memory or desire’

김남훈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심리치료를 위해, 심리학과 영성을 통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현대의 정신분석은 상호주관성을 강조하며, 무의식을 넘어 인간 내면의 무한성과 신비성까지도 주목하게 되었다. 기존의 프로이트의 과학적이고 이성적인 접근만으로는 온전히 내담자의 존재를 담아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윌프레드 비온은 기존의 정신분석을 ‘신비적 과학으로서의 정신분석’으로 재정의하며 정신분석의 맹점을 보완했다. 이는 과학적 태도와 신비주적 태도를 동시에 포괄하려는 파격적인 시도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현대의 정신분석은 기독교 영성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현대 정신분석의 정점에 있는 윌프레드 비온의 이론은 기독교 영성과도 많은 연결점이 있다. 특히 토머스 머튼이 제시한 관상적 삶의 실천 과정은, 비온이 강조하는 분석가의 임상 태도와 연결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머튼이 관상에서 강조하는 ‘고독’과 ‘침묵’의 개념을 중심으로, 윌프레드 비온이 강조한 분석가의 ‘기억도 욕망도 없는 상태’와 ‘레브리’가 어떠한 연결점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머튼이 강조한 것처럼 고독과 침묵은 세상을 향한 철수가 아니다. 이는 오히려 자신의 어두운 면을 용기 있게 마주하고 하나님과 일치하려는 열망이다. 기도자가 온전히 자신의 욕망을 내려놓음으로써 내적 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것처럼, 분석가 또한 자신의 ‘기억과 욕망’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내담자를 수용할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비온은 자신의 기억과 욕망을 최대한 억제한 상태에 이르러야 내담자를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다. 비온은 어머니가 ‘기억도 욕망도 없는 상태’에서 유아에게 열정적으로 몰입하는 상태를 ‘레브리’ 개념으로 설명한다. 즉, 내담자는 유아와 마찬가지로 자신이 알지 못하는 정서적 경험들을, 분석가의 레브리라는 담아주는 환경 안에서 의식화하고 변형시킬 수 있기를 간절히 원한다. 이러한 적극적인 의사소통에 참여하기 위해서, 분석가는 내담자로부터 비롯된 불확실성이라는 어두운 밤을 자신의 ‘레브리’를 통해 인내할 수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비로소 내담자는 분석가로부터 새로운 정신기능인 알파-기능을 내재화한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자신과 대상에 대해 사고하고 꿈을 꿀 수 있게 되며, 홀로 세상에서 일어설 수 있게 된다. 기도자는 하나님과의 참 만남을 위해 자신의 거짓 자아를 벗어던지고 실패와 좌절을 견뎌낼 수 있어야 한다. 임상에서 분석가 또한 내담자를 위해 같은 노력을 해야 한다. 관상적 삶의 실천은 분석가의 능력을 정교화하고, 넉넉한 심리내적 공간을 마련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movement to integrate psychology and spirituality in psychotherapy. Following this trend, modern psychoanalysis emphasizes intersubjectivity and has come to pay attention to the infinity and mystery of the human mind beyond the unconscious. This is because conventional Freud's scientific and rational approach alone cannot fully capture the counselee's existence. Wilfred Bion supplemented the blind spots of psychoanalysis by redefining the existing ‘psychoanalysis as a mystical science’. It was an unconventional attempt to encompass both scientific and mystical attitudes. Through these attempts, modern psychoanalysis has come a step closer to Christian spirituality. Wilfred Bion's theories, which are at the pinnacle of modern psychoanalysis, have many connections to Christian spirituality. In particular, Thomas Merton's contemplative life practice is connected to the clinical attitude of the analyst that Bion emphasizes. In this paper, I will focus on Merton's concepts of ‘solitude’ and ‘silence’ in contemplation, and explore their connection to Wilfred Bion's emphasis on the analyst's ‘state of being without memory or desire’ and ‘rêverie’. As Merton emphasizes, ‘Solitude’ and ‘silence’ are not withdrawal from the world. Rather, it is a aspiration to courageously face one's dark side and become one with God. Just as a prayer can create inner space by completely letting go of his or her desires, an analyst can create space to accept a client by suppressing his or her own ‘memories and desires’ as much as possible. Bion believed that he could only understand his counselees when he had suppressed his own memories and desires as much as possible. Bion explains the concept of ‘rêverie’ as a state in which a mother is passionately preoccupied with her infant in state of being without memory or desire. That is, like infants, clients desperately want to be able to make conscious and transform their unaware emotional experiences within the analyst's the containing environment of rêverie. To participate in this active communication, Analyst must be able to persevere the dark night of uncertainty arising from their counselee through their own ‘rêverie’. The counselee, through this process, ultimately internalizes a new mental function known as the a-function from the analyst. Through this, the counselee can think and dream about himself and others, and they can stand alone in the world. The prayer must be able to shed their false self and endure failure and frustration in order to have a true encounter with God. In clinical practice, analysts must also make the same effort for their counselee. This contemplative life practice can contribute positively to refining the analyst's capability and creating sufficient psychological space.

