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소개

전공 과목명 교과목 개요
전공기초 리더십워크숍1 전공별리더십워크숍1,2는 신입생들에게 학교 생활에 대해 전반적인 안내와, 전공 별로 운영하는 세션을 마련하여, 신입생들에게 전공에 대한 탐색의 기회를 제공 리더십워크숍2 하고 향후 전공 선택 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리더십워크숍2
공통필수 경영정보시스템 본 과정은 학생들이 비즈니스에서 활용될 수 있는 정보기술과 관련된 다양한 용 어 및 개념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정보기술의 비즈니스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업무 방식의 개선은 물론 새로운 비즈니스적 기 회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기술 에 대한 일회성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수강 후에도 지속적으로 정보기술 에 대한 지식을 스스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학습인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마케팅관리 교재와 실제 사례를 통해 마케팅이란 무엇이며, 마케팅이 우리 사회와 조직에 어떠한 역할을 하고 어떠한 가치를 창조하는지, 그리고 수강생 본인들의 career 발전에 어떠한 의미가 있고, 경영학의 다른 분야들과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되 어 있는지를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그 기본 목적이 있습 니다. 또한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마케팅을 현실문제 해결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도 그 목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수강생들은 본 강의를 통해 마 케팅의 기본적인 용어들과, 중요한 주요 개념들, 그리고 일반적인 원리에 대하여 배우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수강생들은 어떻게 마케팅 이론과 개념, 그리고 전 략들이 목표고객들과 마케팅조직에 영향을 주는 지를 이해한다.
비즈니스프로세스 본 과목은 기업 프로세스와 공급망(Supply Chain) 운영을 학습 대상으로 한다.
1.기업 프로세스 운영: 기업 프로세스는 투입을 산출로 전환한다. 이러한 전환 과정은 프로세스 내의 다양한 흐름활동과 축적과정을 거쳐 투입 자재, 정보 또 는 기술을 제품과 서비스로 전환하여 소비자의 수요를 충족한다.
2.공급망 운영: 공급망 운영의 핵심 과제는 공급자, 생산자, 중간유통망, 소매상 과 소비자로 구성된 공급망을 효율적으로 통합하는 방안을 설계하는데 있다.
학습목표: 기업 프로세스 와 공급망(Supply Chain) 운영을 위한 기본적인 개념과 관리기법들을 학습하게 된다. 특히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학습목표로 한다.
1. 기업프로세스의 합리적인 운영방안을 공부한다.
(1) 기업 프로세스 운영의 기본적 개념
(2) 기업 프로세스 평가 척도와 이들의 관계
(3) 불확실성이 기업 프로세스에 주는 영향
(4) 프로세스의 장기적 운영 방안2. 공급망의 효율적인 통합 방안을 설계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가 공급망에서 적합한 양으로 적합한 시기에 적합한 장소로 유통되어 공급망 전체의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전략을 공부한다.
재무관리 재무학은 기업재무, 투자론, 금융기관론, 국제재무 등의 영역을 포괄하는 의미이 다. 각자의 영역은 자체적으로 교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재무관리는 일반적으로 이 중 기업재무를 의미한다. 재무관리는 기업 소유주의 지분 가치, 주식회사의 경우 기존 주식의 주당 현재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재무적 의사결정에 관하여 다룬다. 이러한 의사결정 영 역은 크게 자본예산, 자본구조, 주식회사의 배당정책, 운전자본관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본 교과목에서는 장기재무관리에 해당하는 앞의 세 영역에 초점을 맞 추고 단기 재무에 해당하는 운전자본관리는 개략적인 설명만 할 것이다. 자본예산은 기업의 장기투자에 대한 계획과 관리 과정을 의미한다. 즉, 어떤 사 업에 투자할 것인가 또는 어떤 사업을 할 것인가에 관한 의사결정을 다루는 것 이다. 자본구조는 장기투자를 위한 장기자금을 어떤 방법으로 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이다. 장기 자본조달 방법은 크게 주식과 채권에 의한 방법이 있는데 자본 구조는 이를 어떠한 비율로 가져가야 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배당 정책은 기 업이 창출한 가치를 기업의 주인인 주주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돌려줄 것인가에 관한 문제이다. 즉, 배당금을 현재 지급할 것인가, 아니면 그것을 다른 곳에 투 자하여 나중에 더 높은 배당금을 지급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이다. 자본예산, 자 본구조, 배당 정책 외에도 이들 모두와 관련되어 있는 이슈 중 하나인 자본비용 의 산출에 관해서도 학습한다. 자본비용이란 사업 투자 안이 제공해야 하는 최 소한의 요구수익률을 의미하고 이는 사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미래 현금흐름에 대한 할인율을 의미하기도 한다
