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매개와 커뮤니케이션
전공 소개
글로벌 문화 생태계의 빠른 진화로 문화·예술 콘텐츠를 심층적으로 분석·설명·번역할 전문 인력의 필요성이 커졌다. 이에 학생들은 콘텐츠, 모빌리티, 테크놀로지,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의 관계에 대한 인문·사회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문화 및 예술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분석·설명하고 우수하게 번역·비평하는 능력을 기른다. 본 마이크로전공 이수자는 콘텐츠 제작 및 배급 기업, 박물관, 문화정책 관련 공공기관, 문화예술 관련 재단 등에 진출하거나 콘텐츠 마케터, 홍보기획자, 번역콘텐츠 기획자, 영상번역가 등으로도 활동할 수 있다.
교육목표
- 문화가 교차 및 융합하는 시대에 한국 문화의 글로벌 유통 및 수용을 매개하는 전문 지식과 역량을 함양한다.
- 문화·예술 콘텐츠, 모빌리티, 테크놀로지 그리고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의 관계에 관한 인문학적·사회과학적 이해력을 기반으로, 문화 및 예술 콘텐츠를 분석·설명·번역하고 비평할 수 있는 융합형 인재를 양성한다.
- 문화산업 시대에 번역을 비롯한 매개 활동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문화 매개에 관한 저변을 확대한다.
수강 대상
- 글로벌 문화 및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문학적·사회과학적 이해를 갖추고자 하는 학생
- 영어 등 외국어를 활용해 문화 콘텐츠를 분석·설명·번역하는 역량을 강화하고 싶은 학생
- 콘텐츠 기획, 마케팅, 홍보, 번역 등 다양한 문화산업 분야로 진출을 희망하는 학생
이수학점
- 12학점 (전선 12학점)
교육과정표
학수구분 | 전공교과목 | 개설학과 | 학점/시간 | 개설학기 | 교육내용 |
---|---|---|---|---|---|
전공선택 | 번역입문 (캡스톤디자인) | 영어영문학과 | 3/3 | 1 | 번역이 문화 간의 만남과 교류, 지식의 생산과 유통 과정에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고찰함 |
시각예술과 스토리텔링 | 문화콘텐츠학과 | 3/3 | 1 | 다양한 콘텐츠 속 시각예술 스토리텔링을 분석해보고, 바람직한 스토리텔링의 방향을 설계 | |
모빌리티의 사회학 | 사회학과 | 3/3 | 1 | 인간의 물리적인 장거리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운송수단과 체계 뿐 아니라 이동이 갖는 사회, 문화적 의미와 정치적 효과, 그리고 전 지구적 이동성의 증대와 관련된 유동화의 정치경제에 이르기까지 사회적 삶의 다양한 이동화 과정에 대한 이해력 제고 | |
영화의 이해와 영상번역 (캡스톤디자인) | 영어영문학과 | 3/3 | 2 | 디지털 미디어를 중심으로 번역과 문화 매개가 이루어지는 양상에 관한 이해력 함양 | |
문화매개와 콘텐츠 | 문화콘텐츠학과 | 3/3 | 2 | 문화정책, 문화산업과 관련한 유럽의 문화 매개 사례를 연구하고 우리 현장에의 시사점을 도출 |

관련 진로
- 콘텐츠 제작 및 배급 기업, 박물관, 문화정책 관련 공공기관, 문화예술 관련 재단 등에 진출하거나 콘텐츠 마케터, 홍보기획자, 번역콘텐츠 기획자, 영상번역가 등으로도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