해당링크 : https://praxis.or.kr/ 

※ 한국실천신학회, 신학과 실천(Theology and Praxis) Vol.- No.91 [2024]

‘사이의 무한대’로서 이해되는 O : 둘러싸임의 구조와 호기심에 관하여

O as the ‘In-between Infinity’ : Understanding Through the ‘Structure of Encapsulation’ and Curiosity

이건형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비온의 O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위해 자주 묘사되는 신성을 중심으로, 무한대와 공통성, ‘근본바탕’과 ‘구성요소’, 능동성과 수동성, 연결과 분리, 호기심 등을 통해 다양한 설명 을 시도하였다. 유기체는 근본적으로 자신이 포함된 전체를 인식하지 못하며, 그 전체의 움직 임과 의도를 파악하지 못한 채 내맡겨질 수밖에 없는 수동적 존재이면서, 그 범위 내에서 유기 체의 개별적 차이와 특성을 드러내는 능동적 존재이다. 유기체가 처한 운명적 구조를 유한과 무한, 능동과 수동의 변증법적 시각에서 ‘둘러싸임’의 구조로 제안하였다. 유기체는 ‘근본바탕’으 로 둘러싸여 있으면서, 동시에 하위 요소를 둘러싸고 있는 ‘근본바탕’으로 작용한다. ‘둘러싸임’ 의 구조에 근본바탕이 되는 무한대를 수학적으로 한없이 커지는 유일한 ‘궁극의 무한대’와 유 한한 개물(個物) 사이에 내재된 ‘사이의 무한대’의 두 가지로 상정하여, 알려지지 않으면서 알 수 없고, 변형하며 진화하는 O의 특성을 추상하였다. ‘사이의 무한대’는 유한성과 무한성이 서 로 둘러싸는 형태를 취하면서 변화하는 경계를 공유하는데, 이때 담고 담기는 관계가 반복되 며, 호기심을 통한 정서적 경험 L, H, K 가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았다. 포화상태에서 불포화 상태로의 움직임에 호기심은 원인이자 결과로서 작용을 하며, 이때 주체는 불포화 상태 가 주는 결핍감과 둘러싸임의 경계 바깥에 있는 불확실성, 그로 인한 불안감을 견뎌내야 한다. O와의 접촉은 호기심을 만들어 내어 연결과 분리를 촉진하는데, 이것은 포화상태와 불포화 상 태, 편집분열적 자리와 우울적 자리를 오가는 반복적 역동을 유발한다. 이러한 반복을 통해 ‘O 되기’가 실현되는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이론적 난해함을 특징으로 하는 O에 대한 추상적 이해를 수학적, 철학적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새로운 해석방법을 시도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 비온, O, 사이의 무한대, 둘러싸임의 구조, 근본바탕, 호기심, LHK, 불포화 상태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lves into Bion's concept of O, with a specific focus on its attributes such as divinity, infinity, commonality, and the fundamental foundation. Organisms are regarded as both passive entities, incapable of fully comprehending the entirety they are a part of, and active entities, demonstrating individual differences within their scope. The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Encapsulation' to elucidate the existential condition of organisms, involving a dialectic between the finite and the infinite, the active and the passive. Organisms are enclosed by, and simultaneously serve as, the fundamental foundation for subordinate elements. The study posits two types of infinity to abstract O's characteristics: the 'ultimate infinity' and the 'in-between infinity.' The latter involves a dynamic interplay where the finite and the infinite encapsulate each other, with a boundary that evolves through emotional experiences (L, H, K) driven by curiosity. Curiosity propels the transition between saturated and unsaturated states, necessitating the subject to confront deficiency, uncertainty, and anxiety. Contact with O incites curiosity, fostering a cyclical dynamic between saturated and unsaturated states, oscillating between paranoid-schizoid and depressive positions, ultimately leading towards 'becoming O.' This study re-evaluates O's abstract comprehension from mathematical and philosophical standpoints, presenting a novel interpretative framework to navigate its theoretical complexities.

Key Words : Bion, O, In-between Infinity, Structure of encapsulation, Fundamental Foundation, Curiosity, LHK, Unsaturation

해당링크 : http://www.kpsya.com/bbs/board.php?bo_table=wb_note1&wr_id=7  

※ 한국정신분석협회 『정신분석연구』 Vol.1 No.1 [2024]

연쇄살인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해

 A study on the Psychoanalytic Understanding of Serial Murder

문현아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연쇄살인범의 각 생애 단계에서 나타나는 위험요인들을 정신분석적으로 탐색 하면서, 연쇄살인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출하고자 연쇄살인범이 되기까지 축적된 위험요인을 아동학대, 청소년기 비행, 성인기 연쇄살인의 촉발요인, 본격적인 연쇄살인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류를 바탕으로, 연쇄살인범 생애의 각 단계에서 핵심적으로 드러나는 정신분석적 주제로서 ‘자기와 대상의 구분-유아기’, ‘죄책감의 발달 조건-아동기,’, ‘환상과 행동화-청소년기’, ‘반응적 공격성-촉발요인’, ‘부정적 담기기-연쇄살인’을 Freud를 비롯한 Klein, Winnicott,Kohut, Bion의 관점에서 순차적으로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주제들이 연쇄살인 범죄에서 나타나는 핵심적인 정신분석 주제이며, 이와 관련된 각 생애 발달단계에서 축적된 병리들이결국 연쇄살인이라는 범죄행위에서 총체적으로 드러남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따른논의 결과를 토대로 비행 청소년기보다 더 이른 아동학대 시기에 적극적이고 심층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입은 단순히 인지 행동적 치료를 넘어서 아동의 무너진 내적 대상 세계를 새롭게 재구성할 수 있을 정도의 장기적인 대상 제공 방식의 정신분석적 치료 개입이 유효함을 제언하였다.