조직행위론 기업을 포함, 여러조직에서는 주어진 사명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람'을 활용한다. 즉, 조직 목표를 세우고 추진하는 주체는 컴퓨터나 기계, 제도가 아닌 인간인 것 이다. 그렇기 때문에, 성공적인 리더/관리자/경영자가 되기 위해서는 사람의 심 리와 행동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조직을 운영하고자 노력하 여야 한다. 이에 본 과목에서는 조직심리와 행동전반에 대한 이론과 개념을 습 득하고 실제 조직상황에서 각 이론과 개념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같이 생 각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과목의 교과목표는 아래와 같다.
1.조직행위론에 대한 기본지식을 습득함으로써,인간과 조직의 경영을 설명하고 향상하기 위한 이론과 개념을 이해한다.
2.조직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진단 및 해결능력을 함양한다.
3.조직의구성원, 더 나아가 리더로서 수강생 각자의 장 단점,그리고 직업생활전 반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가진다.
회계학원론 회계는 기업의 모든 경제활동의 결과를 일목요연하게 요약한다. 따라서 회계는 경영 전반에 걸쳐 의사결정을 하고 성과평가를 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당연히 경영자는 회계정보를 올바로 이해하고 분석할 능력을 갖출 필요가 있다. 이 과목은 회계의 입문과목으로서 회계, 특히 재무회계에 대한 큰 줄거리를 학 습한다. 회계의 중요한 개념과 방법들이 많이 소개되는데 중요한 것은 그 속에 숨은 논리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다. 본 과목의 목표는 회계의 기초개념, 회계처리의 방법 및 그 논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회계정보, 특히 기업재무제표를 기본적으로 해석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있다.
전략경영 21세기 들면서 글로벌 기업환경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특히, 2008년 미국의 리 만 브라더스 파산 이후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로 전 세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 으며, 많은 나라의 정부와 기업들은 새로운 글로벌 규제와 통상질서 구축을 시 도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와 경영 패러다임 전환은 새로운 전략경영 이론과 기법 개발을 촉진하고 있다. 본 과목은 기본적으로 학생들에게 다양한 전략경영 이론과 실무기법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과목에서는 전략경영 의 기본적 패러다임과 이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미래 전략경영이론과 패러다임에 대한 학습과 토의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전공일반 경제원론 1. 과목개요: 경제원론은 경제학의 가장 기본적인 원리와 내용을 배우는 과목입니다. 규모와 상관 없이 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3대 주체는 개인, 기업, 그리고 정부입니다. 우 리가 원하는 물건(재화 또는 서비스)을 사고 파는 시장에서 개인은 소비를 담당 하는 소비자가 되고, 기업은 이를 생산, 판매하는 공급자가 됩니다. 경제원론은 이러한 경제주체의 역할과 각각의 경제주체가 자신의 만족을 극대화 시키기 위 해 어떻게 행동하여야 하는지를 다룹니다. 각 경제주체의 행위 분석 뒤에는 이러한 경제주체의 경제 행위가 이뤄지는 시장 의 구조에 대해 다루게 됩니다. 시장이 그 원래 기능을 잘 충족할 수 있는 기본 조건들이 충족될 때 이를 완전경쟁시장이라고 하고, 이러한 시장에서 각각의 경 제주체들이 추구하는 바가 어떻게 이뤄지는가를 다루게 됩니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기본 조건들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다 루는데, 이를 시장 실패라고 합니다. 또한 재화의 특성에 따라 시장에서 생산, 공급되는 것이 사회에서 바람직한 수 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예가 공공재와 재 화의 외부성입니다. 이러한 속성을 가지고 있는 재화가 사회에서 바람직한 수준 으로 생산, 소비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게 됩니다. 요약하면, 경제학원론에서는 한 사회를 구성하는 가계, 기업, 그리고 정부, 그리 고 이러한 경제주체들이 모여 경제적 행위를 이뤄나가는 시장의 구조와 역할을 주로 다루게 된다. 2. 과목의 교육목표: 경제학이란 가계와 기업과 같은 경제주체들이 희소한 자원을 어떻게 배분하도록 선택하는지, 또한 이러한 선택들이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연구하 는 학문입니다. 