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아주상상프로젝트’ 결과 공유… 성과발표회·시상식 열려
첫 ‘아주상상프로젝트’의 결과를 공유하기 위한 성과발표회가 개최됐다. ‘아주상상프로젝트’는 올 1학기부터 아주대 전체 신입생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 기반 수업이다. 9일부터 11일까지 율곡관에서 개최된 ‘아주상상프로젝트’ 성과발표회는 ▲성과물 전시와 ▲시상식으로 진행됐다. 우수작으로 선정된 59개팀의 결과물이 전시되어, 아주가족들에게 선을 보였다. 1학기에 개설된 총 59개의 ‘아주상상프로젝트’ 반별로 우수팀이 1팀씩 선정됐고, 그 중 대상 1팀과 최우수상 11팀, 인기상 4팀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 프로젝트를 담당했던 교수진이 심사위원으로 참여해 ▲문제 정의 ▲연구 및 적용 ▲창의성 ▲실행 가능성 ▲포스터 완성도를 기준으로 심사했다. 시상식은 11일 오후 율곡관 영상회의실에서 열렸다. 신종호 아주상상프로젝트 주임교수가 사회를 맡았고, 이 프로젝트를 주관한 다산학부대학 박구병 학장의 축사와 한호 교무부총장의 축사에 이어 시상이 진행됐다. 대상은 <버스 딱대! 빅데이터로 다시 쓴 대전의 길> 프로젝트(지도교수 황영아)를 진행한 5명의 학생이 수상했다. 권용채(기계), 최임준(건축), 김채영(국어국문), 박건(첨단바이오), 오병욱(미래모빌리티) 학생이 그 주인공이다. 이 팀은 낙후된 지역 대중교통 시스템의 개선을 위해, 빅데이터를 통한 버스 노선 개편 방안을 모색했다. 이를 위해 인구 규모가 어느 정도 확보되면서도, 관련 데이터가 풍부한 광역도시 ‘대전’을 선택했다. 학생들은 교통 빅데이터 플랫폼과 공공데이터 포털·국토정보플랫폼 등을 활용해 관련 데이터를 확보했고, AI 등을 활용해 새로운 버스 노선 5개를 새로이 만들었다. 대상팀 학생들과 황영아 지도교수 최우수상은 11개팀에게, 인기상은 4팀에게 돌아갔다. 2025학년도 1학기 시작된 ‘아주상상프로젝트’는 전체 신입생이 참여하는 프로젝트 기반(PBL) 수업(3학점)이다. 이 수업은 다양한 학과와 전공의 학생 6인이 하나의 팀을 꾸려 희망하는 대주제를 선택해 탐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다양성과 공존 ▲디지털 혁명과 사회변화 ▲글로벌 지속가능성과 실천 ▲건강과 웰빙이라는 큰 주제 하에, 각 팀이 탐구 주제를 선정한다. 학교는 학생들이 수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융합·문제해결형 교육을 실현하고, 다양한 전공 분야의 학생들이 함께 어울려 협업하며 배울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올 1학기에는 신입생 2243명이 참여해 총 59개 반에서 354개팀이 운영됐다. 2025-1 아주상상프로젝트 수상팀 [최우수상] ▪카페인멈춰! 슬기로운 NO 카페인 생활 – 차대진, 최예린, 김동진, 문서진, 윤기범, 조민제, 이지환(지도교수 김희진) ▪아주대생 혈당 낮추기 프로젝트 – 이윤서, 양태웅, 박선우, 김예은, 곽주예, 강은혜(지도교수 김희정) ▪기후변화에 따른 온열질환의 피해 완화 – 나예린, 선하영, 최윤지, 전유현, 황주완, 강준서 (지도교수 김희정) ▪대체육 인식 개선 프로젝트 : 한 입의 용기, 한 입의 변화 – 박성서, 서예원, 정태현, 이종화, 이강욱, 김예원(지도교수 류학기) ▪도심 속의 빌딩풍을 활용한 풍력 발전 : 수원 삼성디지털시티를 중심으로 – 김효상, 김현빈, 신지훈, 이은환, 이재현, 최은서(지도교수 이진희) ▪우리가 Green 아주로(路) - 전희서, 배수현, 장소현, 안준환, 김서연, 김규민(지도교수 신미영) ▪Able lift 개발 프로젝트 – 김규민, 김도현, 김민찬, 김영우, 윤효은, 조현빈(지도교수 황선영) ▪함께 나아가는 캠퍼스 : 시각장애인 학우를 위한 실질적 복지 개선 방안 탐색 – 임성묵, 류보연, 윤관용, 소예성, 한주영, 박예진(지도교수 신호재) ▪스크린 너머의 시간탐구 – 전성한, 김민형, 유승주, 신유정, 김지우, 이채영(지도교수 강민형) ▪AI 교육 프로그램 재편 – 복연수, 이준혁, 이채은, 정재인, 최승우, 곽민규(지도교수 이경숙) ▪딥페이크 사진의 저작권 인정 기준 제안 – 강규민, 김성우, 김유나, 노현서, 박수지, 윤세환, 최지원(지도교수 서주영) [인기상] ▪ 도심 속의 빌딩풍을 활용한 풍력 발전 : 수원 삼성디지털시티를 중심으로 – 김효상, 김현빈, 신지훈, 이은환, 이재현, 최은서(지도교수 이진희) ▪ 고령층 KBO 관람, 디지털 장벽 없는 즐거움 : 쉬운 예매 앱 '고이예매' 제안 – 임현진, 홍택우, 고윤태, 이채윤, 황준환, 기예준(지도교수 홍성연) ▪ 스크롤을 멈추면 보이는 것들 : SNS 디톡스가 주는 변화 – 권예진, 김건우, 암승우, 박현서, 이시은, 허신영, 황수빈(지도교수 이시내) ▪ 유전자 질환 확인을 위한 가계도 분석 프로그램 코딩 및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 문서윤, 김유겸, 고정우, 김보아, 김강민, 이가영(지도교수 이택균) 성과발표회에서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학생 9~11일 율곡관 로비에서 열린 성과발표회 현장 학생들이 직접 프로젝트 결과를 설명하고, 질문에 답하는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