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학교

검색 열기
통합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아주인칼럼

NEW [칼럼] 노인 일자리에 대한 사회적 노력

  • 홍보***
  • 2020-09-16
  • 3761

[김용기, 국제학부 교수·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한국인 올해 중위연령 43.7세 10년 후 2030년엔 50세 육박

60세 이상 ‘고용률 증가’ 당연 노인 ‘65세 이상’ 개념 바꿔야

130년 전부터 변화 없이 사용

어르신 직업 충실도·윤리 높아 맞춤형 일자리 발굴 고민 필요

 

65세 이상 ‘노인 일자리’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필요하다. 디지털 전환과 저탄소 경제를 위해 ‘한국판 뉴딜’이란 전환적 경제·사회 정책을 시작한 것처럼 인구구조의 거대한 변화에 대응한 일자리 대책 또한 마련돼야 한다. 한국판 뉴딜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노인 일자리’ 대책이 반영된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한국 사회의 인구구조는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심각한 변화를 겪고 있다. 1960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의 인구는 팽창했다. 매년 평균 50만명이 증가했다. 지금은 인구 정체기다. 2012년부터 2040년까지 한국 인구는 연평균 10만명씩 감소한다. 2040년 이후 2100년까지는 수축기다. 연평균 40만명씩 줄어든다.

한국인의 중위연령, 다시 말해 가장 나이가 많은 사람부터 갓 태어난 아기를 연령별로 줄 세워놓았을 때 가장 가운데 위치한 사람의 연령은 급격하게 올라가고 있다. 2000년 한국인 중위연령은 31.8세였는데 2010년에는 37.9세가 되었고, 올해는 무려 43.7세다. 10년 후인 2030년에는 49.5세, 2060년에는 61.3세에 이르게 된다. 말하자면 인구의 절반 이상이 60세가 넘는다. 이렇게 급격하게 고령화가 진행되는 나라는 없다.

서형수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은 “외환위기가 벌어지던 1997년 한국인의 중위연령은 30세의 청년이었으나, 그로부터 34년 후인 2031년이 되면 한국인의 중위연령은 50세의 장년으로 변한다. 1.7년마다 한국인의 중위연령은 한살씩 늙어간다”고 말했다.

1955년부터 1974년에 걸쳐 태어난 세대가 2000만명에 이르는데 이제 이들은 평균적으로 매년 85만명씩 20년에 걸쳐서 65세에 진입한다. 올해가 그 첫해다.


(하략)

 

https://www.nongmin.com/opinion/OPP/SWE/ECO/326866/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