경제학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설되는 이 경제원론 과목의 기본목표는 현실에서 맞닥뜨릴 수 있는 다양한 (경제적) 선택의 문제에 직면하였을 때, 비용과 편익을 비교하여 주어진 조건하에서 최선의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경제학적 사고를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경영통계 (1) 본 과목은 경영학 전공자에 반드시 필요한 통계학의 기본 지식을 배운다. 통계의 개념은 경영대학원 대부분의 과목에서 사용되므로 MBA를 위한 필수과 목이다 학부에서 배운 통계학이 주로 수식의 계산이나 문제풀이였다면, 경영대학원에서 의 통계학 과목은 원리의 이해에 초점을 두고 진행된다 수학계산은 거의 없으며, 주로 엑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습하게 된다. 그러므로 고교/대학시절의 수학의 기초는 거의 요구되지 않는다 (필요한 계산의 예 : (120-100)/10 = 2 정도이며 이러한 계산도 엑셀로 해 결한다)
(2) 본과목은 중간고사 전과 후로 나뉘어 다음과 같이 학습 내용이 구성되어 있 다.
중간고사 이전 - 통계학의 기본 구성원리 : 모집단과 표본의 세계, 통계량이란, 경영현장에서의 확률의 해석, 모집단의 여러 지표, 확률분포, 정규본포, 표본분 포, 추정
중간고사 이후 - 통계적 의사결정의 원리 및 기법 : 가설검정의 원리, p값, 유의 수준, 가설검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들, 여러 모수의 가설검정, 두 모집단의 가설 검정, 분산분석, 회귀분석 등 다양한 통계기법을 학습한다
(3) 통계소프트웨어로는 엑셀을 사용한다
인문학과경영 인문학과 경영의 진지한 연결을 모색하려는 은 지난 몇 년 간 아주대학교 인문대학 교수 2-3인의 윤강(輪講) 형태로 진행되었다. 문학과 역사 학 전공 교수 2인이 전반부와 후반부를 나눠 맡아 강의하게 될 이번 학기 은 인문학 고전 텍스트 4권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세계 화의 역사를 검토하고 전 세계적 감염병 확산 시대의 변화 방향에 대해 고민하 며, 특히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경영인에게 필요한 국제적 시사 문제에 대한 소양을 기르고자 한다. 아울러 한국 사회의 도약과 상향 개선을 이루는데 필수 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는 일상 민주주의와 직장 민주주의의 실현에 대해 진지 하게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런 주제들을 다루면서 이번 학기 은 수강생들이 사유와 감성의 폭을 넓히고 문제의식의 경영 현장 적용을 위한 노력에 일조하고자 한다.
<학습목표>1. 인문학 고전 읽기를 통해 창조적 사유와 풍부한 감성 배양
2. 인문학에 기초한 인간관계, 조직 운영, 경영 모델 구상
3. 인문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시사 문제와 국제 관계의 이해, 글로벌 경영 마 인드의 형성
커뮤니케이션과퍼실리테이션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리더와 관리자는 조직운영과 업무 목표달성 및 성 과관리가 원활히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조직 내의 커뮤니케이션은 이런 업무 수행과 보고, 그리고 점검 과정에서 원활함과 팀워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하 는 중요한 요소이다.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하면 첫째 나와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둘째 나와 부하의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셋째 팀 내와 팀 간의 집단 커뮤니케이션 즉 회의를 들 수 있다. 이 3가지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효율적이고 원활히 역할을 한다면 조직은 건강하게 성장할 것이다. 본 과목에서 는 업무 지시와 수행, 보고 그리고 업무 진행 점검 등의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을 이해하고, 효율적인 회의는 어떤 프로세스와 시스템으로 구성되는지 그리고 회 의의 유형과 목적에 따라 어떻게 준비해야 되는지를 실습을 통해 체득할 수 있 게 한다. 특히 비대면 사회에서 이루어지는 '화상 회의'에 대한 방법도 학습이 필요하다. 또한 회의를 주최하는 리더의 역할과 구성원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회의 참여를 유도하는 리더의 '회의 퍼실리테이션' 역량을 향상시키는 학습을 한 다.