주요어 : 연쇄살인, 대상관계, 부정적 담기기, Klein, Bion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serial murder psychoanalytically, the risk factors accumulated before becoming a serial killer were categorized into child abuse, delinquency in adolescence, trigger factors for serial murder in adulthood, and full-blown serial murder. And as psychoanalytical themes that are revealed at the core at each stage of a serial killer's life, 'distinction between self and object,' 'developmental conditions of guilt,' 'fantasy and acting out,' 'reactive aggression,' and 'negative containment,' including Freud, It was discussed sequentially from the perspectives of Klein, Winnicott, Kohut, and Bion. In this study, it was assumed that the above themes are the core psychoanalytical themes that appear in the crime of serial murder, and that these psychoanalytical themes accumulated at each stage of life development are ultimately revealed in the criminal act of serial murd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insist that active and in-depth intervention be necessary in the period of child abuse earlier than the delinquent adolescence period. And it was suggested that this intervention go beyond simply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nd that psychoanalytical treatment intervention in the form of long-term object provision that can reconstruct the child's collapsed internal object world be effective.

Key words : serial murder, object relations, negative containment, Klein, Bion

해당링크 : http://www.kpsya.com/bbs/board.php?bo_table=wb_note1&wr_id=8  

※ 한국정신분석협회 『정신분석연구』 Vol.1 No.1 [2024]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본 성적 경계 위반 현상과 원인

 Sexual Boundary Violations in Light of Psychoanalysis Phenomena and Root Causes

양시온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치료 관계의 맥락에서 성적 쾌락을 목적으로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신체 접촉” 으로 정의되는 성적 경계 위반의 현상과 원인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는 논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현재 정신분석학계 내에서 두루 통용되는 성적 경계 위반 개념을 정의하고 주요 담론을 이끌어온 이 분야의 두 권위자 가바드(Gabbard, G.)와 셀렌자(Celenza, A.)의 관련 문헌 대부분을 탐구했다. 성적 경계 위반은 한국에서 현재진행형의 사회적 이슈이다. 성적 경계 위반 행위는 피분석가에게 근친상간의 경우와 유사한 정신적 위해를 입힐 뿐 아니라 정신분석이나 심리치료에 대한 대중의 신뢰를 앗아가 결국 그것들을 고려하던 이들의 소중한 기회를 박탈한다. 본고에서 연구자는 먼저 실제적인 네 가지 사례―각각 1)정신증적 장애 2)포식성 사이코패스이자 성도착증 3)상사병 4)피학적 굴복 유형―를 성적 경계 위반의 현상으로서 살펴본다. 그리고 유형별 정신분석적 원인을 심도 있게 살펴본다. 이후 프로이트를 고찰해 정신분석 임상에서 성적 전이와 성적 역전이가 빈발함을 논증하고, 그것들이 정신분석 임상 자체 내에 내재해 있는 성적 경계 위반의 배경 원인으로서 작용한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성적 경계 위반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여 궁극적으로 성적 경계 위반 행위를 감소시키는 데 있다.

▶주제어 : 치료관계, 성적 경계위반, 정신분석, 가비드, 셀린자, 프로이트, 성적 전이, 성적 역전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view paper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phenomenon and causes of sexual boundary violations, defined as “any kind of physical contact occurring in the context of a therapeutic relationship for the purpose of erotic pleasure.” The researcher extensively reviewed the works by Glen Gabbard and Andrea Celenza, two authorities who have contributed to the leading current discourse of sexual boundary violations. Sexual boundary violations are an ongoing social issue in Korea. Such acts not only inflict psychological harm on patients, similar to incest, but also erode public trust in the mental health field, ultimately depriving potential patients of treatment. This paper first examines four case types of sexual boundary violations: 1)psychotic disorders, 2) predatory psychopathy and paraphilias, 3) lovesickness, and 4) masochistic surrender. It then delves into the psychoanalytic causes of each type. Finally, drawing on Freud, it argues that erotic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are prevalent in psychoanalytic practice both in theory and in reality and function as underlying causes inherent within the psychoanalytic setting itself. This paper aim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sexual boundary violations to ultimately reduce their occurrence.

Key Words: sexual boundary violations, therapeutic relationship, Gabbard, Celenza, psychoanalysis, Freud, erotic transference, erotic countertransference

해당링크 : https://korcp.kr/homepage/custom/p3

현대정신분석(The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analysis) Vol.27 No.1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