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안내

디지털역사학

디지털역사학

전공 소개

디지털 시대의 흐름 속에서 역사학은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방대한 역사 자료가 데이터로 전환되며, 이를 분석·해석하는 능력이 중요한 역량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전공은 이러한 변화에 맞춰 사료 탐구와 디지털 도구 활용을 융합한 교육을 제공한다. 한국사 사료 분석과 디지털 도구 실습을 통해 학문적 호기심과 실무 감각을 함께 키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전문 역사 연구, 문화 콘텐츠 기획, 인문 정보 분석 등 다양한 진로와도 연결될 수 있는 이 전공은, 디지털 시대의 인문학을 고민하는 모든 학생들에게 유익한 전공이 될 것이다.

교육목표
  • 사학과의 정체성을 견지하면서 디지털시대를 선도하는 교육과정과 융합형 인재 육성
  • 사학 전공 외 인문학 학생들이 가지는 디지털 도구와 방법론에 대한 두려움·거부감 완화
  • 국내 타대학과 차별화된 디지털 역사학 특성화를 통해 데이터 기반 융합형 역사 인재 양성
수강 대상
  • 사학과 전공자 및 역사학에 관심이 있는 학생
  • 디지털 도구 활용에 대한 부담 없이 역사 콘텐츠를 실습 기반으로 탐구하고자 하는 학생
  • 문화콘텐츠, 교육, 출판, 데이터 기반 인문 정보 분석 등 다양한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
이수학점
  • 9학점 (전선 9학점)
교육과정표
 마이크로전공 교육과정표
교과목명 학수구분 학점/시간 개설학과
데이터인문세미나
(캡스톤디자인)
전공선택 3/3 데이터인문연계전공
디지털역사학연구방법론
(캡스톤디자인)
전공선택 3/3 사학과
한국사 사료와 데이터(캡스톤디자인)
*(前 인구가족 데이터 연습)
전공선택 3/3 사학과
기록과 해석
*(前 신화와 디지털콘텐츠)
전공선택 3/3 사학과
한국사 입문 전공선택 3/3 사학과
table scroll image
관련 진로
  • 인문 정보 데이터 과학자, 웹·앱·그래픽·멀티미디어 디자이너, 역사·문화 콘텐츠 창작자, 디지털 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문가, 연구자
  • 디지털 시대 문화, 예술, 역사 분야에 대한 관심 증가는 과거와 현재 사회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고 보존하는 동시에 이 데이터를 새로운 도구와 방법론을 통해 분석과 해석을 시도하는 추세로 이어진다. 따라서 역사 자료를 데이터로서 다루고 그 결과를 역사적 지식을 바탕으로 해석하여 인문학적으로 설명하고 표현할 수 있는 인재의 양성이 요구된다.
기타

본 전공은 사학과 학생 졸업요건(마이크로전공을 2개 이상 이수한 경우 졸업 허가)으로 미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