연구조사방법론 본 과목은 학생들에게 학문적 연구를 위한 기본적인 접근법과 분석방법에 대한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에 학습목표를 두고 있다. 학문적으로 좋은 연구가 되기 위해 서는 탄탄한 연구방법론이 뒷받침되어야 가 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과목에서는 연구조사에 관련된 지식을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하여 학 습한다.먼저 중간고사 이전 학기에서는 과학 연구의 접근법과 과학철학에 대해서 학습 하게 된다. 즉 과학철학이 어떻게 발전해 왔으며 현재 연구조사 접근법은 어떤 관점으로 진행이 되는지를 숙지하는 부분이다. 중간고사를 실시한 이후의 학기 부분은 정성 및 정량적인 방법을 활용해서 조사 및 관찰 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 한 강의를 진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분석방법은 주로 SPSS를 활용한 분석방법을 학습하게 되며 교수자 의 설명에 따라서 학습자는 그 내용을 간단하게 실습해보는 과제가 부여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되면 학습자들은 과학철학에 대한 개략적인 지식을 가질 수 있으며 정성 및 정량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지식을 갖게 되므로 학습자가 향 후에 작성하게 될 석사 및 박사학위 논문 작성에 기초적인 소양을 가지게된다. 또한 수업이외에도 오프라인 상담이나 토론을 통해서 별도로 원하는 경우에 교 수자와 학습자 간의 논문상담 시간도 가져서 학습자들이 원하는 논문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아주경영특강 빅데이터 기반의 새로운 비즈니스를 이해하고, 문화, 라이프스타일, 소비패턴  등 을 통해 진짜 트렌드를 한발 앞서 예측해볼 수 있다.
학습목표
1.  빅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글로벌 기업의 사례를 통해 데이터 활용 방안 및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전략에 대해 배울 수 있다.
2. 다양하게 얽혀있는 트렌드의 유기적 결합을 이해하여, 최신 트렌드의 움직임의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경영학원론 본 과목은 학부에서 경영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영학 기본 과목으로 경영학 전반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그 실천적인 능력과 자질을 개발 시켜주는 과목이다. 본 과정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경영 및 기업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용어, 개념, 관련지식 및 기업가의 역할과 정신에 대한 학습을 통해 경영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 한지를 이해할수 있다.
엔터테인먼트매니지먼트 인생과 삶의 본질은 무엇인가? 네덜란드 학자 하위징아는 인간의 가장 중요한 단어로 재미(woalHomoLudens)를 꼽았다. 요즘 Kpop, K드라마, K콘텐츠는 한마디로 재미와 HomoLudens의 구현이다. 인간에게는 즐겁게 놀고, 재미있게 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놀이 정신이 인류 발전의 핵심 원동력이다. 모든 학문과 산업은 놀이정신을 통해 발전했다. 스티브잡스, 빌게이츠, 사이토히토리, 혼다아치로 같은 세계적인 기업인은 일은 놀이였다. 인간은 HomoSapiens(합리적생각을하는사람), HomoFaber(일하는존재)라는 해석은 아날로그 시대 이야기이다. 인간은 놀줄 알아야 일도 잘할수 있다. 사실 놀 줄 모르는 사람은 인기가 없고 환영 받지 못한다. 인간의 모든 것은 엔터테인먼트를 목적으로 한다. 선거도, 스포츠도, 교육에도 tainment라는 접미사가 붙여진다. 본 수업은 한국이 최근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강국으로 떠오른 시점에 맞춰, 엔터테인먼트의 본질을 인문학적관점에서살펴보며시작합니다.스마트폰의등장은24시간작은텔레비전을호주머니에갖고다니게만들었습니다.현대는재미가지배하는사회로표현 되기도 한다. 본 수업은 엔터테인먼트 이론과 실무 지식을 소개한다. 공자의 말대로 배우되 행동으로 옮길수 있어야 제대로 된 배움이다. 헌국이 왜 엔터테인먼트 강국이 될수 있는지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발전과정도 소개한다. 콘텐츠 기업의 수익창출 모델, 엔터테인먼트 마케팅, 연예 매니지먼트의 성공 요소, 스토리와 스토리텔링, 그리고 JYP, HIBE, 월드디즈니와 같은 국내외 기업의 사례를 분석한다. 현대는 엔터테인먼트의 시대이다. 더 나가 경영자는 즐겁게 경영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전공필수 마케팅관리 교재와 실제 사례를 통해 마케팅이란 무엇이며, 마케팅이 우리 사회와 조직에 어떠한 역할을 하고 어떠한 가치를 창조하는지, 그리고 수강생 본인들의 career 발전에 어떠한 의미가 있고, 경영학의 다른 분야들과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되 어 있는지를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그 기본 목적이 있습 니다. 또한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마케팅을 현실문제 해결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도 그 목적이 있습니다. 따라서 수강생들은 본 강의를 통해 마 케팅의 기본적인 용어들과, 중요한 주요 개념들, 그리고 일반적인 원리에 대하여 배우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수강생들은 어떻게 마케팅 이론과 개념, 그리고 전 략들이 목표고객들과 마케팅조직에 영향을 주는 지를 이해한다.
전공선택 마켓이노베이션전략(빅테크마케팅)

Course Description 

날로 치열해지는 글로벌 경쟁환경 하에서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하기 위 해서는 제품 및 서비스 혁신을 성공적으로 이룩하는 능력이 필수적이다. 도래하 는 4차 산업 혁명의 시대에는 지금까지의 점진적 변화와는 다른 통찰력과 상상 력에 기반한 창의적, 파괴적 혁신(destructive innovation)이 필요하다. 또한 혁신 의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발과정과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 며 이를 위해서는 각 단계의 개념적 이해와 더불어 다양한 성공,  실패 기업의 사례분석에 기반한 실무적 이해가 필요하다.  마케팅전략은 시장조사,  시장세분화, targeting, positioning 전략, 마케팅 믹스(제품, 유통, 촉진, 가격)전략의 수립 순으로 수립된다. Market Innovation은 주로 제품전략 중 표적 고객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신사업의 개발 또는 창의적인 벤처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과목이다. 본 강좌에서는 마케팅 관리론과 기타 마케팅 기초 과목에서 개념적으로 학습한 마케팅 의사결정 과정을 1)사례분석 통하여 실행능력과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제고하는 방법을 학습하며, 2) 선수 마케팅과목에서 학습한 마케팅의 주요이론과 본 강좌에서 다루어질 혁신이론, 벤처 창업 관련 이론에 기반하여 수강생의 창 의적인 벤처 아이디에션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마케팅커뮤니케이션

과거에 비해 다양해진 소비자층의 등장과 매체 환경의 발달로 인해 마케팅 커뮤 니케이션 분야는 전통적인 매체를 통해 광고를 집행할 때와 다른 접근이 요구되 고 있음에 따라서 전통적인 광고 외에도 다양한 매체 활용 및 판촉, 마케팅 지 향 PR등 다양한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수단들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높은 비용과 매체 혼잡을 피해 소비자와 잠재적 소비자인 오디언스에 게 효과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수업에서는 브랜드 자산과 판매를 증가시키며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투 자가 적절한 투자수익률을 창출하도록 하는 통합적 관점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IMC: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을 소개한다.  

본 수업은 통합 마케팅의 관점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광고)의 다양한 요소들을 이해하고 브랜드 자산 증대를 목적으로 통합 마케팅을 구성하는 여러 수단의 성공 및 실패 사례들을 통해 새로운 마컴 캠페인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브랜드가 처한 상황 분석을 바탕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 성하기 위해 다양한 채널을 통한 광고, 판촉, 구매시점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지 향 PR,  대의지향,  스폰서쉽 등의 커뮤니케이션 캠페인을 계획하고 결과평가 및 수정이 가능하다. 

마케팅조사
마케팅조사론은 조직의 외부에 있는 소비자, 중간상, 그리고 그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모든 사회구성원들과 조직내부의 마케터를 정보로서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말한다. 즉, 마케터가 시장의 기회와 위협요인들을 인식하고 올바로 정의하며, 마케팅계획을 수립하고 평가, 수정하며, 마케팅효과를 적시에 모니터링하여, 전마케팅을  하나의 유기적인 프로세스로 훌륭히 수행하기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적재적소에 공급하는 기능이다.
소비자행동

마케팅전문가가 시장에서 효과적인 마케팅전략을 기획하고 실행에 옮기기 위해 서는 소비자행동을 깊이 있게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과목은 수강생들에게 소비자의 생각과 감정 그리고 행동과 관련된 이론과 사례를 소개하고 각 이론과 사례가 마케팅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시사점들을 논의한다. 

본 강좌를 통해 수강생은 다음과 같은 능력을 배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수강생들은 소비자의  과점에서  소비자들의 생각, 느낌, 행동의사를 관찰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해야 한다. 

- 수강생들은 소비자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소비자들  또는  시장에  대한  인 사이트를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

- 마지막으로 고객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실전적인 마케팅전략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한다.

이와 함께 본 과목은 수강생들에게 창의적인 마케팅 전문가가 되기 위해 필요한 자질과 마음가짐을 제공하기위해 매주마다  icebreaking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마케팅전략

Marketing is not just selling or advertising. It is a rigorous, disciplined science that applies a reasoned  framework to the selection  of target markets  and the optimization of marketing decisions. In this course you will learn to look at marketing problems through the analytical framework that will help you better understand: 

* How to anticipate and take advantage of surprising inconsistencies in the customer decision process. 

* How to evaluate the attractiveness of different markets.  

* How to manage the tradeoff between risk and information in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A structure for thinking about the design and management of distribution channels and sales force. 

* How to manage an advertising campaign. 

마케팅유통전략

과거의 유통업은 단순히 생산된 제품을 구매하여 진열하고 판매하는 분배 기능 만을 수행하며, 제조와는 분리된 영역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근자에는 유통 업에도 진보된 마케팅 전략적 사고가 요구되며 유통업체도 자체상표를 개발, 판매하는 등 그 영역이 확대되면서 제조업과의 연관성을 고려하는 통합적 방법론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이러한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지금까지 와 차별화된 전략수립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과거 경영학연구는 생산부분 (upstream)은 생산관리,  분배부분(downstream)은 마케팅 관리로 분리되어 연구 되어 왔다. 현재의 경영학 연구와 현업의 추세는 이들을 분리된 영역으로 간주 하여 독립적으로 연구, 운영하는 것은 기업의 경쟁력을 극대화하기 어렵다는 인식하에 생산과 분배를 통합한 연구가 지배적이다. 예를 들어 최근 선진기업들은 구매, 생산, 유통, 사후관리 등의 활동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공급망관리 (supply chain management) 기법을 경영의 핵심으로 인식하고 이를 중심으로 전 략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또한 선진국의 경영대학 내에도 이러한 분야에 특화 된 supply chain management 학과가 생겨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 으로 예상된다.

본 강좌는 이러한 학문적, 실무적 추세를 반영하여 최근 들어 중요성이 강조되 고 있는 유통기능에 관한 이해와 유통에 참여하고 있는 구성원들의 역할과 운영 에 관해 논의한다.  특히 주요 유통경로 구성원인 제조업체,  도매업체,  소매업체 의 전체 유통시스템에서의 기능과 유형 및 최근 동향 등이 소개된다. 또한 최근 산업화가 급속히 이루어진 소매업의 발달과정과 앞으로의 추세, 각국의 유통구 조의 차이와 이의 원인, 각 소매업태의 유형과 향후 발달과정 등이 소개된다. 제 조업체 입장에서는 이러한 유통환경의 변화는 경쟁환경의 변화로 간주될 수 있 다. 제조업체, 특히 소비재 제조업체는 이러한 환경변화에 적합한 유통전략을 구 사하여야 하며 (마케팅 믹스 전략 중 place전략에 해당) 따라서 제조업체 입장에 서 유통경로전략을 수립할 때의 절차 및 경로관리기법 등에 관해서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유통관련 정책수립기관이 유통참여자 (생산, 도매, 소매, 소비자)들에 게 싸고, 빠르고, 상호 이익이 되는 정책(자율과 규제)을 어떤 관점에서 수립하여야 하는 지를  논의한다.